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식환경 및 식도구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Correlation of Food Environment and Too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79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irst looks into the correlation of tools and dishes centering on the food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amines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ool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culture and food environment. The Joseon Dynasty valued formalities necessary for the stability of social status' order making the idea of Confucianism a way of life and considered the customary formalities taught by Zhu Zi as the example. And it supported the courtesy of the four ceremonial occasion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nd regarded it as the basis. Accordingly, the food for ceremonies and dishes developed in a more outstanding way than any other times. Especially dishes convenient for containing food were manufactured on a large scale and dishes that value formalities besides the food for ceremonies were established. And the dining, because of the ondol and Confucianism, developed into a way of eating by sitting on the floor and eating separately unlike the dining culture in the Koryo times. Such culture brought the unique form of residence of ondol structure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living space and cooking space were separated with the door in the middle.
      Thus the change in the food environment in the Joseon Dynasty, by the natural, social and eating environmental influence, led to the settlement of ondol culture, change in food culture, and social environment due to the Confucianism. This, having an organic relation with one another, developed into a single original food culture; and the dining of the era represents the integrated way of expression of the times.
      번역하기

      This study first looks into the correlation of tools and dishes centering on the food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amines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ool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culture and food environment. The Joseon Dynasty valued...

      This study first looks into the correlation of tools and dishes centering on the food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amines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ool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culture and food environment. The Joseon Dynasty valued formalities necessary for the stability of social status' order making the idea of Confucianism a way of life and considered the customary formalities taught by Zhu Zi as the example. And it supported the courtesy of the four ceremonial occasion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nd regarded it as the basis. Accordingly, the food for ceremonies and dishes developed in a more outstanding way than any other times. Especially dishes convenient for containing food were manufactured on a large scale and dishes that value formalities besides the food for ceremonies were established. And the dining, because of the ondol and Confucianism, developed into a way of eating by sitting on the floor and eating separately unlike the dining culture in the Koryo times. Such culture brought the unique form of residence of ondol structure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living space and cooking space were separated with the door in the middle.
      Thus the change in the food environment in the Joseon Dynasty, by the natural, social and eating environmental influence, led to the settlement of ondol culture, change in food culture, and social environment due to the Confucianism. This, having an organic relation with one another, developed into a single original food culture; and the dining of the era represents the integrated way of expression of the ti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후기 식문화를 중심으로 도구와 식기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고 그 문화와 식환경의 변화에 따른 도구간의 상호연관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조선은 유교사상의 생활화로 신분질서의 안정에 필요한 의례를 중시하고 주자가 가르친 가례를 모범으로 삼았다. 이는 관혼상제의 예(禮)를 받들고 지키는 형식과 의례(儀禮)를 근본으로 삼았다. 그에 따라 의례식(儀禮食)과 식기 발달은 그 어느 시대 보다 두드러지게 되었다. 특히 음식을 궤기에 편리한 접시의 제작이 많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의례음식 이외에 형식을 중시하는 반상음식이 정립되었다. 또한 조선시대의 상차림은 고려시대 식탁문화와는 달리 온돌이 보급되고 유교로 인해 좌식과 독상문화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문화는 온돌구조로 인해 조선시대의 독특한 주거 형태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문을 중심으로 생활공간과 조리공간으로 분리되었다.
      따라서 조선시대 식환경 변화는 자연적, 사회적, 식생활 환경적인 영향으로 온돌문화의 정착과 음식문화의 변화, 유교사상으로 인한 사회 환경 변화로 이어졌다. 이는 상호관의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하나의 독자적인 식문화로서 발전되고 한시대의 상차림으로 그 시대의 집약된 표현방식으로 나타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조선후기 식문화를 중심으로 도구와 식기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고 그 문화와 식환경의 변화에 따른 도구간의 상호연관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조선은 유교사상의 생활화로 신분질...

      본 연구는 조선후기 식문화를 중심으로 도구와 식기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고 그 문화와 식환경의 변화에 따른 도구간의 상호연관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조선은 유교사상의 생활화로 신분질서의 안정에 필요한 의례를 중시하고 주자가 가르친 가례를 모범으로 삼았다. 이는 관혼상제의 예(禮)를 받들고 지키는 형식과 의례(儀禮)를 근본으로 삼았다. 그에 따라 의례식(儀禮食)과 식기 발달은 그 어느 시대 보다 두드러지게 되었다. 특히 음식을 궤기에 편리한 접시의 제작이 많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의례음식 이외에 형식을 중시하는 반상음식이 정립되었다. 또한 조선시대의 상차림은 고려시대 식탁문화와는 달리 온돌이 보급되고 유교로 인해 좌식과 독상문화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문화는 온돌구조로 인해 조선시대의 독특한 주거 형태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문을 중심으로 생활공간과 조리공간으로 분리되었다.
      따라서 조선시대 식환경 변화는 자연적, 사회적, 식생활 환경적인 영향으로 온돌문화의 정착과 음식문화의 변화, 유교사상으로 인한 사회 환경 변화로 이어졌다. 이는 상호관의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하나의 독자적인 식문화로서 발전되고 한시대의 상차림으로 그 시대의 집약된 표현방식으로 나타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란, "현대 도자 한식기의 일인반상 규범화 연구 -3.5.7첩 반상식기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자학회 6 (6): 9-24, 2009

      2 이규태, "한국인의 밥상문화1" 신원문화사 2000

      3 최준식, "한국인에게 밥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2004

      4 김용환, "한국의 풍속화 상.하" 민문고 2002

      5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6 홍선표, "한국의 전통 회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7 이효지,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1988

      8 강인희,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1990

      9 윤서석, "한국식문화사연구" 신광출판사 1974

      10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의 이해" 국립민속박물관 1998

      1 김명란, "현대 도자 한식기의 일인반상 규범화 연구 -3.5.7첩 반상식기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자학회 6 (6): 9-24, 2009

      2 이규태, "한국인의 밥상문화1" 신원문화사 2000

      3 최준식, "한국인에게 밥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2004

      4 김용환, "한국의 풍속화 상.하" 민문고 2002

      5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6 홍선표, "한국의 전통 회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7 이효지,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1988

      8 강인희,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1990

      9 윤서석, "한국식문화사연구" 신광출판사 1974

      10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의 이해" 국립민속박물관 1998

      11 최지아, "한국 전통 상차림의 현대화방안" 이화여자대학교 2003

      12 裵永東, "한국 수저 匙箸의 음식문화적 특성과 의의" 29 : 1996

      13 아사카와 타쿠미, "조선의 소반. 조선도자명고" 학고재 1996

      14 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2006

      15 호암미술관, "조선시대목가구대전" 호암미술관 2002

      16 장영숙, "조선사대의 식기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9

      17 정유진, "전통반상(飯床)차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1

      18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1999

      19 배도식, "옛 酒幕의 民俗的 考察" 85-108, 1982

      20 김숙희, "식생활의 문화적 이해" 신광출판사 1998

      21 유애령, "식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교보문고 1997

      22 남상해, "식경" 成均館大學校 2002

      23 이효지, "시의전서(是儀全書)" 신광출판사 2004

      24 나선화, "소반" 대원사 2002

      25 국립민속박물관, "생활문화와 옛문서" 국립민속박물관 1991

      26 김혜영, "문화와 식생활" 효일 2004

      27 정미선, "국제화시대에 따른 한,중,일의 식환경 도구의 연구와 디자인" 무사시노미술대학 대학원 2009

      28 주영하, "食口論: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음식관습"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3-28, 2002

      29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의 社會와 文化,第1輯-第4輯" 城南市,韓國 精神文化硏究院 1980

      30 李盛雨, "韓國食經大典:食生活史文獻硏究" 鄕文社 1981

      31 李琦烈, "韓國人의 食生活" 延世大學校出版部 1976

      32 究院, "韓國人의 生活意識과 民衆藝術" 成均館大學校 出版部 1984

      33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韓國人의 生活意識과 民衆藝術" 成均館大學校 出版部 1984

      34 金在恩, "韓國人의 意識과 行動樣式 : 文獻 및 調査硏究" 이화여자대학교 1987

      35 徐景洙, "韓國人의 宗敎意識 : 韓國의 思想 <特輯>" 18 : 12-18, 1973

      36 李盛雨, "東아시아 속의 古代 韓國食生活史硏究" 鄕文社 1992

      37 古田博司, "朝鮮民族を讀み解く :北と南に共通するもの" 筑摩書房 1995

      38 이경란, "朝鮮後期班家의 飯床文化에 대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2005

      39 하순용, "古書에 담긴 韓國飮食에 關한 一硏究" 2 : 1972

      40 주영하, "19세기 조선 생활과 사유의 변화를 엿보다" 돌베개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