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건설산업 폐기물의 리싸이클링 시스템 및 재활용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연차)  :  (A Study on the Recycling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Reusing Technology of Industry Wast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of-the-art and controversial points for what concerns construction wastes and point out the political measures which is needed in order to promote the appropriate disposal and economical recyc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of-the-art and controversial points for what concerns construction wastes and point out the political measures which is needed in order to promote the appropriate disposal and economical recycling of the such wastes. With this view in mind, to obtain referenc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cycling system and draw a basic data for the guideline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for actualization in construction sites as well as mix design used recycled aggregates, this study deals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workability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lassified by the factors such as blending ratios of recycled aggregates, addition of fly-ash, and kinds of coarse aggregates. And also in this paper, it is examined the application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to the concrete struc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폐기물과 연관된 실태 및 문제점을 조사하고 그러한 폐기물의 경제적인 리사이클링과 적정처리를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책방안을 제안하고, 폐기 콘크리트의 재...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폐기물과 연관된 실태 및 문제점을 조사하고 그러한 폐기물의 경제적인 리사이클링과 적정처리를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책방안을 제안하고, 폐기 콘크리트의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에서는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폐기콘크리트 재생골재를 사용한 조합설계(mix design) 및 재생골재콘크리트의 현장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작성하기 위하여 여러 요인에 따른 재생골재콘크리트의 시공성 및 공학적 특성의 비교, 분석을 행하였다. 재생골재콘크리트의 실험은 천연골재와 재생골재의 혼입비율, 플라이애시의 첨가율, 조골재의 품종변화 등의 실험조건을 설정하여 행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재생골재콘크리트의 적용성에 대하여도 검토를 행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내용 및 방법
      • 1.3 연구개발 프로세스
      • 1.4 용어의 정의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내용 및 방법
      • 1.3 연구개발 프로세스
      • 1.4 용어의 정의
      • 2. 건설폐기물의 처리ㆍ재활용 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조사연구
      • 2.1 건설폐기물의 종류 및 특성
      • 2.2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규정 및 경제성 검토
      • 2.3 건설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ㆍ재활용 실태(설문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2.4 건설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의 문제점
      • 2.5 외국의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현황
      • 3. 건설폐기물의 장래 발생량의 예측
      • 3.1 고정자본스톡과 건설구조물의 수명
      • 3.2 폐기콘크리트 발생량의 예측
      • 3.3 폐기아스팔트콘크리트 발생량의 예측
      • 3.4 건설토사 발생량의 예측
      • 3.5 예측결과의 종합
      • 4. 건설폐기물의 적정처리 및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
      • 4.1 건설폐기물의 적정처리 및 재활용 대책의 기본전략
      • 4.2 건설폐기물의 적정처리 및 재활용 촉진대책
      • 4.3 건설폐기물 정보교환시스템 및 매니패스트시스템
      • 5. 건설폐기물외 적정처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안) 및 행동지침(안)의 설정
      • 5.1 건설폐기물 적정처리 가이드라인(안)의 설정
      • 5.2 건설폐기물의 적정처리를 위한 행동계획지침의 설정
      • 6. 폐기콘크리트 재활용 기술검토 및 재생처리프로세스의 개선방안 연구
      • 6.1 폐기콘크리트의 적정처리 및 재활용 방안
      • 6.2 골재플랜트에 있어서 재생골재 고도처리기계의 개발상황
      • 6.3 재생제ㆍ조골재의 생산비율과 품질에 미치는 제조방법의 영향 검토
      • 7. 재생골재콘크리트의 시공성 및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재생골재 혼합조건 및 플라이애쉬의 혼입율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7.1 서론
      • 7.2 실험계획 및 실험방법
      • 7.3 실험결과의 분석 및 검토
      • 7.4 소결론
      • 7.5 재생골재의 품질기준(안) 및 재생조골재를 사용한 재생골재콘크리트의 사용규준시안의 제안
      • 8. 종합결론 및 정책건의
      • 8.1 종합결론
      • 8.2 건설폐기물의 적정처리 및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건의
      • 8.3 향후 연구과제
      • [참고문헌]
      • 부록
      • 1. 서론
      • 1.1 연구배경
      • 1.2 연구목적
      • 1.3 건설폐기물 종류 및 처리현황
      • 2.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실태 및 연구현황
      • 2.1 국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기준 및 이용실태
      • 2.2 국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연구
      • 2.3 외국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실태
      • 3. 폐콘크리트의 재생
      • 3.1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
      • 3.2 폐콘크리트 파쇄시스템
      • 3.3 폐콘크리트 파쇄기
      • 3.4 재활용골재 생산장비
      • 3.5 도로 성토용 재생골재 생산
      • 3.6 폐콘크리트 재활용의 경제성 분석
      • 4. 재활용골재의 도로 성토재로서의 적합성 연구
      • 4.1 도로의 역사
      • 4.2 골재 재활용 실태
      • 4.3 도로공사의 기준
      • 4.4 시험결과 및 분석
      • 4.5 결론
      • 5. 건설폐기물의 환경영향 평가
      • 5.1 폐기물의 분류 및 유해성 판정기준
      • 5.2 용출시험의 용도 및 종류
      • 5.3 용출시험
      • 5.4 시험결과 및 분석
      • 5.5 결론
      • 6. 결론
      • 6.1 파쇄장비 및 경제성
      • 6.2 재활용골재의 도로 성토재로의 적합성
      • 6.3 환경 영향 평가
      • 참고문헌
      • (부록)
      • 1. 도로 성토재로 사용하기 위한 재생골재 시방서
      • 2. 일본견학 요약서
      • 3. 재활용 현장 및 시험시공 관련사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