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명란, "현대 도자 한식기의 일인반상 규범화 연구 -3.5.7첩 반상식기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자학회 6 (6): 9-24, 2009
2 이규태, "한국인의 밥상문화1" 신원문화사 2000
3 최준식, "한국인에게 밥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2004
4 김용환, "한국의 풍속화 상.하" 민문고 2002
5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6 홍선표, "한국의 전통 회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7 이효지,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1988
8 강인희,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1990
9 윤서석, "한국식문화사연구" 신광출판사 1974
10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의 이해" 국립민속박물관 1998
1 김명란, "현대 도자 한식기의 일인반상 규범화 연구 -3.5.7첩 반상식기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자학회 6 (6): 9-24, 2009
2 이규태, "한국인의 밥상문화1" 신원문화사 2000
3 최준식, "한국인에게 밥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2004
4 김용환, "한국의 풍속화 상.하" 민문고 2002
5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6 홍선표, "한국의 전통 회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7 이효지,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1988
8 강인희,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1990
9 윤서석, "한국식문화사연구" 신광출판사 1974
10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의 이해" 국립민속박물관 1998
11 최지아, "한국 전통 상차림의 현대화방안" 이화여자대학교 2003
12 裵永東, "한국 수저 匙箸의 음식문화적 특성과 의의" 29 : 1996
13 아사카와 타쿠미, "조선의 소반. 조선도자명고" 학고재 1996
14 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2006
15 호암미술관, "조선시대목가구대전" 호암미술관 2002
16 장영숙, "조선사대의 식기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9
17 정유진, "전통반상(飯床)차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1
18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1999
19 배도식, "옛 酒幕의 民俗的 考察" 85-108, 1982
20 김숙희, "식생활의 문화적 이해" 신광출판사 1998
21 유애령, "식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교보문고 1997
22 남상해, "식경" 成均館大學校 2002
23 이효지, "시의전서(是儀全書)" 신광출판사 2004
24 나선화, "소반" 대원사 2002
25 국립민속박물관, "생활문화와 옛문서" 국립민속박물관 1991
26 김혜영, "문화와 식생활" 효일 2004
27 정미선, "국제화시대에 따른 한,중,일의 식환경 도구의 연구와 디자인" 무사시노미술대학 대학원 2009
28 주영하, "食口論: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음식관습"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3-28, 2002
29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의 社會와 文化,第1輯-第4輯" 城南市,韓國 精神文化硏究院 1980
30 李盛雨, "韓國食經大典:食生活史文獻硏究" 鄕文社 1981
31 李琦烈, "韓國人의 食生活" 延世大學校出版部 1976
32 究院, "韓國人의 生活意識과 民衆藝術" 成均館大學校 出版部 1984
33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韓國人의 生活意識과 民衆藝術" 成均館大學校 出版部 1984
34 金在恩, "韓國人의 意識과 行動樣式 : 文獻 및 調査硏究" 이화여자대학교 1987
35 徐景洙, "韓國人의 宗敎意識 : 韓國의 思想 <特輯>" 18 : 12-18, 1973
36 李盛雨, "東아시아 속의 古代 韓國食生活史硏究" 鄕文社 1992
37 古田博司, "朝鮮民族を讀み解く :北と南に共通するもの" 筑摩書房 1995
38 이경란, "朝鮮後期班家의 飯床文化에 대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2005
39 하순용, "古書에 담긴 韓國飮食에 關한 一硏究" 2 : 1972
40 주영하, "19세기 조선 생활과 사유의 변화를 엿보다" 돌베개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