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손희정, "혐오의 시대 - 2015년 혐오는 어떻게 문제적 정동이 되었는가" 32 : 12-42, 2015
2 안재웅, "트위터 '대나무 숲' 현상을 통해 바라본 사회적 소통 증진의 가능성 탐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151-189, 2013
3 최재천, "통섭의 식탁" 움직이는 서재 2005
4 이상일, "직장인의 SNS 소통에 대한 연구 : 트위터 '대나무 숲'을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2016
5 황성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글쓰기에 끼친 영향성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33-159, 2014
6 김지연,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디지털 필자의 글쓰기 특성 고찰" 한국작문학회 (24) : 1-22, 2015
7 글쓰기 교과 교재편찬위원회, "성찰과 표현"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8 "서울대학교 대나무 숲"
9 김지연, "블로그 필자들의 인터넷 작문 양상" 한국작문학회 (19) : 69-100, 2013
10 권순희, "변화된 문식 환경과 작문 교육의 역할" 한국작문학회 (32) : 29-60, 2017
1 손희정, "혐오의 시대 - 2015년 혐오는 어떻게 문제적 정동이 되었는가" 32 : 12-42, 2015
2 안재웅, "트위터 '대나무 숲' 현상을 통해 바라본 사회적 소통 증진의 가능성 탐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151-189, 2013
3 최재천, "통섭의 식탁" 움직이는 서재 2005
4 이상일, "직장인의 SNS 소통에 대한 연구 : 트위터 '대나무 숲'을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2016
5 황성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글쓰기에 끼친 영향성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33-159, 2014
6 김지연,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디지털 필자의 글쓰기 특성 고찰" 한국작문학회 (24) : 1-22, 2015
7 글쓰기 교과 교재편찬위원회, "성찰과 표현"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8 "서울대학교 대나무 숲"
9 김지연, "블로그 필자들의 인터넷 작문 양상" 한국작문학회 (19) : 69-100, 2013
10 권순희, "변화된 문식 환경과 작문 교육의 역할" 한국작문학회 (32) : 29-60, 2017
11 김태원, "대학생들이 ‘대나무숲’으로 간 까닭은?" 샘터사 104-105, 2017
12 장은섭, "대학생 필자의 디지털 문식활동 사례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195-224, 2018
13 곽수범, "다섯 문단 글쓰기 교육의 실제 - 선행연구 검토와 향후 연구방향 제안 -" 한국작문학회 (42) : 7-29, 2019
14 글쓰기 교과 교재편찬위원회, "나를 위한 글쓰기"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15 일연, "기이(紀異) 제2, 삼국유사(三國遺事)"
16 황병익, "글쓰기의 필요성에 대한 통시적 고찰"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6 : 29-73, 2018
17 최기숙, "고통의 감수성과 희망의 윤리 - 한국 현대문화와 고전/ 역사의 유비적 대응과 성찰성 탐색" 민족문학사연구소 (59) : 497-527, 2015
18 변세희, "고백시와 SNS 글쓰기에 나타난 저자와 대중의 관계 연구 - 실비아 플라스의 「나사로 부인」을 중심으로" 현대영미어문학회 120-126, 2018
19 이혜리, "고발과 배설 사이 ‘대나무숲’ 폭로전"
20 "고려대학교 대나무 숲"
21 "경희대학교 대나무숲"
22 장유정, "경험의 서사화와 자전적 글쓰기 교육 연구" 국어교과교육학회 22 : 179-221, 2013
23 구자준, "‘판춘문예’의 서사전략 —네이트판 일상 서사의 서사전략과 독자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4 (24): 199-227, 2018
24 곽은희, "‘대나무 숲’과 산호․민요의 기능적 유사성 연구 - 언중의 발화와 소통 방식을 중심으로 -" 한글학회 (312) : 37-65, 2016
25 김응교, "SNS의 가상공동체와 트위터러쳐—이외수 산문집 <절대강자>의 경우" 국제어문학회 (55) : 117-148, 2012
26 정혜욱, "SNS에서의 글쓰기 커뮤니케이션 양상 변화에 따른 분절, 소외된 두뇌구조" 한국영상학회 9 (9): 43-60, 2011
27 이지원, "21세기의 필자와 쓰기 교육 - 작문 맥락의 변화와 새로운 쓰기" 한국작문학회 (28) : 213-247,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