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 Exploration of Influential Self-Related Variables(self-regulation, self-efficacy, self-esteem)for the Playfulness of Preschool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8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관련 변인 중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력을 선정하여 각 변인이 놀이성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탐색해...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관련 변인 중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력을 선정하여 각 변인이 놀이성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탐색해보고자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 172명을 대상으로 놀이성과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을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ASW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놀이성과 세 가지 자아관련 변인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자기조절력 보다 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가지 자아관련 변인의 놀이성 설명력은 58%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놀이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 가지 자아관련 변인의 하위 요소 중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놀이성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는 동료수용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자기조절력이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lf-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playfulness of preschooler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tial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 selected preschoolers who were four and five year old. Ob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lf-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playfulness of preschooler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tial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 selected preschoolers who were four and five year old. Observation by their class teacher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ir playfulness,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links between playfulness and the self-related variables, playfulness and its sub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related variables and their sub 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total scores in the self-related variables on playfulness, exerted 58 percent on that.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elf-related variables, physical self-efficacy, peer acceptance self-esteem, self-control had respectively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In conclusion, the playfulness of the preschoolers was under the larger influence of self-esteem related to physical ability and of self-efficacy than of self-regul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구조방정식모형(기초편)" 한나래 2013

      2 최해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435-451, 2012

      3 한신애,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57-476, 2010

      4 김지아, "자기조절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5 황윤세,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지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93-309, 2008

      6 지성애,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11-127, 2010

      7 지성애, "유아의 자아 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43-67, 2003

      8 송주연,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4) : 121-142, 2014

      9 박근주, "유아의 자기 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유아의 놀이성,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489-511, 2013

      10 이진희, "유아의 외로움과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구조방정식모형(기초편)" 한나래 2013

      2 최해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435-451, 2012

      3 한신애,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57-476, 2010

      4 김지아, "자기조절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5 황윤세,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지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93-309, 2008

      6 지성애,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11-127, 2010

      7 지성애, "유아의 자아 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43-67, 2003

      8 송주연,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4) : 121-142, 2014

      9 박근주, "유아의 자기 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유아의 놀이성,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489-511, 2013

      10 이진희, "유아의 외로움과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1 한석실, "유아의 성, 놀이성, 기질 및 발달수준과사회구성놀이 질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09-230, 2007

      12 우수경,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259-280, 2008

      13 최미숙, "유아의 마음이론과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195-218, 2009

      14 권희경,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유아의 자아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391-410, 2009

      15 황윤세, "유아의 놀이특성과 자기조절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99-116, 2011

      16 최지영, "유아의 놀이특성과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29-244, 2012

      17 최미숙, "유아의 놀이성이 자기조절능력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277-292, 2013

      18 허혜경,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효과분석" 한국보육학회 13 (13): 83-102, 2013

      19 류자혜,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지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0 박정욱,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의관계" 9 (9): 11-28, 2002

      21 이연실,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7 (27): 101-134, 2011

      22 고윤지, "유아의 놀이성, 놀이주도성 및 의사소통능력 수준에 따른 놀이행동" 한국아동학회 34 (34): 175-189, 2013

      23 이경실, "유아의 놀이성(Playfulness)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24 홍성훈, "유아의 기질 및 자기조절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67-185, 2010

      25 손영수, "유아는 온몸으로 생활한다" 양서원 2001

      26 장혜순, "유아놀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4

      27 金映希, "아동의 놀이성 군(群) 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8 최태산, "아동의 놀이성 관련 연구 경향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1994년~2008년)" 한국놀이치료학회 12 (12): 75-96, 2009

      29 성수현,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0 최미향,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간 양육태도 일치정도에 따른 유아의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1 한민경, "미술활동을 통합한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5-31, 2009

      32 문인정,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환상성 및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36 : 19-35, 2010

      33 문인정,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및 환상성과 행동적 자기조절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4 편해문, "놀이가 밥이다" 소나무 2012

      35 Koste, V. G., "놀이, 유년기의 예술" HS MEDIA 2011

      36 최연화, "남녀 유아의 놀이성,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 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6 (6): 147-164, 2011

      37 박미정, "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공격적 행동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8 전인옥, "교사의 교육신념과 자아효능감이 유아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2 : 493-528, 1996

      39 손은혜, "감각적 기도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0 Harter, S.,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Handhook of Child psychology" John Wiley &Sons 505-570, 2006

      41 Aguilar, T. E., "When children play"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73-76, 1985

      42 Bodrova, E., "Tools of mind: A Vygotsky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ntice Hall 1996

      43 Brinthaupt, T. M., "The self definitional and methodological issues" Sate University of New York 137-171, 1992

      44 Ruckser, R.,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coping in preschool children 4-6 years of age" 5 (5): 91-98, 2010

      45 Harter, S.,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55 : 1969-1982, 1984

      46 Barnett, L. A., "The Playful Child : Measurement of disposition" 4 : 51-74, 1991

      47 Bronson, M. B.,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The Guilford Press 2000

      48 Kendal, P. C., "Self-Control in Children :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47 : 1020-1029, 1979

      49 Berk, L. E.,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NAEYC 1995

      50 Nelsen, J., "Positive discipline for preschoolers" Three Rivers Press 2007

      51 Lieberman, J. N., "Playfulness: Its relationship to imagination and creativity" Academic Press 1977

      52 Lieberman, J. N.,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107 : 219-224, 1965

      53 Barnett, L. A., "Playfulness :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3 : 319-336, 1990

      54 Rogers, C. S., "Play in the lives of children" NAEYC 1990

      55 Eva, E., "A practical guide to solving preschool behavior problems US" Delmar Learnig 2004

      56 양옥승,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61-187,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91 2.283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