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천지역 초등학교 음악 동아리 운영 실태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Music Clubs at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96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천지역 초등학교 음악 동아리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교육청에 소속되어 있는 초등학교 중 음악 동아리 운영교를 대상으로 ...

      본 연구는 인천지역 초등학교 음악 동아리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교육청에 소속되어 있는 초등학교 중 음악 동아리 운영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담당교사 98명, 외부강사 44명의 설문응답을 받았다.
      설문지는 ‘일반적인 사항’과 ‘음악 동아리 조직’, ‘음악 동아리 운영’, ‘음악 동아리 운영 제반 여건’, ‘음악 동아리 지도 교사’, ‘음악 동아리 운영 만족도’, ‘음악 동아리 요구사항’, ‘음악 동아리 활성화 방안’을 물어보는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설문지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동아리 조직에 관하여 살펴보면, 음악 동아리 분야로는 합창, 중창과 오케스트라가 가장 많았으며, 학생 조직 방법은 공개 선발 모집을 많이 사용하고, 음악 동아리 규모는 10∼19명 규모가 가장 많았다.
      둘째, 음악 동아리 운영 면에서 교과시간외 정기 모임 형태로 학교 수업이 끝난 후에 음악 동아리 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음악 동아리 참여 행사로는 교내 발표회가 가장 많았으며, 외부강사를 활용하는 경우와 활용하지 않는 경우는 비슷하였다.
      셋째, 음악 동아리 운영 제반 여건에서 음악 동아리 운영 결정 권한은 담당교사에게 많았으며, 운영 예산은 타 기관에서 지원받는 경우가 가장 많고, 그 중 교육청에서 지원받는 경우가 많았다. 동아리 전용 교실은 없는 경우가 더 많았고, 악기 및 기자재 구비 정도는 충분하고 품질이 좋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음악 동아리 지도 교사에 관하여 실제로 음악 동아리를 지도하는 사람은 학교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음악 동아리 지도를 자원한 경우가 많았고, 음악 동아리 지도 총 경력은 1년 미만이 가장 많았다. 음악 동아리 지도 시 학생 참여도, 각종 행사 참여, 학생 음악지도 등을 어려워하였으며, 향후 음악 동아리 지도를 계속할 의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 동아리 관련 요구사항을 분석한 결과 담당교사는 업무 분장에 있어 동아리 업무 외의 학교 업무를 경감해달라는 점과 동아리 운영에 필요한 지속적인 예산 지원, 동아리 교실 환경 개선 등을 학교에 요구하였고, 교육부 및 교육청에는 동아리 운영 예산 지원, 지도 강사 인력풀 구축, 음악 동아리 지도 관련 연수 확대를 요구하였다. 한편 외부강사는 악기 및 동아리실 환경 개선과 발표 기회 확대, 예산 지원 확대 등을 요구하였다. 담당교사와 외부강사 모두 예산 지원과 동아리 운영 환경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여섯째, 음악 동아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담당교사는 학교 및 교육청의 지속적인 예산 지원과 발표회 및 축제 등 다양한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담당교사가 음악 동아리 업무에 열중할 수 있도록 음악 동아리 담당교사의 학교 업무를 경감시켜주는 것 등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고, 외부강사는 악기 및 동아리실 환경이 잘 갖추어져야 한다는 점, 학교, 교사, 학부모가 음악 동아리의 가치를 인식하고 함께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는 점, 다양한 대내외 행사 참여를 확대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peration of music clubs at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To that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t schools that operated music clubs and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 Office of Incheon City. A t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peration of music clubs at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To that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t schools that operated music clubs and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 Office of Incheon City. A total of 98 teachers in charge of such clubs and 44 external lectur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arts asking about the general items, organization of the music club, operation of the music club, overall conditions of running a music club, teachers guiding music clubs, satisfaction of running a music club, requests by music clubs, and measures to promote music clubs.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response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of music clubs, choirs, vocal ensembles and orchestras were the most common. Most of them used open recruiting methods, with each club consisting of 10-19 members.
      Second, in many cases, music clubs were run after school hours through regular meetings. In-school performances were the most common event the clubs participated in, and the share of those that used external lecturers and those that didn’t were about the same.
      Third, the authority for decision-making in music clubs were most often held by the teacher in charge, the operation budget was most often supported by other institutions and most notably the Office of Education. There were more cases where a classroom dedicated to club activities was lacking. Musical instruments and tools were sufficient and of higher quality.
      Fourth, in many cases the school teachers were guiding the music club. In cases where they volunteered for such tasks, their experience in such guidance was most often less than one year. They had difficulty in eliciting student participation when running the music club, participating in various events and teaching music to students. Mor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willing to continue with the task.
      Fifth, in terms of the requests by the music club, the teacher wished that their school management tasks other than running the club were reduced and the club classroom were improved. They also requested continued support for the budget to the school. Meanwhile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the Office of Education, they had requests for support for the budget, establishment of a instructor pool and more training opportunities for running music clubs. Meanwhile, external lecturers requested that the classroom environment be improved, more opportunities for performance be put in place and an increase in the budget. Both teachers guiding the club and lecturers emphasized the need for budgetary support and improved classroom environments.
      Sixth, as a measure to promote music clubs, teachers in charge of music clubs noted that continued budgetary support and various events such as concerts or festivals that the club can take part in, and a reduced workload for teachers so that they can focus more on running the music club would be helpful, while external lecturers noted that a good supply of musical instruments and a good classroom environment, raised awareness of the value of music clubs by the school, teachers and parents, and increased opportunities for events both in or outside the school would be helpfu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 3. 연구의 제한점 3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 3. 연구의 제한점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초등학교 동아리의 개념 및 유형 4
      • 2. 음악 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의 8
      • 3. 음악 동아리 활성화의 요건 11
      • 4. 선행 연구 고찰 14
      • Ⅲ. 연구 방법 19
      • 1. 연구 대상 19
      • 2. 연구 절차 19
      • 3. 연구 도구 20
      • 4. 자료 분석 방법 27
      • Ⅳ. 연구 결과 분석 28
      • 1. 담당교사 운영실태 결과 분석 28
      • 2. 외부강사 운영실태 결과 분석 83
      • Ⅴ. 결론 및 제언 93
      • 1. 결론 93
      • 2. 제언 95
      • 참고문헌 97
      • 부 록 100
      • ABSTRACT 1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