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시간 한국학 원격 화상강의에서의 학습 몰입과 만족도 요인 연구 -베트남 대학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Flow and Satisfaction in a Synchronous Distance Korean Culture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79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low and satisfaction of Korean culture classes conducted remotely in real-time for overseas universities. Factors were divided into motivations, tasks, and interactions, and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they had with flow and satisfaction were explor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class desig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a semester of a synchronous distance Korean culture class at a Vietnamese university. Noteworthy points in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the factors studied, tasks were shown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flow and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weekly vocabulary note, which focuses on Korean vocabulary related to cultural topics,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Regarding motivation, the students who were motivated by interest in Korean culture had the highest levels of flow and satisfaction. Therefore, if a class is designed to maintain or create interest in Korean culture, this sh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low and satisfaction. Finally, interactions were shown to affect flow and satisfaction, confirming that class design that creates interaction is also importa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low and satisfaction of Korean culture classes conducted remotely in real-time for overseas universities. Factors were divided into motivations, tasks, and interactions, and the r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low and satisfaction of Korean culture classes conducted remotely in real-time for overseas universities. Factors were divided into motivations, tasks, and interactions, and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they had with flow and satisfaction were explor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class desig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a semester of a synchronous distance Korean culture class at a Vietnamese university. Noteworthy points in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the factors studied, tasks were shown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flow and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weekly vocabulary note, which focuses on Korean vocabulary related to cultural topics,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Regarding motivation, the students who were motivated by interest in Korean culture had the highest levels of flow and satisfaction. Therefore, if a class is designed to maintain or create interest in Korean culture, this sh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low and satisfaction. Finally, interactions were shown to affect flow and satisfaction, confirming that class design that creates interaction is also importa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형, "해외 한국학 온라인 강의의 구성과 운영 방안" 한국어문학회 (132) : 51-76, 2016

      2 박준환, "전문대학 교양수업의 교수・학습 구성요인이 수업만족 및 타인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867-880, 2019

      3 허운나, "인터넷과 화상회의를 활용한 원격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네덜란드 University of Twente의 코스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16 (16): 225-258, 2000

      4 문철우,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으로서의 상호작용과 몰입"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63-72, 2011

      5 박성익,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93-115, 2006

      6 서진숙, "온라인 강의를 활용한 해외 대학의 블렌디드 러닝 사례 연구 - 체코 찰스대학교 한국학과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65) : 223-256, 2016

      7 성태제, "알기 쉬운 통계" 학지사 2019

      8 전미숙, "실시간 원격화상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4 (14): 13-28, 2003

      9 민경아, "실시간 원격 화상 한국어 강의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 인식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1-36, 2020

      10 이해영,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에 따른 차이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129-149, 2020

      1 김지형, "해외 한국학 온라인 강의의 구성과 운영 방안" 한국어문학회 (132) : 51-76, 2016

      2 박준환, "전문대학 교양수업의 교수・학습 구성요인이 수업만족 및 타인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867-880, 2019

      3 허운나, "인터넷과 화상회의를 활용한 원격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네덜란드 University of Twente의 코스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16 (16): 225-258, 2000

      4 문철우,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으로서의 상호작용과 몰입"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63-72, 2011

      5 박성익,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93-115, 2006

      6 서진숙, "온라인 강의를 활용한 해외 대학의 블렌디드 러닝 사례 연구 - 체코 찰스대학교 한국학과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65) : 223-256, 2016

      7 성태제, "알기 쉬운 통계" 학지사 2019

      8 전미숙, "실시간 원격화상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4 (14): 13-28, 2003

      9 민경아, "실시간 원격 화상 한국어 강의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 인식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1-36, 2020

      10 이해영,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에 따른 차이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129-149, 2020

      11 김아영,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9-59, 2010

      12 정기범, "성인 여성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학습몰입과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59-183, 2014

      13 김지운,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의 구조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443-454, 2020

      14 Tran Thi Huong, "베트남에서의 한국학 교육 및 연구 현황과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 (31): 257-274, 2020

      15 김중순, "문화학으로서의 한국학: 특히 동아시아 한국학을 위하여" 한국학연구원 (38) : 195-226, 2009

      16 조남규, "문화예술교육사 수업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수업몰입, 수업 만족, 지속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리춤연구소 11 (11): 69-87, 2015

      17 Csikszentmihalyi, M.,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한울림 2018

      18 이해영,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이 실시간 온라인 한국학 강좌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5 (15): 187-210, 2018

      19 서희전, "대학에서의 국제 원격 화상강의 사례 연구 - 국제 문화이해 인식 및 참여적 수업전략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교육학회 6 (6): 127-160, 2011

      20 송영명, "대학생의 대학 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이 전공 및 교양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977-995, 2018

      21 박명숙, "대학 음악 교양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몰입, 교육만족도 및 학습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3) : 1-16, 2015

      22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19 한류백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20

      23 Greller, W., "Interactions in Online Education: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Routledge 191-204, 2006

      24 Romiszowski, A. J.,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Simon & Schuster Macmillan 438-456, 1996

      25 Moore, J. L., "E-Learning, online learning, and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s : Are they the same?" 14 (14): 129-135, 2011

      26 Moore, M.,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 Wadsworth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