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정책 분석 연구: 국외 지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Basic Learning Skills Support System Suggestions: An International cas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4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upport system for improved basic proficiency by comparing the concept of Basic Learning Skills, related laws and policies on basic education of Korea and international cases. This study examined the polic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upport system for improved basic proficiency by comparing the concept of Basic Learning Skills, related laws and policies on basic education of Korea and international cases. This study examined the policies and laws related with basic education support and compared support systems of international cases, including the U.S., Canada, Ireland, France, England and Finland. The results of analysis presented the diagnostic and evaluation methods of basic education proficiency, curriculum consideration and school support system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etails of ways to support improved basic learning skills in policies, conceptual and perspective changes in basic learning skills, 3-tiered systematic and individualized support system, and empowerment of teacher competencies to support individual student’s nee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정책 제도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논문과 법령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초학력의 개념과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국외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기초...

      본 연구는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정책 제도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논문과 법령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초학력의 개념과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국외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기초학력 보장제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국내에서 시행된 기초학력 관련 정책들을 살펴보고 국외 기초학력 보장 정책 및 주요 내용을 비교하기 위해 국외 사례로 미국, 캐나다, 아일랜드, 프랑스, 핀란드 영국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국외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초학력 관련 법령과 기초학력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방안과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과정과 학교교육 내에서 기초학력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분석하였다. 국내와 국외의 기초학력 보장 관련 정책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상세한 규정의 필요성, 기초학력 개념과 관점의 변화 필요성, 3단계 모델과 같은 중층적이며 체계적인 맞춤형 지원 실시의 필요성, 그리고 교사의 역량 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왕준,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 아일랜드의 교육개혁의 비전과 주요 정책"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321-340, 2010

      2 가은아 ; 이주연 ; 이근호 ; 이병천,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사례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75-100, 2017

      3 안혜정, "혁신학교와 학력:「학교교육 제 4의 길」과「사토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의 교육개혁과 학력 논의를 중심으로" 44 : 208-240, 2019

      4 송경오 ; 박주성, "한국과 미국의 기초학력보장정책 비교분석 : 책무성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공공사회학회 5 (5): 36-68, 2015

      5 민윤경 ; 문희원, "한국, 캐나다, 핀란드의 기초학력 보장제도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31 (31): 35-59, 2021

      6 교육부, "한 아이도 놓치지 않고 기초학력 책임진다"

      7 김애화 ; 김의정 ; 김자경 ; 정대영,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8 정광조 ; 이대식, "학습장애 선정 현황 및 기초학력향상을 위한 다중지원팀에 특수교사의 참여에 대한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의 인식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 방안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17 (17): 43-69, 2020

      9 이대식,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01-132, 2015

      10 교육과학기술부,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 기본 계획"

      1 김왕준,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 아일랜드의 교육개혁의 비전과 주요 정책"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321-340, 2010

      2 가은아 ; 이주연 ; 이근호 ; 이병천,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사례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75-100, 2017

      3 안혜정, "혁신학교와 학력:「학교교육 제 4의 길」과「사토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의 교육개혁과 학력 논의를 중심으로" 44 : 208-240, 2019

      4 송경오 ; 박주성, "한국과 미국의 기초학력보장정책 비교분석 : 책무성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공공사회학회 5 (5): 36-68, 2015

      5 민윤경 ; 문희원, "한국, 캐나다, 핀란드의 기초학력 보장제도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31 (31): 35-59, 2021

      6 교육부, "한 아이도 놓치지 않고 기초학력 책임진다"

      7 김애화 ; 김의정 ; 김자경 ; 정대영,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8 정광조 ; 이대식, "학습장애 선정 현황 및 기초학력향상을 위한 다중지원팀에 특수교사의 참여에 대한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의 인식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 방안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17 (17): 43-69, 2020

      9 이대식,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01-132, 2015

      10 교육과학기술부,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 기본 계획"

      11 교육과학기술부, "학력향상 중점학교 지원 기본계획"

      12 김지은 ; 김지하,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의 기초학력 향상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17-139, 2012

      13 김상훈, "핀란드의 기초학력 부진학생 지원 시스템 및 프로그램 현황" (326) : 2018

      14 김정현, "핀란드의 기초교육법과 교육제도" 한국공법학회 42 (42): 201-226, 2014

      15 성열관, "핀란드는 어떻게 ‘핀란드식’ 교육정책을 형성하게 되었는가?: 글로벌 거버넌스와 일국의 차용방식" 한국비교교육학회 29 (29): 55-82, 2019

      16 김병찬, "핀란드 교육복지제도의 특징과 시사점" 30 : 82-104, 2011

      17 김현경, "프랑스의 학업부진 학생 지원제도" 313 : 29-33, 2019

      18 김주영, "특수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교사의 역량 강화"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5 (5): 79-100, 2012

      19 손승현 ; 이예다나, "특수교육요구(Special Needs Education)의 국제적 맥락 고찰"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25-47, 2017

      20 전미현 ; 김대희, "캐나다의 다문화 교육 정책에 대한 연구: 온타리오 주의 평등과 다양성 교육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9 (9): 37-56, 2019

      21 유지연, "캐나다의 기초학력 부진학생 지원 시스템 및 프로그램 현황: 온타리오 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26) : 2018

      22 박진동, "캐나다 교육 이야기" 양철북 2013

      23 김태은 ; 이화진 ; 오상철 ; 노원경, "초등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05-521, 2012

      24 이형빈 ; 강에스더, "초등학생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협력교사제 수업의 효과성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81-206, 2015

      25 김정아, "초·중학생 기초학력 미달의 종단적 변화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학회 59 (59): 131-161, 2021

      26 한계례, "중위권 사라진 코로나발 ‘성적 양극화’"

      27 김태은, "왜 기초학력을 갖추지 못하는가?" (313) : 4-8, 2019

      28 염철현, "오바마 정부의 낙오학생방지법(NCLB) 수정안 고찰 및 시사점" 대한교육법학회 24 (24): 43-66, 2012

      29 소경희, "영국의 ‘2013 개정 교육과정’에서 의도한 것과 구현한 것: 의의와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9-220, 2015

      30 심승희 ; 권정화, "영국의 2014 개정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시사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7-31, 2013

      31 교육부, "배움의 과정에서 모든 아이가 기초학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32 정혜경,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기초학력미달’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0 (40): 49-69, 2013

      33 김현준, "미국의 기초학력 부진학생 지원 시스템 및 프로그램 현황" 한국교육개발원 (326) : 1-7, 2018

      34 정일환 ; 주동범, "미국과 캐나다의 교육체제와 교육개혁동향"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197-218, 2004

      35 염철현, "미국 초·중등교육개혁법 고찰 - ‘No Child Left Behind Act’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15 (15): 57-78, 2005

      36 송경오, "미국 No Child Left Behind(NCLB) 교육개혁을 보는 시각과 전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509-533, 2007

      37 정순원, "기초학력을 보장 받을 권리의 개념과 내용" 대한교육법학회 32 (32): 107-136, 2020

      38 장지혜, "기초학력,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2018 (2018): 1-8, 2018

      39 김남식 ; 임광국, "기초학력 진단-보정 정책의 현황과 대안 :국가주도 기초학력 보장의 방향 제안" 교육비평 (48) : 230-269, 2021

      40 김유리, "기초학력 진단 및 지원 방안 연구: 해외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2020

      41 김지영, "기초학력 지원을 위한 초등 학습자의 어휘 교육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72) : 57-84, 2021

      42 노원경, "기초학력 지원 사업의 운영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313 : 16-18, 2019

      43 김유리 ; 배현순 ; 신혜진, "기초학력 지원 방안을 위한 국제 비교 연구: 아일랜드, 캐나다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31 (31): 1-30, 2021

      44 조윤정, "기초학력 재개념화 및 실행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45 임현정,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학교교육의 책무성 이행실태 분석" 5 (5): 1-23, 2008

      46 박선화,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문해력, 수리력 진단도구 개발 1 : 문해력, 수리력의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47 이화진 ; 김태은 ; 오상철 ; 김성열 ; 박소영, "기초학력 미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학력향상 중점학교 유형별 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151-176, 2011

      48 동아일보, "기초학력 떨어진 원인 모른채…평가방식 또 바꾼다는 교육부"

      49 박종임, "국어과 기초학력 지원 정책의 현황 및 개선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63) : 89-113, 2017

      50 정혜영, "국가수준 초등 기초학력 학업성취도 평가의 운영 및 논점: 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57-179, 2010

      51 이부련, "교육지역화를 위한 프랑스의 교육정책과 교육실천" 프랑스학회 26 : 415-446, 2003

      52 이광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제도와 이념 분석에 따른 발전방향: Two I’s 프레임에 근거하여" 교육연구소 42 (42): 57-83, 2021

      53 이혜정, "경기도 학습부진 학생 실태와 지원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3

      54 교육부, "「교육회복 종합방안」기본계획-모든 학생의 코로나19 극복지원"

      55 교육부, "2021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대응전략 발표"

      56 교육과정평가원,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57 통계청, "2020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58 교육부, "2020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주요 특징 및 대응방안"

      59 교육부,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학습 지원 강화를 위한 대응 전략 발표"

      60 교육부,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