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韓國文集中楚辭序跋考論 = Research on the preface and postscript of articles concerning Chu Ci in the collected works of ancient Korean schol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82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문집속의 10명의 문인들이 지은 13편의 초사 관련 서발문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에서의 한국에서의 초사 판본의 전파와 한국의 초사 연구 양상을 연구하였다. 한국 문집 속의 ...

      본고는 한국문집속의 10명의 문인들이 지은 13편의 초사 관련 서발문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에서의 한국에서의 초사 판본의 전파와 한국의 초사 연구 양상을 연구하였다. 한국 문집 속의 이 13편 서발문은 모두 한국과 중국 역사에서 초사 판본의 전파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증거이다. 초사 서발문에서 언급되었던 초사 판본은 현재 중국 판본의 장번시녀사해례초사(莊蘩詩女士楷隸楚辭)만 남아있고, 기타 판본은 유실되어 진일보 탐색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문집속에 수록된 서발문에 초사 판본의 전파, 초사 문학 평점, 초사 주석본 품평 등 여러 측면의 내용을 통해 한중 초사 판본의 전파 양상과 한국 문인들의 초사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다. 우선 한국에 『초사(楚辭)』필사본이 아주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李頤命의 『楚辭』 鈔本, 金氏의 『楚詞』鈔本, 申光裕와 任允摯堂의『楚辭合』鈔本, 童漢의 『楚辭抄』등이다. 동시에 우리는 李種徽의 「題楚詞新集註後」에 근거하여 李氏가 수장했던『楚辭新注』판본이 건륭3년(1738)본이며 한국에 유입된 시간은 1756년 이전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판본이 乾隆三年(1738)原刊本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고증이 필요하다. 동시에 서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屈復의『楚辭新註』는 중국의『楚辭新註』판본의 중요한 보완이다. 이밖에 金沢榮이『毗陵莊蘩詩女士楷隸楚辭』에 대해 지은 발문은 한중 문인 사이의 교유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毗陵莊蘩詩女士楷隸楚辭』는 중국 초사법서(楚辭法書)의 중요한 판본이므로 마땅히 중국초사법서 작품의 해제에 편입되어야 한다. 다음 한국 고대 문인들이 초사를 평점할 때, 굴원 및 주희의 관점에 대한 평론은 중국 문인들의 논점과 서로 맞물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한국문집의 초사 서발문에서 申維翰은 “虛實相生” 黃景源은 “六義” 司空檍은 “哀而不怨,深得風雅之体”라는 표현을 사용하여『楚辭』에 문학적인 비평을 진행하였고 이는 모두 한국 문인들이 초사에 대한 최고의 평가라 볼 수 있다. 그 중 申維翰의 “虛實相生”의 관점은 論騷史에 있어 그야말로 시초라 할 수 있다. 그 다음 한국 고대 문인들이 주희의 『楚辭集注』 을 좋아하고 존중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동시에 한국 고대 문인들은 『楚辭章句』, 『楚辭補注』, 楚辭新註』 3종의 주석본에 대해서도 품평을 하고 존숭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논의들을 종합하여 볼 때, 한국 문집 속의 초사 관련 서발문은 초사 판본의 전파, 초사 문학 평점, 초사 주석본의 품평 등 중요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가치가 있다. 그러나 필자는 단지 『韓國歷代文集叢書』, 『韓國文集叢刊』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기에 연구대상의 자료가 제한적인 점이 있다. 필자는 향후 관련 자료를 더욱 많이 수집하여 진일보 심도있는 논문을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任憲晦, "鼓山集 卷9" 民族文化推進會 2003

      2 申維翰, "青泉集 續集 卷2" 民族文化推進會 1997

      3 申維翰, "青泉集 卷6" 民族文化推進會 1997

      4 司空檍, "茶泉集 卷3" 景仁文化社 1994

      5 李頤命, "疎齋集 卷10" 民族文化推進會 1996

      6 黃景源, "江漢集 卷8" 民族文化推進會 1999

      7 崔富章, "楚辭書錄解題" 高等教育出版社 2010

      8 盧景任, "敬菴集 卷4" 民族文化推進會 1991

      9 李荇, "容齋集 卷5" 民族文化推進會 1988

      10 李種徽, "修山集 卷10" 民族文化推進會 2000

      1 任憲晦, "鼓山集 卷9" 民族文化推進會 2003

      2 申維翰, "青泉集 續集 卷2" 民族文化推進會 1997

      3 申維翰, "青泉集 卷6" 民族文化推進會 1997

      4 司空檍, "茶泉集 卷3" 景仁文化社 1994

      5 李頤命, "疎齋集 卷10" 民族文化推進會 1996

      6 黃景源, "江漢集 卷8" 民族文化推進會 1999

      7 崔富章, "楚辭書錄解題" 高等教育出版社 2010

      8 盧景任, "敬菴集 卷4" 民族文化推進會 1991

      9 李荇, "容齋集 卷5" 民族文化推進會 1988

      10 李種徽, "修山集 卷10" 民族文化推進會 2000

      11 任允摯堂, "任允摯堂遺稿 上篇 卷6" 民族文化推進會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9 0.732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