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 연구 : 김홍도 풍속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2177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 국악교육전공 , 2016. 2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Research on methodological analysis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 focusing on the genre scenes of Kim Hong-do

      • 형태사항

        v, 111장 : 삽화, 악보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호붕
        참고문헌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악은 연주 되었던 시대의 삶을 반영하고,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특히 유아기부터 자연스럽게 국악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유아가 속한 집단의 유지 및 정체성 강화에 도움이 된다. 유아들이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유아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직․간접 경험으로 접할 수 있는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가가 표현한 여러 미술적 요소들을 통해 사회․문화적 맥락을 담고 있는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방법 연구를 위해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김홍도의 풍속화 「타작」,「밭갈이」,「무동」,「씨름」,「고누놀이」를 활용해서 17차시의 수업모형을 계획하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사전․사후에 국악 성취도 검사(이해 및 탐색 영역, 표현 및 창작 영역, 감상 및 친밀도 영역)를 진행하여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 후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였다.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과, 수업을 진행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의 국악 성취도를 측정한 영역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지도교수방안 연구가 유아의 국악 성취도 측정을 위한 ‘이해 및 탐색’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학습방법 연구가 유아의 국악 성취도 측정을 위한‘표현 및 창작’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지도교수방안 연구가 유아의 국악 성취도 측정을 위한‘감상 및 친밀도’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풍속화와 국악을 통합하여 유아에게 적절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을 때, 유아가 흥미를 가지고 유아국악교육에 접근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다양한 풍속화를 활용하여 유아의 눈높이와 흥미에 맞는 교수 지도 방안이 개발되어 교사와 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국악의 소중함을 알고, 국악에 대한 관심을 통해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더 나아가 유아교사에게도 국악이 친숙해져서 보다 다양한 영역을 통합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 연구가 많이 진행되길 바란다.
      번역하기

      국악은 연주 되었던 시대의 삶을 반영하고,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특히 유아기부터 자연스럽게 국악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유아가 속한 집단의 유지 및 정체성 강...

      국악은 연주 되었던 시대의 삶을 반영하고,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특히 유아기부터 자연스럽게 국악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유아가 속한 집단의 유지 및 정체성 강화에 도움이 된다. 유아들이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유아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직․간접 경험으로 접할 수 있는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가가 표현한 여러 미술적 요소들을 통해 사회․문화적 맥락을 담고 있는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방법 연구를 위해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김홍도의 풍속화 「타작」,「밭갈이」,「무동」,「씨름」,「고누놀이」를 활용해서 17차시의 수업모형을 계획하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사전․사후에 국악 성취도 검사(이해 및 탐색 영역, 표현 및 창작 영역, 감상 및 친밀도 영역)를 진행하여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 후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였다.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과, 수업을 진행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의 국악 성취도를 측정한 영역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지도교수방안 연구가 유아의 국악 성취도 측정을 위한 ‘이해 및 탐색’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학습방법 연구가 유아의 국악 성취도 측정을 위한‘표현 및 창작’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지도교수방안 연구가 유아의 국악 성취도 측정을 위한‘감상 및 친밀도’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풍속화와 국악을 통합하여 유아에게 적절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을 때, 유아가 흥미를 가지고 유아국악교육에 접근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다양한 풍속화를 활용하여 유아의 눈높이와 흥미에 맞는 교수 지도 방안이 개발되어 교사와 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국악의 소중함을 알고, 국악에 대한 관심을 통해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더 나아가 유아교사에게도 국악이 친숙해져서 보다 다양한 영역을 통합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 연구가 많이 진행되길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traditional music reflects the life of the age that it was performed in and entirely contains the social and the cultural context of the time. In particular, the natural exposure to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ributes to the maintaining of the group a child is involved in and to the strengthen his or her identity. In this perceptional way, it has emerged as a necessit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th applied Genre Scenes that a child shall be in intimate contact with, stimulate his or her imagination, and be directly and indirectly able to experience them.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that present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rough the various artistic factors intended by the artist is deduced.
      In order to study the pedagogical method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music, utilizing the Genre Scenes, targeting the fully 5 year old child the instructional model has been developed with 17 occasions of lecture, applying the Genre Scenes of Kim Hong-do, namely 「Tarjak」, 「Batgali」, 「Mudong」, 「Ssirum」, 「Gonu Game」.
      The collected data from the pre-assessment and the ex-post evaluation from the lecturing on the achiev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analysed by IBM SPSS 22.0 to approach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Scope of Comprehension and Observation, Scope of Articulation and Creation, Scope of Appreciation and Intimacy)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n the achiev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the comparison of the lesson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applying Genre Scenes in an experienced group and an unexperienced group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stud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a positive effect has been stated in the scope of 'Comprehension and Observation' in the achievements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Second, in the stud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a positive effect has been indicated in the scope of 'Articulation and Creation' in the achievements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by the stud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a positive effect has been drawn in the scope of 'Appreciation and Intimacy' in the achievements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As synthesized in the analyzed ideas of this research, as applied to a child with the methodological practice of the appropriate proposal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integrating the Genre Scenes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a positive effect shall be anticipated upon its conclusion in approaching the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ield with such attractiveness.
      At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ose methodological practices down at the level of a child with such attractiveness, utilizing more various Genre Scenes shall lead to further actual us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its preciousness by both an instructor and a child through the interest of the traditional music in ordinary life. By extension, courtesy of having early childhood instructors ease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a lot of research into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ombined with a wider variety of areas shall be accomplished well.
      번역하기

      Korean traditional music reflects the life of the age that it was performed in and entirely contains the social and the cultural context of the time. In particular, the natural exposure to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ributes to the maintain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reflects the life of the age that it was performed in and entirely contains the social and the cultural context of the time. In particular, the natural exposure to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ributes to the maintaining of the group a child is involved in and to the strengthen his or her identity. In this perceptional way, it has emerged as a necessit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th applied Genre Scenes that a child shall be in intimate contact with, stimulate his or her imagination, and be directly and indirectly able to experience them.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that present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rough the various artistic factors intended by the artist is deduced.
      In order to study the pedagogical method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music, utilizing the Genre Scenes, targeting the fully 5 year old child the instructional model has been developed with 17 occasions of lecture, applying the Genre Scenes of Kim Hong-do, namely 「Tarjak」, 「Batgali」, 「Mudong」, 「Ssirum」, 「Gonu Game」.
      The collected data from the pre-assessment and the ex-post evaluation from the lecturing on the achiev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analysed by IBM SPSS 22.0 to approach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Scope of Comprehension and Observation, Scope of Articulation and Creation, Scope of Appreciation and Intimacy)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n the achiev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the comparison of the lesson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applying Genre Scenes in an experienced group and an unexperienced group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stud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a positive effect has been stated in the scope of 'Comprehension and Observation' in the achievements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Second, in the stud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a positive effect has been indicated in the scope of 'Articulation and Creation' in the achievements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by the stud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a positive effect has been drawn in the scope of 'Appreciation and Intimacy' in the achievements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As synthesized in the analyzed ideas of this research, as applied to a child with the methodological practice of the appropriate proposal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integrating the Genre Scenes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a positive effect shall be anticipated upon its conclusion in approaching the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ield with such attractiveness.
      At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ose methodological practices down at the level of a child with such attractiveness, utilizing more various Genre Scenes shall lead to further actual us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its preciousness by both an instructor and a child through the interest of the traditional music in ordinary life. By extension, courtesy of having early childhood instructors ease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a lot of research into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ombined with a wider variety of areas shall be accomplished wel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 3. 선행연구 고찰 7
      • Ⅱ. 이론적 배경 11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 3. 선행연구 고찰 7
      • Ⅱ. 이론적 배경 11
      • 1. 유아의 음악성 11
      • 2. 유아국악교육 20
      • 3. 풍속화의 이해와 교육적 가치 28
      • Ⅲ.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학습 지도방안 및 적용 36
      • 1.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학습 수업계획안 36
      • 2. 차시별 교수-학습 지도 계획안 38
      • Ⅳ. 검사 결과 및 분석 70
      • 1. 국악성취도 검사 실시 결과 70
      • 2.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국악성취도 검사 실시 결과분석 77
      • Ⅴ. 결론 86
      • 1. 결론 86
      • 2. 제언 87
      • 참고문헌 89
      • 부록 93
      • 국문초록 106
      • Abstract 1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