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마음챙김 명상과 점진적 근육이완법이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및 관련된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9521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 心理學科 , 2017.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158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associated psychological factor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형태사항

        vii, 55 p. : 삽도 ; 55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미리혜
        부록: 1. 설문지.  - 2. 홍보물.  - 3. 서약서.  - 4. 프로그램 참가 소감문
        참고문헌: p. 37-43

      • 소장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과 점진적 근육이완법이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지각된 스트레스, 충동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이며, 스마트폰 중독을 문제라고 여기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 중 스마트폰 중독 특성을 지닌 여대생을 선별하였고, 최종 선별된 21명은 무선할당을 통해 마음챙김 명상 집단에 12명, 점진적 근육이완 집단에 9명으로 할당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집단과 점진적 근육이완법 집단은 각각 주 1회, 약 60분씩 총 4회기의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과 점진적 근육이완법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집단, 점진적 근육이완법 집단에게 프로그램 전, 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충동성 척도(BIS-11), 자기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과 점진적 근육이완법 집단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지각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그 효과는 추후검사에서도 지속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점진적 근육이완법 집단이 마음챙김 집단과 비교하여 충동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자기효능감은 사전에 비해 추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과 점진적 근육이완법이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지각된 스트레스, 충동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과 점진적 근육이완법이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지각된 스트레스, 충동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이며, 스마트폰 중독을 문제라고 여기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 중 스마트폰 중독 특성을 지닌 여대생을 선별하였고, 최종 선별된 21명은 무선할당을 통해 마음챙김 명상 집단에 12명, 점진적 근육이완 집단에 9명으로 할당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집단과 점진적 근육이완법 집단은 각각 주 1회, 약 60분씩 총 4회기의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과 점진적 근육이완법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집단, 점진적 근육이완법 집단에게 프로그램 전, 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충동성 척도(BIS-11), 자기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과 점진적 근육이완법 집단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지각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그 효과는 추후검사에서도 지속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점진적 근육이완법 집단이 마음챙김 집단과 비교하여 충동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자기효능감은 사전에 비해 추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associated psychological factor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who engaged in smartphone assessed smarphone addiction is a problem for them. 21 students were selected by S-scale(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 assigned to 12 i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9 in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program were administered for 4 sessions (60 minutes each, once a week).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completed pre-test, post-test. 4 weeks follow-up test. As the measurement tool, the researcher used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S-scale), Perceived Stress Scale(PSS), Barratt Impulsiveness Scale-11(BIS-11), General Self Efficacy Scale). As the result of analysis, smartphone addiction and perceived str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and the effect kept on the follow-up test. Smartphone usage tim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Impuls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compared to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4 weeks follow-up test.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associated psychological factor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associated psychological factor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who engaged in smartphone assessed smarphone addiction is a problem for them. 21 students were selected by S-scale(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 assigned to 12 i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9 in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program were administered for 4 sessions (60 minutes each, once a week).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completed pre-test, post-test. 4 weeks follow-up test. As the measurement tool, the researcher used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S-scale), Perceived Stress Scale(PSS), Barratt Impulsiveness Scale-11(BIS-11), General Self Efficacy Scale). As the result of analysis, smartphone addiction and perceived str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and the effect kept on the follow-up test. Smartphone usage tim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Impuls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compared to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4 weeks follow-up test.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이론적 배경 1
      • Ⅱ. 방법 10
      • 1. 참여자 10
      • 2. 측정도구 11
      • Ⅰ. 서론 1
      • 1. 이론적 배경 1
      • Ⅱ. 방법 10
      • 1. 참여자 10
      • 2. 측정도구 11
      • 1)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 11
      • 2) 스마트폰 사용시간 측정 앱 11
      • 3)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The Perceived Stress Scale : PSS) 12
      • 4) 충동성 척도(Barratt Impulsiveness Scale-11,BIS-11) 12
      • 5) 자기효능감 척도 (General Self-Efficacy Scale) 12
      • 3. 절차 13
      • 4. 프로그램 구성 14
      • 5. 분석방법 19
      • Ⅲ. 결과 20
      • Ⅳ. 논의 33
      • 참고문헌 37
      • 부록 44
      • ABSTRACT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