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캐스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2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3 장영미, "전후 아동소설 연구 -『그리운 메아리』와『메아리 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학회 (22) : 205-229, 2012
4 이상현, "아동문학강의" 일지사 1991
5 이영미, "북한 아동문학과 교육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225-260, 2006
6 이영미, "북한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12
7 이영미, "리원우의 <도끼장군>에 대한 연구" 국제한인문학회 1 (1): 250-290, 2013
8 원종찬, "강소천 소고—해방기 북한체제에서 발표된 동화와 동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3) : 7-36, 2013
9 이종호, "강소천 동화의 서사 전략 연구- 단편 동화를 중심으로 -" 동화와번역연구소 (12) : 187-185, 2006
10 공선희, "강소천 동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6
1 캐스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2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3 장영미, "전후 아동소설 연구 -『그리운 메아리』와『메아리 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학회 (22) : 205-229, 2012
4 이상현, "아동문학강의" 일지사 1991
5 이영미, "북한 아동문학과 교육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225-260, 2006
6 이영미, "북한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12
7 이영미, "리원우의 <도끼장군>에 대한 연구" 국제한인문학회 1 (1): 250-290, 2013
8 원종찬, "강소천 소고—해방기 북한체제에서 발표된 동화와 동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3) : 7-36, 2013
9 이종호, "강소천 동화의 서사 전략 연구- 단편 동화를 중심으로 -" 동화와번역연구소 (12) : 187-185, 2006
10 공선희, "강소천 동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6
11 박영기, "<꿈을 찍는 사진관> 소론" 22 : 2005
12 이영미, "1950년대 북한 아동문학교양장(場) 연구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아동문학』 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66) : 329-35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