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국일본과 해외신사(海外神社)에 관한 연구 - 신직(神職)관련 규정과 신사의 관리‧운영의 실상에 주목하며 = A Study of Imperial Japan and Overseas Shinto Shrines Focusing on the Regulations on the Priesthood and Shrine Man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58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for Japanese overseas shrines to serve as a means of immigrant integration and colonial rule,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numerous actors were required.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various actors who have contributed to the main...

      In order for Japanese overseas shrines to serve as a means of immigrant integration and colonial rule,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numerous actors were required.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various actors who have contributed to the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of imperialism by foreign shrines. Therefore, we respect the Shinto priest and Ujiko (=Ujiko is a shrine devotee). Shinto priests were crucial to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overseas shrines. The priest's position resembled that of a civil servant. However, many Shinto priests were in need and had to rely on Ujiko, a community representative. In 1894, Japan established rules for Shinto priests. And because of this rule, the Shinto priest was reliant on Ujiko. The rule of 1894 permitted Ujiko to participate in the recruitment process for Shinto priests. This study examines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Shinto priest and Ujiko based on Japanese society in Korea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t also provides specific exampl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hinto priests and Ujiko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山川鵜市, "龍頭山神社史料" 龍頭山神社社務所 7-, 1936

      2 한현석, "제국일본과 해외신사에 관한 연구: 신직의 양성과 이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81) : 339-360, 2022

      3 박양신, "재한일본인 거류민단의 성립과 해체 ─ 러일전쟁 이후 일본인 거류지의 발전과 식민지 통치기반의 형성 ─" 아시아문화연구소 26 : 241-272, 2012

      4 이동훈, "재조일본인 건립 신사(神社)에 관한 기초적 연구-‘한국병합’ 전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62) : 401-446, 2018

      5 김대호,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 동북아역사재단 76-, 1930

      6 히우라 사토코, "신사 학교 식민지 : 지배를 위한 종교-교육"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50-, 2016

      7 박진한, "식민지시기 ‘인천대신궁’의 공간 변용과 재인천 일본인: 유락과 기념의 장소에서 식민지배의 동원장으로" 국학연구원 (162) : 391-433, 2013

      8 최경순, "근대 일본인 해외이주의 궤적과 신도(神道)의 역할 - ‘제국의 확장’과 ‘국가정체성 강화’ 간의 괴리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8) : 219-239, 2015

      9 澤田總重, "韓國における神社に經營に就きて" 神社協會 5 (5): 39-42, 1906

      10 森田福太郞, "釜山港勢一斑" 釜山商業會議所 238-239, 1912

      1 山川鵜市, "龍頭山神社史料" 龍頭山神社社務所 7-, 1936

      2 한현석, "제국일본과 해외신사에 관한 연구: 신직의 양성과 이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81) : 339-360, 2022

      3 박양신, "재한일본인 거류민단의 성립과 해체 ─ 러일전쟁 이후 일본인 거류지의 발전과 식민지 통치기반의 형성 ─" 아시아문화연구소 26 : 241-272, 2012

      4 이동훈, "재조일본인 건립 신사(神社)에 관한 기초적 연구-‘한국병합’ 전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62) : 401-446, 2018

      5 김대호,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 동북아역사재단 76-, 1930

      6 히우라 사토코, "신사 학교 식민지 : 지배를 위한 종교-교육"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50-, 2016

      7 박진한, "식민지시기 ‘인천대신궁’의 공간 변용과 재인천 일본인: 유락과 기념의 장소에서 식민지배의 동원장으로" 국학연구원 (162) : 391-433, 2013

      8 최경순, "근대 일본인 해외이주의 궤적과 신도(神道)의 역할 - ‘제국의 확장’과 ‘국가정체성 강화’ 간의 괴리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8) : 219-239, 2015

      9 澤田總重, "韓國における神社に經營に就きて" 神社協會 5 (5): 39-42, 1906

      10 森田福太郞, "釜山港勢一斑" 釜山商業會議所 238-239, 1912

      11 釜山居留民團役所, "釜山居留民團例規類集" 釜山居留民團役所 51-, 1909

      12 京城日報, "金光さん辭職するな、 神職會の警告"

      13 遠藤正敬, "近代日本の植民地統治における國籍と戸籍ー滿洲 朝鮮 台湾" 明石書店 116-117, 2010

      14 國學院大學日本文化硏究所, "神道事典" 弘文堂 151-, 1999

      15 藤本賴生, "神道と社會事業の近代史" 弘文堂 32-, 2009

      16 內田羊之助, "現行神社法規摘要" 進榮社 133-135, 1915

      17 朝鮮時報, "現在の龍頭山神社を『釜山神社』と改稱"

      18 中島三千男, "海外神社跡地の景観変容 : さまざまな現在" 御茶の水書房 14-15, 2013

      19 庄本光政, "海外神社史" ゆまに書房 291-, 2004

      20 東亞日報, "橫說竪說"

      21 靑野正明, "植民地期朝鮮における神社の職制 神職任用関連の法令" 桃山学院大学総合研究所 30 : 29-50, 2006

      22 朝鮮神職會, "朝鮮神社法令輯覽" 帝國地方行政學會朝鮮本部 59-, 1937

      23 羽賀祥二, "明治維新と宗教" 筑摩書房 328-, 1994

      24 千葉正士, "日本とアジア" 勁草書房 302-303, 1970

      25 전성현, "日帝强占期 神社 例祭와 植民主義 地域文化-龍頭山神社를 中心으로-" 역사문화학회 20 (20): 161-192, 2017

      26 新田光子, "大連神社史 -ある海外神社の社會史" おうふう 22-, 1997

      27 한현석, "在釜日本人社會에서의 ‘神社化’와 그 의미 -대마도민의 사당(祠)에서 일본인의 神社로의 변화, 참여 주체 및 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54) : 465-483, 2012

      28 村上重良, "國家神道" 岩派新書 180-, 1970

      29 全國神職會, "人物養成論" 全國神職會 7 : 3-4, 1900

      30 釜山日報, "京城神社神職問題 行き悩む"

      31 京城日報, "京城神社神職主任、 市秋氏に決定"

      32 志賀櫻子, "二十世紀初頭における府県社以下神職(1)" 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文学部日本史学研究室 14 : 70-, 2010

      33 朝鮮新聞, "ガヤガヤ喧しい、 氏子が禍する、 京城神社の神職誰も尻込み一方"

      34 김철수, "‘조선신궁’ 설립을 둘러싼 논쟁의 검토" 인문학연구소 (27) : 155-191, 2010

      35 한현석, "1905년-1910년 대련신사(大連神社)의 창건과 유력자 - 창건주체의 성격규명을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67) : 339-355,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4 0.55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