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 지역개발제도의 의미와 향후 전망 = The Meaning and Prospect of Integrated Regional Development Syste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ains the contents and progress of the new integrated regional development plan and the meaning and future prospects of Integrated Regional Development System. There are three criticisms of the regional development system in the past. Fi...

      This paper explains the contents and progress of the new integrated regional development plan and the meaning and future prospects of Integrated Regional Development System. There are three criticisms of the regional development system in the past. First, excessive financial support for projects with little effect is being achieved by supporting government expenditure without specific verification. Secondly, the central government does not find various businesses in the province due to the central government funding. With this downward support, local capacity can not develop and local autonomy can be violated. Finally,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operators is very low. The system introduced to solve these problems is strengthening the evaluation system, strengthening the voluntary nature of the reg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offering system and strengthening the support system of the enterprises and resident companies. The evaluation system is largely divided into feasibility verification, pre-feasibility evaluation of unit business, and enforcement evaluation. The following directions should be improved for more advanced regional development plan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post-implementation evaluation is strengthened and a consulting system is introduced. This includes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execution plan and establishing a DB center centered on the metropolitan area to manage the history of the project. Second, the integrated support system will be established centering on the more backward region(Regional Activation Areas). Finally, it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privately funded proj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2. 과거 지역개발제도의 추진경과 및 문제점
      • 3. 신규 지역개발계획 수립 동향 및 추진경과
      • 4. 통합 지역개발지원법의 주요 내용
      • 5. 결론: 통합지역개발제도의 향후 전망
      • 1. 서 론
      • 2. 과거 지역개발제도의 추진경과 및 문제점
      • 3. 신규 지역개발계획 수립 동향 및 추진경과
      • 4. 통합 지역개발지원법의 주요 내용
      • 5. 결론: 통합지역개발제도의 향후 전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교통부, "태백・산청・영동 등 지역수요 맞춤지원사업 19개 선정"

      2 지역발전위원회, "지역발전정책 백서" 2017

      3 이미홍, "지역개발지원법 제정 방향 및 시사점"

      4 오은열, "지역개발제도의 통합과 의미" (399) : 4-15, 2015

      5 이미홍, "지역개발사업 평가운영" 국토교통부 2015

      6 건설교통부, "지역개발사업 민자유치 가이드북"

      7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역개발모델 구축 및 LH 참여방안 연구" 2016

      8 이미홍, "지역개발계획 수립동향과 전망" (421) : 18-20, 2017

      9 국토교통부, "지역개발, 통합 추진되고 지자체가 주도"

      10 국토교통부, "지역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령 및 업무처리지침"

      1 국토교통부, "태백・산청・영동 등 지역수요 맞춤지원사업 19개 선정"

      2 지역발전위원회, "지역발전정책 백서" 2017

      3 이미홍, "지역개발지원법 제정 방향 및 시사점"

      4 오은열, "지역개발제도의 통합과 의미" (399) : 4-15, 2015

      5 이미홍, "지역개발사업 평가운영" 국토교통부 2015

      6 건설교통부, "지역개발사업 민자유치 가이드북"

      7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역개발모델 구축 및 LH 참여방안 연구" 2016

      8 이미홍, "지역개발계획 수립동향과 전망" (421) : 18-20, 2017

      9 국토교통부, "지역개발, 통합 추진되고 지자체가 주도"

      10 국토교통부, "지역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령 및 업무처리지침"

      11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압축도시만이 살 길이다" 개마고원 2017

      12 임형백, "인구감소시대에 축소도시를 활용한 도시계획" 한국도시행정학회 30 (30): 87-114, 2017

      13 장철순, "실질적인 지역개발에 기여할 지역개발의 통합지원 법률 제정 공청회"

      14 "법제처 사이트"

      15 경상북도, "발전촉진형 지역개발계획(안)" 2016

      16 층청북도, "발전촉진형 지역개발계획(안)" 2016

      17 김미숙,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정책 수립 및 지역개발사업 공모운영을 위한연구(Ⅱ) 지역개발사업 공모 운영 부문" 국토교통부 2015

      18 안홍기,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개발제도 개선방안연구" 국토교통부 2016

      19 국토교통부, "개발+문화 등을 융복합하는 「지역수요 맞춤지원 사업」최종 선정"

      20 이미홍, "2016년 지역개발사업평가 운영" 국토교통부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15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