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축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함평나비축제와 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Plan for Local Festivals : Focused on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043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al government being launched today activates local festivals as important means to establish local identity and enhance local image and loc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ata reported by Ministry of Cultures, Sports and Tourism, more than 1,000 local festivals are held in Korea. This indicates that local festivals play a significant role in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cultural effect such as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Local festivals, as general expressions of local culture, are space offered to effectively show and inherit local culture where community culture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history and culture of the area and life of local residents is expressed. Thus, local festivals unite local folks, create common value and lead cultural respond of folks to promote solidarity of local community and community spirit. Also, they become important means that may bring cultural development, enhancement of local image, development of the whole areas such as economy, politics, and society.
      Although local festivals are considered important, they have a lot of problems in reality such as participation of folks as a mere formality, undiscriminated program running and more. Also. they do not function desirable for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and unity of folks. Thus, it is significant to reconsider the value of local festivals as strategic resources for local vitality and seek desirable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effect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nd Geumsan Ginseng Festival and analyzed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 from the approach in terms of content, operation and effect.
      Each local government should invest in creativ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resources and natural landscape to preserve them with local folks, develop local festivals that offers a variety of colorful attractions for many tourists, contribute to activated local development and economy and advertise the areas to others.
      In other words, local government should attract visitors, impress them for revisit or word-of-mouth to lead the festivals to be succeeded. It would probably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y.
      To find the competitive activation plan for local economy through attraction of tourists and culture tourism marketing, local festival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with a lot of improvement. Posi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government as well as people ar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globalize traditional culture, turn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into tourism products, and promote and develop previous festivals toward the world tourism festivals.
      번역하기

      Local government being launched today activates local festivals as important means to establish local identity and enhance local image and loc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ata reported by Ministry of Cultures, Sports and Tourism, more than 1,000 l...

      Local government being launched today activates local festivals as important means to establish local identity and enhance local image and loc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ata reported by Ministry of Cultures, Sports and Tourism, more than 1,000 local festivals are held in Korea. This indicates that local festivals play a significant role in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cultural effect such as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Local festivals, as general expressions of local culture, are space offered to effectively show and inherit local culture where community culture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history and culture of the area and life of local residents is expressed. Thus, local festivals unite local folks, create common value and lead cultural respond of folks to promote solidarity of local community and community spirit. Also, they become important means that may bring cultural development, enhancement of local image, development of the whole areas such as economy, politics, and society.
      Although local festivals are considered important, they have a lot of problems in reality such as participation of folks as a mere formality, undiscriminated program running and more. Also. they do not function desirable for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and unity of folks. Thus, it is significant to reconsider the value of local festivals as strategic resources for local vitality and seek desirable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effect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nd Geumsan Ginseng Festival and analyzed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 from the approach in terms of content, operation and effect.
      Each local government should invest in creativ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resources and natural landscape to preserve them with local folks, develop local festivals that offers a variety of colorful attractions for many tourists, contribute to activated local development and economy and advertise the areas to others.
      In other words, local government should attract visitors, impress them for revisit or word-of-mouth to lead the festivals to be succeeded. It would probably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y.
      To find the competitive activation plan for local economy through attraction of tourists and culture tourism marketing, local festival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with a lot of improvement. Posi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government as well as people ar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globalize traditional culture, turn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into tourism products, and promote and develop previous festivals toward the world tourism festiv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화 시대가 열리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지역이미지 제고 및 지역개발이라는 주요한 수단으로써 지역 축제를 활성화 하고 있다. 문화관광부 자료에 의하면 2010년 현재 지역축제의 수는 1000여개가 넘는다. 이는 지역 축제가 지역문화 개발이라는 문화적 효과 이외에도 지역의 경제개발과 사회개발이라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지역축제는 지역문화의 총체적인 표현으로서 지역문화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계승하는 공간체이며, 지역 축제 속에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및 지역민의 생활 등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해당지역의 공동체 문화가 응축되어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지역축제는 지역민을 하나로 아울러 공동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공동의 문화적 대응을 이끌어 지역사회의 연대와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발전, 지역 이미지 제고, 지역의 경제발전 등,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분야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주요수단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축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에 있어서 지역축제는 주민 참여의 형식화, 차별화하지 못한 프로그램 운영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나아가 지역경제 발전과 주민 통합 등 축제로서 바람직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 활력을 위한 전략적 자원으로서 지역축제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함평나비축제와 금산인삼축제의 발전과정과 축제의 효과에 대해 살펴본 후, 지역축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지역축제의 내용면적 접근, 운영면적 접근, 효과면적 접근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문화자원 및 자연경관의 창의적 개발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지역주민들이 함께 참여하여 그 지역의 자연경관 및 문화자원을 아끼고 보존하고 그런 자원을 활용한 독특하고 볼거리 있으며, 맛과 멋이 어우러진 진정한 오고 싶어 하는 지역축제 개발하여 많은 관광객을 유인하여 지역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그 지역을 알리는 계기를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즉, 지역축제를 성공시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려면 먼저 방문객이 몰려오도록 해야 하고, 왔던 방문객이 감동을 받아 다시 찾아오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가보라고 권유하도록 만드는 것이며, 그 관관을 통해 지역경제에 보탬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경쟁력 있고 외래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축제의 문화 관광 상품화의 활성방안을 찾기 위해서는 많은 개선과 함께 축제 전략이 수립되어야져야만 한다. 전통문화의 세계화, 전통문화자원의 관광 상품화를 위한 노력, 기존의 축제를 보다 세계적인 관광축제로 육성․발전시키려는 노력은 정부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있어야 한다.
      번역하기

      지방화 시대가 열리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지역이미지 제고 및 지역개발이라는 주요한 수단으로써 지역 축제를 활성화 하고 있다. 문화관광부 자료에 의하면 2010년 ...

      지방화 시대가 열리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지역이미지 제고 및 지역개발이라는 주요한 수단으로써 지역 축제를 활성화 하고 있다. 문화관광부 자료에 의하면 2010년 현재 지역축제의 수는 1000여개가 넘는다. 이는 지역 축제가 지역문화 개발이라는 문화적 효과 이외에도 지역의 경제개발과 사회개발이라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지역축제는 지역문화의 총체적인 표현으로서 지역문화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계승하는 공간체이며, 지역 축제 속에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및 지역민의 생활 등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해당지역의 공동체 문화가 응축되어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지역축제는 지역민을 하나로 아울러 공동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공동의 문화적 대응을 이끌어 지역사회의 연대와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발전, 지역 이미지 제고, 지역의 경제발전 등,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분야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주요수단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축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에 있어서 지역축제는 주민 참여의 형식화, 차별화하지 못한 프로그램 운영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나아가 지역경제 발전과 주민 통합 등 축제로서 바람직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 활력을 위한 전략적 자원으로서 지역축제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함평나비축제와 금산인삼축제의 발전과정과 축제의 효과에 대해 살펴본 후, 지역축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지역축제의 내용면적 접근, 운영면적 접근, 효과면적 접근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문화자원 및 자연경관의 창의적 개발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지역주민들이 함께 참여하여 그 지역의 자연경관 및 문화자원을 아끼고 보존하고 그런 자원을 활용한 독특하고 볼거리 있으며, 맛과 멋이 어우러진 진정한 오고 싶어 하는 지역축제 개발하여 많은 관광객을 유인하여 지역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그 지역을 알리는 계기를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즉, 지역축제를 성공시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려면 먼저 방문객이 몰려오도록 해야 하고, 왔던 방문객이 감동을 받아 다시 찾아오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가보라고 권유하도록 만드는 것이며, 그 관관을 통해 지역경제에 보탬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경쟁력 있고 외래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축제의 문화 관광 상품화의 활성방안을 찾기 위해서는 많은 개선과 함께 축제 전략이 수립되어야져야만 한다. 전통문화의 세계화, 전통문화자원의 관광 상품화를 위한 노력, 기존의 축제를 보다 세계적인 관광축제로 육성․발전시키려는 노력은 정부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있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Ⅱ. 이론적 논의 4
      • 1. 지방재정의 의의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Ⅱ. 이론적 논의 4
      • 1. 지방재정의 의의 4
      • 1) 지방재정의 개념 4
      • 2) 지방자치와 지방재정 5
      • 2. 지방재정의 기능 및 특징 7
      • 1) 지방재정의 기능 7
      • 2) 지방재정의 특징 11
      • 3. 지방재정의 운영과 체계 13
      • 1) 지방재정의 운영원칙 14
      • 2) 지방재정의 체계 18
      • 4. 국가재정과 지방재정의 비교 33
      • 1) 중앙재정과 지방재정의 관계 33
      • 2) 지방재정과 중앙재정의 규모 35
      • 3) 국세와 지방세의 규모 36
      • Ⅲ. 한국지방재정의 현황과 문제점 38
      • 1. 지방재정의 현황 38
      • 1) 자체수입 38
      • 2) 의존재원 41
      • 2. 지방재정의 문제점 43
      • 1) 자체수입의 문제점 43
      • 2) 의존재원의 문제점 48
      • Ⅳ. 지방재정의 개선방안 54
      • 1. 자체수입의 개선방안 54
      • 2. 의존재원의 개선방안 65
      • Ⅴ. 결론 79
      • 참고문헌 82
      • 영문초록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