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항해 홍길주 산문의 수사적 특징 연구-표롱을첨(縹礱乙籤) 소재 잡저문(雜著文)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se of Hong Gil-ju -Focused on Jabjeomun (雜著文) in Pyorongeulcheom (縹礱乙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7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후기 문장가 항해(沆瀣) 홍길주(洪吉周, 1786-1841)의 산문에 나타난 수사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항해 문집 가운데 『표롱을첨(縹礱乙籤)』의 「잡문기(雜文紀)」...

      이 논문은 조선후기 문장가 항해(沆瀣) 홍길주(洪吉周, 1786-1841)의 산문에 나타난 수사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항해 문집 가운데 『표롱을첨(縹礱乙籤)』의 「잡문기(雜文紀)」와 「잡문별기(雜文別紀)」에 수록된 잡저문(雜著文)을 중심으로, 그의 산문에 나타난 특징적 수사법인 문답법, 비유법, 반복 및 열거법의 수사적 기능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항해 잡저문의 문답법은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답하는 자문자답법, 질문과 답변이 연쇄적으로 이어지는 연쇄적 문답법, 등장인물 간 대화가 이어지는 대화식 문답법의 형태로 나타난다. 자문자답법은 글 전체의 화제를 제시하거나 독자의 관심을 유도하며 주의를 환기하는 역할을 하였다. 연쇄적 문답법은 핵심적인 의론을 전개하고, 주장의 논리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대화식 문답법은 등장인물의 대화를 통해 우회적으로 그러나 생생하고 인상적으로 주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였다. 다음으로, 비유법은 일상적 사물과 구체적 현상에 빗대 쉽고 간결하게 표현함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도모하고, 독자 스스로 추론하고 깨우치도록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반복과 열거법은 비슷한 예시를 반복 제시하거나 충분한 근거를 나열함으로써 주장을 뒷받침하여 설득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처럼 항해 글쓰기에 사용된 수사는 단지 장식적인 차원에서가 아니라 논증 과정에 작동하여 설득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 장치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철범, "홍길주 산문의 의의와 문예적 성취" 한국한문학회 24 : 293-325, 1999

      2 홍길주, "현수갑고 상, 하" 태학사 2006

      3 홍길주, "항해병함 상, 하" 태학사 2006

      4 이홍식, "항해 홍길주의 세계인식과 문학적 구현 양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태진, "항해 홍길주의 문장론과 문론사적 위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6 강경미, "항해 홍길주 산문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7 홍길주, "표롱을첨 상, 중, 하" 태학사 2006

      8 박우수, "인지 수사학: 비유의 수사적 기능을 중심으로" 영미연구소 36 : 337-356, 2016

      9 이지선, "의론문의 비(比)에 대한 연구 - 연암의 <명론(名論)>을 중심으로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0) : 309-340, 2015

      10 김욱동,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2

      1 김철범, "홍길주 산문의 의의와 문예적 성취" 한국한문학회 24 : 293-325, 1999

      2 홍길주, "현수갑고 상, 하" 태학사 2006

      3 홍길주, "항해병함 상, 하" 태학사 2006

      4 이홍식, "항해 홍길주의 세계인식과 문학적 구현 양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태진, "항해 홍길주의 문장론과 문론사적 위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6 강경미, "항해 홍길주 산문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7 홍길주, "표롱을첨 상, 중, 하" 태학사 2006

      8 박우수, "인지 수사학: 비유의 수사적 기능을 중심으로" 영미연구소 36 : 337-356, 2016

      9 이지선, "의론문의 비(比)에 대한 연구 - 연암의 <명론(名論)>을 중심으로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0) : 309-340, 2015

      10 김욱동,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2

      11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시학" 숲 2017

      12 이기홍, "사회연구에서 비유와 유추의 사용"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31-159, 2008

      13 박무영, "경전 패러디와 기호 조작의 세계 -洪吉周 작, 「皐津經傳」과 「甘誓」ㆍ「武成」의 작품론으로-" 우리한문학회 18 (18): 1101-1130, 2008

      14 박무영, "睡餘三筆의 문학적 사유" 열상고전연구회 17 : 7-34, 2003

      15 徐師曾, "文體明辯"

      16 金喆凡, "19世紀 古文家의 文學論에 대한 연구 : 洪奭周·金邁淳·洪吉周를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