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住居面積과 水壓이 生活用水量에 미치는 影響 = Effect on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by the Water Pressure and the House Siz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3609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가정에서 생활용수의 사용형태와 이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여 배수지로부터 일반가정으로 공급되는 수압의 분포가 생활 용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지역으로는 수압의 분포를 뚜렷이 확인할 수 있는 공동주택으로써 송파구의 한양아파트와 양천구의 목동아파트를 선정하여 생활용수량과 거주인원을 조사하였다. 생활용수의 용도에 따라 사용량에 변화를 주는 영향인자들을 파악하고, 주거면적과 수압의 변화가 생활용수의 사용량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는 가를 분산분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수압에 의한 사용량의 차이를 요금으로 환산하였고, 각 세대에 거주하는 인원에 따라 변화하는 생활용수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주거면적의 증가에 따른 사용량의 증가형태와 각 세대에 거주하는 인원의 증가에 따른 1인당 사용수량의 감소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가수조와의 거리 즉, 층에 따른 수압의 변화가 사용량에 영향을 주어 저층 부분에서의 사용량이 전체 평균사용량과는 4%, 고층부분의 사용량과는 18%의 차이로 고가수조와의 거리가 멀수록 수압이 증가하여 사용량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상수사용자의 물사용 습관의 개선과 공급수압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이 요구되며, 근본적인 절수대책의 수립과 실천에 있어 필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반가정에서 생활용수의 사용형태와 이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여 배수지로부터 일반가정으로 공급되는 수압의 분포가 생활 용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토...

      본 연구는 일반가정에서 생활용수의 사용형태와 이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여 배수지로부터 일반가정으로 공급되는 수압의 분포가 생활 용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지역으로는 수압의 분포를 뚜렷이 확인할 수 있는 공동주택으로써 송파구의 한양아파트와 양천구의 목동아파트를 선정하여 생활용수량과 거주인원을 조사하였다. 생활용수의 용도에 따라 사용량에 변화를 주는 영향인자들을 파악하고, 주거면적과 수압의 변화가 생활용수의 사용량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는 가를 분산분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수압에 의한 사용량의 차이를 요금으로 환산하였고, 각 세대에 거주하는 인원에 따라 변화하는 생활용수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주거면적의 증가에 따른 사용량의 증가형태와 각 세대에 거주하는 인원의 증가에 따른 1인당 사용수량의 감소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가수조와의 거리 즉, 층에 따른 수압의 변화가 사용량에 영향을 주어 저층 부분에서의 사용량이 전체 평균사용량과는 4%, 고층부분의 사용량과는 18%의 차이로 고가수조와의 거리가 멀수록 수압이 증가하여 사용량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상수사용자의 물사용 습관의 개선과 공급수압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이 요구되며, 근본적인 절수대책의 수립과 실천에 있어 필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by the water pressure and the house size.
      Two apartment sites which had elevated water tanks on the roof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area for this study.
      Two analysis techniques,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Analysis of Correlat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was increased by 3~18% in propotion to the increase of house size.
      2.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was increased by 4- 18% in propotion to the increase of water pressure.
      3.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reduced by maximum 10% in propotion to the increase of persons in each house.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by the water pressure and the house size. Two apartment sites which had elevated water tanks on the roof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area for this study. Two analysis tech...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by the water pressure and the house size.
      Two apartment sites which had elevated water tanks on the roof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area for this study.
      Two analysis techniques,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Analysis of Correlat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was increased by 3~18% in propotion to the increase of house size.
      2.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was increased by 4- 18% in propotion to the increase of water pressure.
      3.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reduced by maximum 10% in propotion to the increase of persons in each hou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 감사의 글 = ⅱ
      • 목차 = ⅲ
      • 표목차 = ⅴ
      • 그림목차 = ⅶ
      • 국문요약 = ⅰ
      • 감사의 글 = ⅱ
      • 목차 = ⅲ
      • 표목차 = ⅴ
      • 그림목차 = ⅶ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목적 = 2
      • 1.2 연구동향 = 3
      • 제2장 생활용수의 사용형태 = 6
      • 2.1 생활용수의 보급 현황 = 6
      • 2.2 생활용수의 용도별 사용형태 = 11
      • 2.2.1 외국에서의 용도별 상수사용 비율 = 12
      • 2.2.2 우리나라의 용도별 상수사용 비율 = 14
      • 2.3 생활용수의 급수방식 분류 = 15
      • 제3장 기본자료 = 20
      • 3.1 조사개요 = 20
      • 3.2 조사 자료 세대 = 23
      • 3.3 세대별 거주인원 조사 = 26
      • 3.4 사용수량 조사 (온수, 냉수) = 27
      • 3.5 조사에 있어서의 문제점 = 29
      • 제4장 자료분석 = 30
      • 4.1 분석기법 = 30
      • 4.1.1 분산분석 = 30
      • 4.1.2 상관분석 = 31
      • 4.2 사용형태 분석 = 32
      • 4.2.1 용도별 분석 = 32
      • 4.2.2 주거면적에 따른 사용수량의 변화 = 34
      • 4.2.3 수압에 따른 사용수량의 변화 = 38
      • 4.2.4 세대인원에 따른 분석 = 45
      • 4.3 사용수량 차이의 요금 환산 = 46
      • 제5장 결론 = 49
      • 참고문헌 = 51
      • ABSTRACT =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