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버틀러의 수행성 이론으로 본 BTS 뮤직비디오 패션스타일의 젠더 이미지 분석 = An Analysis of Gender Images of Fashion Style in BTS Music Videos Using Judith Butler's Performativity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64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usic videos of BTS go beyond the limit of media promoting music and shows their meaning in various ways and complete the visual message of music through fashion style. BTS' fashion style in the music videos shows a change in symbolic representati...

      The music videos of BTS go beyond the limit of media promoting music and shows their meaning in various ways and complete the visual message of music through fashion style. BTS' fashion style in the music videos shows a change in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genre of each album and song, of which gender images are changing aligned with the music messages of B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gender images of fashion style in BTS music videos and to interpret their meaning based on Judith Butler's theory that performativity creates discourse through iterative process. It is conducted as a research method, an analytical study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literature studies and empirical case analysis.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301 costumes that appeared in 21 official music videos from debut single album '2Cool 4 Skool' released in 2013 to the mini album 'Map of the Soul: Persona' released in 20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roversial fashion style, challenging fashion style, boyish fashion style, hybrid fashion style, the playful fashion style were revealed. The conclusion of studying the gender image of BTS, interpreted by this analysis using Judith Butler's theory, is as follows. The gender image of BTS is the traditional image that identifies with the dominant gender discourse, the resistive gender image that intentionally distances mainstream culture, the eclectic image parodying the gender of the opposing term, and the deconstructive image that transcends the dominant gender discour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정, "현대 남성복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 주디스 버틀러의 정체성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5 (65): 47-61, 2015

      2 김규연, "향수 패션필름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분석 -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적 젠더 정체성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8 (18): 93-109, 2018

      3 Ko, E., "페미니즘의 개념들 [Feminism concepts]" Dongnyok 2015

      4 Yim, O., "페미니스트 정신이론 분석가들 [Feminist psychoanalysts]" The Center for Women’s Culture and Theory 2016

      5 조현순,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패러디, 수행성, 복종, 우울증을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9 (9): 179-207, 2001

      6 Cho, H.,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Judith Butler, gender trouble]" Communicationbooks 2016

      7 Cho, H., "젠더는 패러디다,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트러블 읽기와 쓰기 [Gender is parody, Judith Butler's gender trouble reading and writing]" Hyonamsa 2014

      8 김향자, "젠더 정체성과 페르소나로 수행된 패션 디자인 특성 연구- Judith Butler의 수행성 이론과 Jung의 Archetype 을 중심으로-"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6 : 331-344, 2019

      9 권하진, "영화 <로렌스 애니웨이> 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로렌스의 패션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191-202, 2015

      10 PIAO MEIYING, "새로운 소비문화의 출현과 ‘방탄소년단’ 열풍: 아즈마 히로키와 사이토 미나코의 논의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53) : 115-146, 2019

      1 김현정, "현대 남성복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 주디스 버틀러의 정체성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5 (65): 47-61, 2015

      2 김규연, "향수 패션필름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분석 -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적 젠더 정체성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8 (18): 93-109, 2018

      3 Ko, E., "페미니즘의 개념들 [Feminism concepts]" Dongnyok 2015

      4 Yim, O., "페미니스트 정신이론 분석가들 [Feminist psychoanalysts]" The Center for Women’s Culture and Theory 2016

      5 조현순,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패러디, 수행성, 복종, 우울증을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9 (9): 179-207, 2001

      6 Cho, H.,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Judith Butler, gender trouble]" Communicationbooks 2016

      7 Cho, H., "젠더는 패러디다,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트러블 읽기와 쓰기 [Gender is parody, Judith Butler's gender trouble reading and writing]" Hyonamsa 2014

      8 김향자, "젠더 정체성과 페르소나로 수행된 패션 디자인 특성 연구- Judith Butler의 수행성 이론과 Jung의 Archetype 을 중심으로-"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6 : 331-344, 2019

      9 권하진, "영화 <로렌스 애니웨이> 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로렌스의 패션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191-202, 2015

      10 PIAO MEIYING, "새로운 소비문화의 출현과 ‘방탄소년단’ 열풍: 아즈마 히로키와 사이토 미나코의 논의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53) : 115-146, 2019

      11 Min, K., "보수적 영국사회 BTS에 깜짝놀라…‘대안적 남성상’ 될 것 [The conservative British society was surprised by BTS...It will be 'an alternative male image]"

      12 이민선, "권력과 남성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학회 11 (11): 177-192, 2003

      13 조주영, "‘주체’ 없이 행위성을 설명하기-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5 (25): 73-96, 2014

      14 이강원, "‘젠더’와 트랜스섹슈얼리즘: 성전환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인류학에 대한 성전환적 연구" 비교문화연구소 19 (19): 5-39, 2013

      15 "Young Forever"

      16 "We Are Bulletproof Pt.2"

      17 Entwistle, J., "The fashioned body" Hansung university press 2013

      18 "Spring Day"

      19 "Save Me"

      20 "Run"

      21 "Not Today"

      22 "No More Dream"

      23 "Mic Drop"

      24 Connell, R. W., "Masculinities" Imagine 2010

      25 Kim, Y., "Life trend 2019, gender neutral" Bookie 2018

      26 Berbiguier, M., "K-pop fandoms interpreting k-pop differently: Focus on the BTS X UNICEF "love myself" campaign"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19-21, 2019

      27 "Idol"

      28 Butler, J., "Gender trouble" Munhak 2008

      29 Kim, J., "Gender characterist ics in contemporary men's fashion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etrosexual and ubersexual -" 60 (60): 1-13, 2010

      30 "Fire"

      31 Svendsen, L., "Fashion: A philosophy" MID 2013

      32 Kim, M., "Fashion designer & fashion icon" Gyomoon Publisher 2014

      33 "Danger"

      34 "DNA Opening Scene"

      35 "DNA Close-up Scene"

      36 "Boy With Love"

      37 "Blood Sweat And Tears"

      38 Lee, J., "BTS, art revolution" Parrhesia 2019

      39 Kim, Y., "BTS : The review" RHK 2019

      40 Ahn, S, "An analysis on costume design of in Kor ea : Focusing on the gender performance theory" Hongik University 2019

      41 Kim, M., "Aesthetics in dress, new perspectives of fashion & fashion thinking" Gyomoon Publisher 2013

      42 Park, Y., "'남녀갈등' 보도 그만, 젠더전문성 키우는 언론사들 [Stopping reports of 'gender co nflict', media outlets now looking to develop gendere xperti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6 0.6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