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노동자들과 결혼이주자들이 늘어나면서 한국사회도 다문화 사회로 변해가고 있다. 그런데 사회구성원들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주자들은 여전히 소수자로서 새로운 차별의 대상이 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27878
2011
Korean
190.7
KCI등재
학술저널
185-198(14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주노동자들과 결혼이주자들이 늘어나면서 한국사회도 다문화 사회로 변해가고 있다. 그런데 사회구성원들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주자들은 여전히 소수자로서 새로운 차별의 대상이 되...
이주노동자들과 결혼이주자들이 늘어나면서 한국사회도 다문화 사회로 변해가고 있다. 그런데 사회구성원들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주자들은 여전히 소수자로서 새로운 차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새로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문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정책이 다문화주의에 대한 성찰 없이 사회통합이라는 목표달성에만 급급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기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다문화상황에서 생기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바탕으로서 윤리적 접근이 필요함을 논하고자 했다. 첫째, 새소수자들을 이해하기 위해 서구사회와 한국사회의 새소수자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다문화 정책모델과 다문화주의에서 소수자 위상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사회에 적절한 다문화적 모델이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셋째, 한국사회가 다문화주의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소수자에 대한 배려윤리가 우선 자리잡아야한다는 논지를 펼쳤다. 소수자에 대한 배려윤리로서 사회문화 차원에서 ``오점 상징 만들기의 극복``과 개인윤리 차원에서 ``차이에 대한 전략적 무관심``을 두 가지 과제로 제안하였다. 소수자들의 지속가능한 문화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정책이 더 체계화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없애기 위해서는 소수자를 배려하는 윤리가 시민성으로 우선 갖추어져야 한다. 배려윤리는 다문화주의 사회를 정착시키는 바탕이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society is chang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Foreign immigrants and visitors are noticeably increasing. In spite of social members` changing, the foreigners are still minority in Korea. There is no cultural diversity in Korean society. Even ...
Korean society is chang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Foreign immigrants and visitors are noticeably increasing. In spite of social members` changing, the foreigners are still minority in Korea. There is no cultural diversity in Korean society. Even though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settlement policies for woman immigrant spouses in name of multicultural policy, they are not multicultural policy but assimilation policy. In this paper, I tried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inorities. First, I reviewed who the minorities in western liberal countries and Korea are. Second, I explained multicultural models to find what is appropriate to Korean society. Third, I presented care ethics for minorities in Korea. Most importantly, we must overcome the operation of the stigma symbol. In addition we should do a tactful unnoticed difference. For example Korean government adopted ``multicultural family`` as an official term, ``multicultural`` serves as stigma. I think multicultural policy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protect the immigrant`s sustainable cultur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citizen`s basic viewpoint about new Koreans(minorities). Koreans think generally there is only one person in Korea. Multiracial country is not recognized in Korea. In order not to discriminate the minorities, Citizen`s Care ethics is a basic condition of citizenship. Care ethics can serve as the basis for multicultural society.
참고문헌 (Reference)
1 Will Kymlicha, "현대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08
2 마르티니멜로,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한울아카데미 2002
3 박진경, "한국 다문화정책의 특성과 발전방향" 2010
4 최종렬, "탈영토화된 공간에서의 다문화주의 : 문제적 상황과 의미화 실천" 한국사회이론학회 (35) : 47-78, 2009
5 설한, "킴리카(Kymlicka)의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좋은 삶, 자율성, 그리고 문화" 한국정치학회 44 (44): 59-84, 2010
6 법부무, "출입국현황자료"
7 "이주문제자료실"
8 김범수, "알기쉬운 다문화교육" 양서원 2010
9 최종렬,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정책" 한국사회이론학회 (37) : 229-268, 2010
10 한준성, "다문화주의 논쟁: 브라이언 배리와 윌 킴리카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289-316, 2010
1 Will Kymlicha, "현대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08
2 마르티니멜로,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한울아카데미 2002
3 박진경, "한국 다문화정책의 특성과 발전방향" 2010
4 최종렬, "탈영토화된 공간에서의 다문화주의 : 문제적 상황과 의미화 실천" 한국사회이론학회 (35) : 47-78, 2009
5 설한, "킴리카(Kymlicka)의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좋은 삶, 자율성, 그리고 문화" 한국정치학회 44 (44): 59-84, 2010
6 법부무, "출입국현황자료"
7 "이주문제자료실"
8 김범수, "알기쉬운 다문화교육" 양서원 2010
9 최종렬,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정책" 한국사회이론학회 (37) : 229-268, 2010
10 한준성, "다문화주의 논쟁: 브라이언 배리와 윌 킴리카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289-316, 2010
11 경기도다문화교육센터,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9
12 국회도서관, "다문화가정- 한눈에 보기"
13 설동훈, "결혼 이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연구" 여성가족부 2006
14 Goffman, Erving, "The Presentation of the Self in Everyday Life" Anchor Books 1959
15 Taylor, Charles, "The Politics of Recognition, in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16 Castles, "The Age of Migration :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 in the Modern World" Gilford Press 2003
17 Goffman, Erving,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Pelican Books 1968
18 Taylor, Charles, "Multiculturalism: Examining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19 Kymlicka, Will, "Multicultural Odyssey : Navigating the New International Politics of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0 Kymlicka, Will, "Liberalism, Community, and Culture" Clarendon Press 1989
21 Kymlicka, Will, "Immigration, Multiculturalism, and the Welfare State" 2006
22 "Http://www.clockwatching.net/~jimmy/eng101/articles/goffman_intro.pdf"
23 Toronto, Joan, "Beyond Gender Difference to a Theory of Care, in An Ethic of Care: Feminist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Routledge 1992
24 Banks, Cherry A. McGee, "A Comparative view of D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72 (72): 2008
사회 갈등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본 통일,안보환경 변화와 통일교육적 함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10-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9 | 1.39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4 | 1.06 | 1.67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