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성주향교(星州鄕校)의 창건과 변천 과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85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yanggyo in Seongju(星州鄕校), designated as Treasure No.1575, has a distinctive plan. The main shrine hall(大成殿, religious area) is located on the left(east) and the main lecture hall(明倫堂, studying area) is on the right(west). This...

      The Hyanggyo in Seongju(星州鄕校), designated as Treasure No.1575, has a distinctive plan. The main shrine hall(大成殿, religious area) is located on the left(east) and the main lecture hall(明倫堂, studying area) is on the right(west). This type of the plan is shown in only a few cases, and is known as a style of late Joseon Dynasty. But this type of plan was already formed in the 16th century in the Hyanggyo in Seongju. That is the earliest example in the same type of pla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al process of the Hyanggyo in Seongju through analysis of various bibliograph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Hyanggyo in Seongju enshrining clay figure(塑像), was established already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is result was discovered by analyzing the changing process of systems of Confucian shrines from clay figure to spirit plate(木主)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2. It is confirmed that the main shrine hall and elevated pavilion existed in the 15th century. At that time it is presumed that the courtyard was surrounded by 4 buildings, which are mixed style of religious and studying area, called Myohakdonggoong(廟學同宮).
      3. In the 1560’s, the studying area was separated from the existing buildings by Hwang, Jun-Ryang(黃俊良). The current plan(left-shrine, right-lecture) was accomplished at that time. The reason of this change is supposed to apply the existing buildings and its location as it was, and to be influenced by the Hyanggyo in Punggi(豊基鄕校), which was relocated in 1543 by Joo, Se-Boong(周世鵬).
      4. Most of buildings had been burned down by the fire during Japanese Invasion called Imjin War, since then many buildings were restored on the existing location in early 17th century except elevated pavilion, and remained so f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입지 및 배치 현황
      • 3. 소상(塑像) 봉안과 성주향교의 창건 연대
      • 4. 성주향교 변천과정
      • Abstract
      • 1. 서론
      • 2. 입지 및 배치 현황
      • 3. 소상(塑像) 봉안과 성주향교의 창건 연대
      • 4. 성주향교 변천과정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영화, "향교건축의 樓에 관한 연구"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5

      2 高明士, "한국교육사연구" 대명출판사 1995

      3 조영화, "조선후기 양사재 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9 (9): 2000

      4 "조선왕조실록"

      5 이정국, "조선시대 향교건축의 배치와 공간구성에 관한연구-전라도와 경상도를 중심으로-" 6 (6): 1990

      6 이정수, "조선시대 향교․서원건축 구성형식의 비교연구" 7 (7): 1987

      7 정기철, "제4장 문묘 건축제도의 성립과 그 국가별 전개, 서울 문묘 실측조사보고서(상)" 문화재청 2006

      8 도윤수, "제2장 문묘 연혁 및 배치, In 서울 문묘 일원 종합정비계획" 서울특별시 종로구 2009

      9 "신증동국여지승람"

      10 성주향교, "성주향교지"

      1 조영화, "향교건축의 樓에 관한 연구"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5

      2 高明士, "한국교육사연구" 대명출판사 1995

      3 조영화, "조선후기 양사재 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9 (9): 2000

      4 "조선왕조실록"

      5 이정국, "조선시대 향교건축의 배치와 공간구성에 관한연구-전라도와 경상도를 중심으로-" 6 (6): 1990

      6 이정수, "조선시대 향교․서원건축 구성형식의 비교연구" 7 (7): 1987

      7 정기철, "제4장 문묘 건축제도의 성립과 그 국가별 전개, 서울 문묘 실측조사보고서(상)" 문화재청 2006

      8 도윤수, "제2장 문묘 연혁 및 배치, In 서울 문묘 일원 종합정비계획" 서울특별시 종로구 2009

      9 "신증동국여지승람"

      10 성주향교, "성주향교지"

      11 성주군, "성주향교 복원 및 정비계획 수립" 성주군 2009

      12 성주군, "성주향교 대성전 수리보고서" 성주군 2004

      13 "삼국사기"

      14 "고려사"

      15 "고려도경"

      16 정명섭, "경북지역 향교건축 명륜당의 개구부 변천에 관한 연구-대청과 방 사이의 경계벽을 중심으로-" 1 (1): 1992

      17 金一鎭, "韓國建築의 영雙窓에 關한 硏究: 鄕校·書院·寺刹建築을 中心으로" 東國大學校 大學院 1988

      18 "陽村集"

      19 "鄕校重修記"

      20 金知民, "鄕校建築의 造營規範에 관한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2

      21 "退溪先生文集"

      22 "象村稿"

      23 "續東文選"

      24 "竹溪志"

      25 "洪武禮制"

      26 "朝鮮寰輿勝覽"

      27 姜銳碩, "星州鄕校에 관한 復元的 연구 : 明倫堂을 중심으로"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1

      28 "星州郡邑誌"

      29 "星州牧邑誌"

      30 "星州牧誌"

      31 "星山誌" 경인문화사 1990

      32 "嶠南誌" 경인문화사 1990

      33 정명섭, "尙州鄕校의 配置形式 變遷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3 (13): 7-18, 2004

      34 "學校謄錄, In 국역 학교등록 1-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35 "大東野乘"

      36 이원정, "京山志" 성주문화원 1997

      37 "五洲衍文長箋散稿"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