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친구들에게 들려주는"무서운 이야기":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 Telling "Fearful Stories" to Friends: Exploring Children`s Imaginative Narr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759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장에서 유아들이 자발적으로 친구들에게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어 하는 상황을 포착하고 이를 관찰함으로써,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가 어...

      본 연구는 현장에서 유아들이 자발적으로 친구들에게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어 하는 상황을 포착하고 이를 관찰함으로써,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가 어떠한 양상으로 구현되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13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부터 6월까지 총39회에 걸쳐 유아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녹음 및 관찰하였으며, 이야기꾼이 된 유아가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를 녹음한 자료를 토대로 유아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야기꾼 유아들은 무서움을 유발할 수 있을만한 시간과 공간을 설정하였는데, ‘옛날 옛날에’로 이야기를 시작하여, 귀신이 나오는 시간을 12시로 설정하며, 공간적으로 위험하고 두려운 장소를 묘사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주변의 익숙한 사물의 기이한 현상을 이야기하였고, 무서운 동물이나 자극적이고 잔인한 소재를 찾고 사용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이야기를 더 무섭고, 더 극적으로 만들어 내려는 의도로, 목소리 크기를 조절하거나 다양한 흉내말을 사용하기도 하였고, 침묵과 정적으로 긴장감을 조성하기도 함으로써 무서움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야기 창출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인지구조 및 전략체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유아 내면의 존재론적 문제들을 극복하도록 돕는 무서운 이야기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사람과 사람이 모여 함께 이야기를 공유하는 풍요로운 이야기 문화를 되살리기 위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young children develop and tell imaginative narratives to their friends by capturing and observing moments that those children are willing to tell fearful stories to their peer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young children develop and tell imaginative narratives to their friends by capturing and observing moments that those children are willing to tell fearful stories to their peer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observed and tape-recorded 13 five-year-old children telling fearful stories to their friends throughout 39 sessions from April to June 2014. By investigating the recorded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young story tellers were developing narrativ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decided on their own that a particular time and space may involve fear in and of itself. For example, they set 12 p.m. as the time of a ghosts appearance while starting a story with the words ‘once upon a time’ and depicted a dangerous and dreadful place a the space of that appearance. Second, those children provided narratives about extraordinaries found in familiar things around them. And they structured stories with characters such as dreadful animals or things stimulative and cruel. Third, the young narrators sometimes changed the volume of their voice or mimicked and sounded a variety of unique words in order to make stories feel more fearful or dramatic. At other times, in contrast, they used silence to raise tension and maximize fear. Hopefully, this study helps us better understand young children’s cognitive structure and strategies in creating storylines and to make widely recognized the potential of fearful stories in solving ontological problems that young children may have inside. In association, it seems recommendable to go on discussing how to restore and enrich a culture where people get together to share narrat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정,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51-69, 2014

      2 노영희, "이야기 만들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 및 참여태도의 변화과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37-465, 2010

      3 조희숙, "유아의 이야기 서술구조의 발달과 심리적 인과성" 6 : 137-152, 1996

      4 조희숙,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에 나타난 발화량과 서술 구조와의 관계 연구" 4 : 45-60, 1998

      5 조희숙, "유아의 이야기 그림책 서술에 관한 연구: 에피소드 간의 수직적 구조와 수평적 구조를 중심으로" 6 : 47-66, 1996

      6 오아름,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에 나타난 의도(Intention)의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2015

      7 김규수, "유아의 공포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03-225, 2006

      8 조희숙, "유아가 창작한 환상적 이야기의 특성 분석" 9 : 1-14, 2003

      9 김숙이, "유아 그림이야기책에 기초한 이야기회상 및 이야기꾸미기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49-275, 2011

      10 Bettelheim, B., "옛이야기의 매력 1" 시공사 2002

      1 김희정,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51-69, 2014

      2 노영희, "이야기 만들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 및 참여태도의 변화과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37-465, 2010

      3 조희숙, "유아의 이야기 서술구조의 발달과 심리적 인과성" 6 : 137-152, 1996

      4 조희숙,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에 나타난 발화량과 서술 구조와의 관계 연구" 4 : 45-60, 1998

      5 조희숙, "유아의 이야기 그림책 서술에 관한 연구: 에피소드 간의 수직적 구조와 수평적 구조를 중심으로" 6 : 47-66, 1996

      6 오아름,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에 나타난 의도(Intention)의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2015

      7 김규수, "유아의 공포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03-225, 2006

      8 조희숙, "유아가 창작한 환상적 이야기의 특성 분석" 9 : 1-14, 2003

      9 김숙이, "유아 그림이야기책에 기초한 이야기회상 및 이야기꾸미기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49-275, 2011

      10 Bettelheim, B., "옛이야기의 매력 1" 시공사 2002

      11 엄은진, "옛이야기 들려주기의 가치" 우리말교육현장학회 4 (4): 65-89, 2010

      12 서정오, "옛이야기 들려주기" 보리 2011

      13 Lüthi, M., "옛날 옛적에: 민담의 본질에 대하여" 길벗어린이 2012

      14 조희숙,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2009

      15 문정은, "사진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6 유구종, "명화감상 후 확장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차이 비교"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201-227, 2015

      17 김미영, "명화 감상을 통한 이야기 만들기가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에 미치는 영향." 10 : 195-221, 2008

      18 노영희, "내러티브의 유아교육적 함의" 15 (15): 5-28, 2013

      19 이원미,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9-37, 2012

      20 윤혜신, "귀신과 트라우마 : 한국 고전 서사에 나타난 귀신 탐색"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21 조선일보, "“정보화 사회 다음은 드림소사이어티” -미래학자 연쇄인터뷰"

      22 Cooper, P., "When stories come to school: Telling, writhing and performing storie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Writers Collaborative 1993

      23 Benson, M. S., "Structure, conflict, and psychological causation in the fictional narratives of 4-and 5-year-olds" 42 (42): 228-247, 1996

      24 Pontecorvo, C., "Psychoanalysis and development: representations and narratives" New York University Press 131-148, 1994

      25 McCabe, A., "Narrative development: Six approach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35-174, 1997

      26 Kirk, E. W., "My favorite day is story day" 53 (53): 27-30, 1998

      27 Nelson, K., "Language in Cognitive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8 Miller, P., "Early talk about the past: The origins of conversational stories of personal experience" 15 (15): 293-315, 1988

      29 Hudson, J. A., "Developing narrative structure" Lawrence Erlbaum 89-136, 1991

      30 Curenton, S. M., "Assessment in Emergent Literacy" Plural 377-43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