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글쓰기 공간으로서 페이스북 소재 ‘<대나무숲>’의 의미와 가능성 - ‘<대나무숲>’ 소재 자기경험서사 글쓰기를 대상으로 = Facebook as a digital writing space Meaning and possibility of 'Bamboo Forest' - Subject to writing a self-experience essay based on 'Bamboo For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82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Facebook, this paper examined Bamboo Forest, the digital community space which exists in each university, and analyzed the way college students write there. Meanwhile, the literary environment has changed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university students are also writing about their own experiences in this Bamboo Forest. But in writing studies at universities that emphasize self-experience,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approach it. As we discussed in this paper, Bamboo Forest is actively operated by universities, and various experience writing was being attempted. Accordingly, we examined how self-confession writing, which deviated from the outer shell of Snoop, and writing that expanded the concepts of universal empathy and shared consciousness are being carried out. Furthermore, reader crossed the line between facts and fiction, adding to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serving as a literary and artistic field.
      The writing in Bamboo Forest serves as a literary artifact that emphasizes literary integrity in realistic writing. This is why, despite the limitations of Bamboo Forest, it is necessary to keep an eye on and utilize it in future writing education.
      번역하기

      Through Facebook, this paper examined Bamboo Forest, the digital community space which exists in each university, and analyzed the way college students write there. Meanwhile, the literary environment has changed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

      Through Facebook, this paper examined Bamboo Forest, the digital community space which exists in each university, and analyzed the way college students write there. Meanwhile, the literary environment has changed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university students are also writing about their own experiences in this Bamboo Forest. But in writing studies at universities that emphasize self-experience,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approach it. As we discussed in this paper, Bamboo Forest is actively operated by universities, and various experience writing was being attempted. Accordingly, we examined how self-confession writing, which deviated from the outer shell of Snoop, and writing that expanded the concepts of universal empathy and shared consciousness are being carried out. Furthermore, reader crossed the line between facts and fiction, adding to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serving as a literary and artistic field.
      The writing in Bamboo Forest serves as a literary artifact that emphasizes literary integrity in realistic writing. This is why, despite the limitations of Bamboo Forest, it is necessary to keep an eye on and utilize it in future writing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은 페이스 북을 통해 각 대학별로 존재하고 있는 <대나무숲>이라는 디지털커뮤니티 공간에 대해 주목하고, 여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생들의 글쓰기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그간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문식환경이 빠르게 변화했고, 대학생들 역시 이 공간에서 자기 경험에 의거한 다양한 글쓰기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자기경험을 강조하고 있는 대학의 글쓰기 연구에서는, 그동안 이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 이 공간은 대학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있으며, 다양한 경험 글쓰기들이 시도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스놉의 외피에서 탈피한 자기고백적 글쓰기와 보편적 공감의 장과 공유의식을 확대하는 글쓰기가 수행되고 있음을 살폈다. 나아가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작가의식을 부연하고 문예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때 <대나무숲>의 글은 사실적 글쓰기에서 문학적 진실성을 강조하는 문예물로 기능하게 된다. <대나무숲>이라는 공간이 지니고 있는 여러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향후 글쓰기 교육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활용해야 하는 이유다.
      번역하기

      논문은 페이스 북을 통해 각 대학별로 존재하고 있는 <대나무숲>이라는 디지털커뮤니티 공간에 대해 주목하고, 여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생들의 글쓰기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

      논문은 페이스 북을 통해 각 대학별로 존재하고 있는 <대나무숲>이라는 디지털커뮤니티 공간에 대해 주목하고, 여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생들의 글쓰기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그간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문식환경이 빠르게 변화했고, 대학생들 역시 이 공간에서 자기 경험에 의거한 다양한 글쓰기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자기경험을 강조하고 있는 대학의 글쓰기 연구에서는, 그동안 이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 이 공간은 대학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있으며, 다양한 경험 글쓰기들이 시도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스놉의 외피에서 탈피한 자기고백적 글쓰기와 보편적 공감의 장과 공유의식을 확대하는 글쓰기가 수행되고 있음을 살폈다. 나아가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작가의식을 부연하고 문예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때 <대나무숲>의 글은 사실적 글쓰기에서 문학적 진실성을 강조하는 문예물로 기능하게 된다. <대나무숲>이라는 공간이 지니고 있는 여러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향후 글쓰기 교육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활용해야 하는 이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희정, "혐오의 시대 - 2015년 혐오는 어떻게 문제적 정동이 되었는가" 32 : 12-42, 2015

      2 안재웅, "트위터 '대나무 숲' 현상을 통해 바라본 사회적 소통 증진의 가능성 탐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151-189, 2013

      3 최재천, "통섭의 식탁" 움직이는 서재 2005

      4 이상일, "직장인의 SNS 소통에 대한 연구 : 트위터 '대나무 숲'을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2016

      5 황성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글쓰기에 끼친 영향성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33-159, 2014

      6 김지연,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디지털 필자의 글쓰기 특성 고찰" 한국작문학회 (24) : 1-22, 2015

      7 글쓰기 교과 교재편찬위원회, "성찰과 표현"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8 "서울대학교 대나무 숲"

      9 김지연, "블로그 필자들의 인터넷 작문 양상" 한국작문학회 (19) : 69-100, 2013

      10 권순희, "변화된 문식 환경과 작문 교육의 역할" 한국작문학회 (32) : 29-60, 2017

      1 손희정, "혐오의 시대 - 2015년 혐오는 어떻게 문제적 정동이 되었는가" 32 : 12-42, 2015

      2 안재웅, "트위터 '대나무 숲' 현상을 통해 바라본 사회적 소통 증진의 가능성 탐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151-189, 2013

      3 최재천, "통섭의 식탁" 움직이는 서재 2005

      4 이상일, "직장인의 SNS 소통에 대한 연구 : 트위터 '대나무 숲'을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2016

      5 황성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글쓰기에 끼친 영향성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33-159, 2014

      6 김지연,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디지털 필자의 글쓰기 특성 고찰" 한국작문학회 (24) : 1-22, 2015

      7 글쓰기 교과 교재편찬위원회, "성찰과 표현"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8 "서울대학교 대나무 숲"

      9 김지연, "블로그 필자들의 인터넷 작문 양상" 한국작문학회 (19) : 69-100, 2013

      10 권순희, "변화된 문식 환경과 작문 교육의 역할" 한국작문학회 (32) : 29-60, 2017

      11 김태원, "대학생들이 ‘대나무숲’으로 간 까닭은?" 샘터사 104-105, 2017

      12 장은섭, "대학생 필자의 디지털 문식활동 사례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195-224, 2018

      13 곽수범, "다섯 문단 글쓰기 교육의 실제 - 선행연구 검토와 향후 연구방향 제안 -" 한국작문학회 (42) : 7-29, 2019

      14 글쓰기 교과 교재편찬위원회, "나를 위한 글쓰기"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15 일연, "기이(紀異) 제2, 삼국유사(三國遺事)"

      16 황병익, "글쓰기의 필요성에 대한 통시적 고찰"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6 : 29-73, 2018

      17 최기숙, "고통의 감수성과 희망의 윤리 - 한국 현대문화와 고전/ 역사의 유비적 대응과 성찰성 탐색" 민족문학사연구소 (59) : 497-527, 2015

      18 변세희, "고백시와 SNS 글쓰기에 나타난 저자와 대중의 관계 연구 - 실비아 플라스의 「나사로 부인」을 중심으로" 현대영미어문학회 120-126, 2018

      19 이혜리, "고발과 배설 사이 ‘대나무숲’ 폭로전"

      20 "고려대학교 대나무 숲"

      21 "경희대학교 대나무숲"

      22 장유정, "경험의 서사화와 자전적 글쓰기 교육 연구" 국어교과교육학회 22 : 179-221, 2013

      23 구자준, "‘판춘문예’의 서사전략 —네이트판 일상 서사의 서사전략과 독자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4 (24): 199-227, 2018

      24 곽은희, "‘대나무 숲’과 산호․민요의 기능적 유사성 연구 - 언중의 발화와 소통 방식을 중심으로 -" 한글학회 (312) : 37-65, 2016

      25 김응교, "SNS의 가상공동체와 트위터러쳐—이외수 산문집 <절대강자>의 경우" 국제어문학회 (55) : 117-148, 2012

      26 정혜욱, "SNS에서의 글쓰기 커뮤니케이션 양상 변화에 따른 분절, 소외된 두뇌구조" 한국영상학회 9 (9): 43-60, 2011

      27 이지원, "21세기의 필자와 쓰기 교육 - 작문 맥락의 변화와 새로운 쓰기" 한국작문학회 (28) : 213-247,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