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678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empowerment and teacher efficac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형태사항

        iii, 77 p. ; 26 cm

      •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선미
        참고문헌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10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네가지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7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임파워먼트는 Short와 Rinehart(1992)가 개발하고 이철수(2007)가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셋째, 교수효능감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를 기초로 하여 이를 어린이집의 일반적인 상황에 맞게 김희태(2007)가 사용한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효과성은 Poter, Steers, Boulian(1974)이 개발한 조직 헌신성 질문지와 노종희(2001)가 개발한 ‘교사 직무만족 설문지(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TJSQ), 김찰걸(1983)의 학교조직 효과성의 측정도구를 어린이집 기관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김동춘(1998)의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예비조사에서 보육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 조직효과성에 대하여 기술통계를 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값을 알아보았고, Pea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를 독립변인으로 두고 조직효과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의 관계,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의 관계, 조직효과성의 관계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가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며, 보육교사의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을 밝혔다.
      이에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보육의 질 향상을 돕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10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네가지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7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임파워먼트는 Short와 Rinehart(1992)가 개발하고 이철수(2007)가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셋째, 교수효능감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를 기초로 하여 이를 어린이집의 일반적인 상황에 맞게 김희태(2007)가 사용한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효과성은 Poter, Steers, Boulian(1974)이 개발한 조직 헌신성 질문지와 노종희(2001)가 개발한 ‘교사 직무만족 설문지(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TJSQ), 김찰걸(1983)의 학교조직 효과성의 측정도구를 어린이집 기관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김동춘(1998)의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예비조사에서 보육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 조직효과성에 대하여 기술통계를 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값을 알아보았고, Pea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를 독립변인으로 두고 조직효과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의 관계,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의 관계, 조직효과성의 관계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관계가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며, 보육교사의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을 밝혔다.
      이에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보육의 질 향상을 돕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superintendent 's duties and professors influenced and influenced organization' s influ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enter Seoul and Kyonggi. The nam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It learned the answer to the seventh paragraph. Second, empowerment was developed by Short and Rinehart (1992), and Lee, Chul - Soo (2007) asked for correction and supplement. Third, the professor developed effective tools by Enochs and Riggs (1990). The Science Tea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 was used by Kim Hee-tae (2007) to edit the situation of daycare centers through basic education.
      Finall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Poter, Steers, Boulian (1974) and the school organization of the 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JSQ) and Kim Chung-gul (1983) We used the tools of Kim Dong - chun (1998), which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e nursery institution. In the preliminary survey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0 day care teachers. As a research metho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empowerment, teaching -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measur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by Pea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Second, the effects of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data on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nd the teaching - efficacy of the childcare teache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revealed the factors that can rais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helps to form an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that can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ultimately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hild care.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superintendent 's duties and professors influenced and influenced organization' s influ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enter Seoul and Kyonggi. The nam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is as f...

      In this study, the superintendent 's duties and professors influenced and influenced organization' s influ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enter Seoul and Kyonggi. The nam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It learned the answer to the seventh paragraph. Second, empowerment was developed by Short and Rinehart (1992), and Lee, Chul - Soo (2007) asked for correction and supplement. Third, the professor developed effective tools by Enochs and Riggs (1990). The Science Tea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 was used by Kim Hee-tae (2007) to edit the situation of daycare centers through basic education.
      Finall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Poter, Steers, Boulian (1974) and the school organization of the 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JSQ) and Kim Chung-gul (1983) We used the tools of Kim Dong - chun (1998), which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e nursery institution. In the preliminary survey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0 day care teachers. As a research metho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empowerment, teaching -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measur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by Pea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Second, the effects of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data on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nd the teaching - efficacy of the childcare teache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revealed the factors that can rais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helps to form an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that can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ultimately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hild ca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임파워먼트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임파워먼트 7
      • 1) 임파워먼트의 개념 7
      • 2)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소 12
      • 2. 교수효능감 16
      • 1) 교수효능감 개념 16
      • 2) 교수 효능감의 구성요소 18
      • 3. 조직효과성 19
      • 1) 조직효과성의 개념 19
      • 2) 조직효과성의 구성요소 20
      • Ⅲ. 연구방법 23
      • 1. 연구대상 23
      • 2. 연구도구 25
      • 1)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25
      • 2) 임파워먼트 25
      • 3) 교수효능감 26
      • 4) 조직효과성 27
      • 3. 연구절차 28
      • 4. 자료 분석 29
      • Ⅳ. 연구결과 31
      • 1.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수효능감 및 조직효과성의 일반적인 경향 31
      • 1)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31
      • 2)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32
      • 3) 보육교사의 조직효과성 33
      • 2.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 조직효과성의 관계 34
      • 1)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의 간의 상관관계 34
      • 2)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 간의 상관관계 35
      • 3) 교수효능감과 조직효과성 간의 상관관계 36
      • 3.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37
      • 4. 교수효능감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39
      • 5. 임파워먼트와 교수효능감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41
      • Ⅴ. 결론 및 논의 50
      • 1. 요약 및 논의 50
      • 2. 시사점 및 제한점 53
      • 참고문헌 55
      • 부록 63
      • 국문초록 73
      • Abstract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