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형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국내 임시대피시설 현황 및 공간구성 연구 = Research Composition of Space and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Temporary Evacuation Facility for Responding to Korea Social Disas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5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problems took place with regard to occurrence of Korea social disaster, but specific guidelines by type and by article for solving the problems are not fully prepared because of lack of awareness and safety ignorance. Thus, this study is disserta...

      Many problems took place with regard to occurrence of Korea social disaster, but specific guidelines by type and by article for solving the problems are not fully prepared because of lack of awareness and safety ignorance. Thus, this study is dissertation about space design for responding to Korea social disaster, which figures out character of Korea social disaster, guidelines of temporary shelter in Korea, and supply status through a literature investigation. After analyzing Korea social disaster, occurrence and scale of damage increased and type of disaster also varied. However, the guidelines for managing social disaster are not suitably prepared. Temporary shelter has to prepare various functions and facility by disaster’s type and by scale of damage, but the same guideline which has already used in managing natural disaster is applied. So, it can not be fully utilized when social disaster happens. With regard to this problem, many studies has proceeded about social disaster since 2014. However, most of them are about guideline for facility operation and evacuation, so more specific methods for design need to be made. Therefore, depending on types of Korea social disaster, specific operation for temporary shelter and design guidelines for space plan have to be made under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ach depar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사회재난 발생 증가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들이 들어났지만 재난에 대한 인식부족과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아직까지 적절한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유형별, 항목별 구체적 관련지침이 ...

      국내 사회재난 발생 증가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들이 들어났지만 재난에 대한 인식부족과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아직까지 적절한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유형별, 항목별 구체적 관련지침이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형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임시대피시설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논문으로 한국형사회재난의 특징과 국내 임시대피시설의 지침과 보급 현황을 문헌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한국형 사회재난을 분석한 결과 재난의 발생건수와 피해규모는 증가하였고, 발생 유형 또한 다양해졌지만, 아직까지 이를 대응하기 위한 지침은 구체적이지 못하다. 임시대피시설 또한 재난유형과 피해정도에 따라 갖추어야할 기능과 설비가 다양하지만 자연재해에서 사용되어진 임시수용시설의 지침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여서 사회재난 발생 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2014년 이후 사회재난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각 분야별로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시설의 운영과 대피에 관한 지침이 대부분이며 시설공간의 구체적인 설계 및 디자인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다.
      따라서 향후 다가올 한국형 사회재난을 대응하고 빠르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재난유형별 구체적인 임시수용시설 운영과 공간계획을 위한 디자인 지침이 각 부처의 협력적 관계 안에서 구축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경, "재해재난 시 응급대피공간의 거주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7 (27): 93-102, 2011

      2 이명식, "재난·재해 구호주거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0 (30): 135-142, 2014

      3 김사라, "재난 이후 임시주거의 공간특성 연구 - 아시아지역에서 발생한 자연재난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108-116, 2015

      4 민성원, "이재민 안정을 위한 임시 주거공간 내 필요요소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501-510, 2015

      5 엄아영, "안전안심 임시생활 지원시스템 디자인방향 연구-재난 후 응급대피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393-407, 2014

      6 윤선희, "수혜자 중심의 재난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재난관리 4단계 중 ‘대응단계’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379-389, 2015

      7 김미경, "사용자의 거주성을 고려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현황 분석과 계획적 시사점"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23-31, 2016

      8 Kim, G. T., "Technology development of integrated shelter management and evacuee support in shelte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9 Lim, S. B., "Management system theory scheme of construction in social disaster rehabilitation project"

      10 Jeon, B. Y., "Korea Academy of Medical Sciences, No. 65"

      1 김민경, "재해재난 시 응급대피공간의 거주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7 (27): 93-102, 2011

      2 이명식, "재난·재해 구호주거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0 (30): 135-142, 2014

      3 김사라, "재난 이후 임시주거의 공간특성 연구 - 아시아지역에서 발생한 자연재난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108-116, 2015

      4 민성원, "이재민 안정을 위한 임시 주거공간 내 필요요소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501-510, 2015

      5 엄아영, "안전안심 임시생활 지원시스템 디자인방향 연구-재난 후 응급대피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393-407, 2014

      6 윤선희, "수혜자 중심의 재난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재난관리 4단계 중 ‘대응단계’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379-389, 2015

      7 김미경, "사용자의 거주성을 고려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현황 분석과 계획적 시사점"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23-31, 2016

      8 Kim, G. T., "Technology development of integrated shelter management and evacuee support in shelte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9 Lim, S. B., "Management system theory scheme of construction in social disaster rehabilitation project"

      10 Jeon, B. Y., "Korea Academy of Medical Sciences, No. 65"

      11 Lee, Y. G.,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of social disaster management service through case studies in home and abroad"

      12 Song, C. Y., "Disaster safety theory and practical affairs" YeaMoonSa 2011

      13 Kim, M. K., "Comparative study on the planning guide of emergency shelter after disaster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2016 (2016): 300-303, 2016

      14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Collective centre guidelines"

      15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CAMP management toolkit"

      16 Park, S. H.,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procedure of selection and maintenance for the shelte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4

      17 Kim, G. Y., "2016 Disaster statistics annual report"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7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