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의 기원과 정당화에 대한 진화 심리학과 유학의 유사성에 대한 비판 = Criticism on Similarity betwee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nfucianism’s Origin of Mor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4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Confucianism and evolutionary psychology. Evolutionary psychology resists of the existing moral such as metaphysical philosophy, based on rational and instruction but it claims the Altruism of biological b...

      This paper deals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Confucianism and evolutionary psychology. Evolutionary psychology resists of the existing moral such as metaphysical philosophy, based on rational and instruction but it claims the Altruism of biological basis and understands the moral’s fundamental contents with the biological facts. There are som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bout Confucianism and evolutionary psychology for these have common in that based on the biological facts, Confucianism emphasizes the filial duty and kinship which are based on biological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paper, Confucianism also contains the scientific objectivity by comparing with evolutionary psychology. However, it is important not to regard the biological evolution is the ultimate virtue, following the survival of the fittest.
      Moreover, it is significant to recognize the empathy. It is clear that Mencius’s mind theory internalizes the conventional moral and relates both moral ethics and metaphysics phsychology. However, when we relate moral theory with biological basis, it is easy to consider more about the moral psychological aspect, overlooking psychological experiences through the Confucianism’s spiritual cultivation. As a result, it overlooks the meaning of Confucianism’s self-discipline and spiritual transcend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both theories are based on moral and empathy but dealing with different dimensions during comparing the Confucianism and evolutionary psych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유학과 진화심리학의 차이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진화심리학은 기존의 도덕 이성의 명령이나 신의 명령에 근거한 형이상학적 윤리학에 반대하며 이타성이라는 생물학적 사실에 ...

      이 논문은 유학과 진화심리학의 차이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진화심리학은 기존의 도덕 이성의 명령이나 신의 명령에 근거한 형이상학적 윤리학에 반대하며 이타성이라는 생물학적 사실에 근거해서 도덕의 기원과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유가의 도덕도 생물학적인 혈연에 근거한 친족우선주의와 효 사상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이런 공통분모 때문에 유학과 진화심리학의 연관성을 찾아보려는 선행연구들이 다수 존재한다. 유학과 진화 심리학의 대화를 통해서 유학이 이런 과학적 성과들을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서 과학적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생물학적 사실이 도덕적 가치로 넘어가는 것은 자연주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또한 생물학적 진화가 절대 선으로 간주될 경우 적자생존이라는 약육강식의 논리가 마치 도덕의 근본 전제인 것처럼 간주되게 될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공감이라는 도덕 심리학과 도덕 형이상학의 구분점을 상실하는 것이다. 물론 맹자의 심성론에서 유학은 전통적인 덕을 심성의 범주로 환원되어 내면화시킨 부분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선진 유학의 심성론은 도덕 형이상학과 도덕 심리학을 유기적으로 연관시키고 있다. 그러나 만일 진화심리학처럼 생물학적 사실에 입각해서 도덕 심리학적 내용만을 강조한다면 유학의 고유한 도덕 형이상학을 심리적 경험과 생물학적 사실로 치환하는 위험을 갖게 된다. 이는 유학의 심성론과 우주론과 수양론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초월의 의미를 상실하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진화 심리학과 유학을 비교 검토할 때 유학의 심성론과 수양론이 내포하고 있는 주요 목적과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둘은 도덕 정감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에서는 유사하지만 도덕의 영역과 관련해서 전혀 다른 차원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상모, "진화론적 이타주의의 개념적 난점과 윤리학적 함축" 한국과학철학회 10 (10): 45-73, 2007

      2 조긍호, "유학심리학" 나남출판 1998

      3 권상우, "유학과 사회생물학의 대화 — 도덕의 기원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회 (59) : 485-518, 2009

      4 김병환, "유가의 친친윤리와 묵가의 겸애윤리에 대한 다윈주의적 독해" 범한철학회 54 (54): 31-61, 2009

      5 피터 싱어, "사회생물학과 윤리" 인간사랑 1999

      6 류근성, "맹자의 직관 윤리학의 진화론적 이해" 범한철학회 59 (59): 49-73, 2010

      7 마이클 토마셀로, "도덕의 기원" 이데아 2018

      8 박길수, "도덕 심리학과 도덕 철학의 이중적 변주 -맹자 심성론 및 수양론의 본질과 특징" 철학연구소 (48) : 35-90, 2013

      9 류근성, "다윈의 관점에서 본 유가도덕의 기원과 발전" 한국유교학회 (46) : 41-64, 2011

      10 프리드리히 엥겔스, "가족 사유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8

      1 정상모, "진화론적 이타주의의 개념적 난점과 윤리학적 함축" 한국과학철학회 10 (10): 45-73, 2007

      2 조긍호, "유학심리학" 나남출판 1998

      3 권상우, "유학과 사회생물학의 대화 — 도덕의 기원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회 (59) : 485-518, 2009

      4 김병환, "유가의 친친윤리와 묵가의 겸애윤리에 대한 다윈주의적 독해" 범한철학회 54 (54): 31-61, 2009

      5 피터 싱어, "사회생물학과 윤리" 인간사랑 1999

      6 류근성, "맹자의 직관 윤리학의 진화론적 이해" 범한철학회 59 (59): 49-73, 2010

      7 마이클 토마셀로, "도덕의 기원" 이데아 2018

      8 박길수, "도덕 심리학과 도덕 철학의 이중적 변주 -맹자 심성론 및 수양론의 본질과 특징" 철학연구소 (48) : 35-90, 2013

      9 류근성, "다윈의 관점에서 본 유가도덕의 기원과 발전" 한국유교학회 (46) : 41-64, 2011

      10 프리드리히 엥겔스, "가족 사유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8

      11 "論語"

      12 "荀子"

      13 "朱子語類"

      14 "孟子"

      15 周淑萍, "兩宋孟學硏究" 人民出版社 2007

      16 張岱年, "中國哲學大綱"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4

      17 리쩌허우, "中國哲學史新編" 人民出版社

      18 徐復觀, "中國人性論史"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5

      19 Gilbert, M., "Walking together: A paradigmatic social phenomenon" 15 (15): 1990

      20 Darwall, S., "Two kinds of respect" 88 : 1997

      21 Tomasello M., "Two key steps in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 The Interdependence hypothesis" 53 (53): 2012

      22 Gilbert, M., "Socializing Metaphysics" Rowman and Littlefield 2003

      23 Bratman, M, "Shared cooperative activity" 101 (101): 1992

      24 Buss, D. M., "Evolutionary psychology: A new paradigm for psychological science" Psychological Inquiry 1995

      25 Hugh Lafollette, "A Companion to Ethics"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3 0.73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