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반도 중서부 지방의 청동기시대 시기구분 시론 = Bronze Age Phase Division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A study of phase division on the basis of pottery types and house shapes using Bayesian model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29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의 청동기시대 지석묘 연구는, 매장유적으로서의 지석묘 자체 분석을 통한 당시 사회정치적 측면의 규명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따라서, 지석묘가 생활유적으로서의 주거지와의 관계에...

      기존의 청동기시대 지석묘 연구는, 매장유적으로서의 지석묘 자체 분석을 통한 당시 사회정치적 측면의 규명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따라서, 지석묘가 생활유적으로서의 주거지와의 관계에서 종합적으로 분석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대규모 발굴의 증가와 발굴자료의 축적으로 인해, 청동기시대를 종합적·통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며, 따라서, 지금까지 축적된 서울·인천·경기도 지역의 지석묘와 주거지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인들의 삶과 죽음에 대해서 유추·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을 위한 첫 단계 작업으로, 지석묘로부터의 빈약한 절대연대 측정치를 보완하기 위하여, 지석묘의 물질문화(material culture)와 유사한 유물복합체가 공반되는 주거지들의 방사성탄소 연대값을 이용하여 청동기시대 시기구분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즉, 한반도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유형(이중구연단사선문 토기, 공렬토기, 구순각목토기, 흔암리식토기, 적색마연토기)과 주거지 형태(세장방형, 장방형, 방형)와 관련된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들을 확인하여, 각각 베이지안 모델링(Bayesian modelling) 분석을 시도한 후, 95%의 확률범위에 해당하는 시작과 마침 연대를 구하여, 연구대상 지역의 토기형식별, 그리고 주거지 형태별 사용 시기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 중서부지역에서 토기형태의 경우, 적색마연토기만이 중기 경에 등장하였고, 이를 제외한 네 형식의 토기들은 청동기시대 전기에 등장하여 후기까지 거의 전시기에 걸쳐 사용된 것으로 보여지며, 토기형식만을 가지고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주거지 형태의 경우, 세장방형이 전기에 가장 먼저 등장하고, 연이어, 장방형이 전기와 중기 사이에 등장하여, 두 형식은 후기 이후까지 계속 사용된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방형의 경우는 중기에 등장하여 후기까지 사용되는 비교적 한정된 사용범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한반도 중서부 지역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을 위해서는, 토기 유형의 결과와 주거지 형태의 결과가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hase division of the Bronze Age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ng-term chang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ttlements and monuments in this region. Due to the paucity of 14C d...

      This study examines the phase division of the Bronze Age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ng-term chang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ttlements and monuments in this region. Due to the paucity of 14C dating from dolmens,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settlements that share similar material cultures with associated monuments. Bayesian modelling is applied to establish the chronology of the five main pottery types of the Bronze Age in this region: pottery with a double rim with slanting lines, pottery with a perforated rim, pottery with a notched rim, Heunamri type pottery, and red-burnished ware and the specific chronologies of the three different house shapes: thin-rectangular, rectangular, and square represented in the study area. Through several steps, a total of 72 radiocarbon determinations from 16 settlements in the research area were established. Bayesian modelling takes into consideration prior information in order to obtain more probable outcome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duration. Therefore, a series of radiocarbon determinations allotted to a phase of activity are presented with a modelled ‘start’ and ‘end’ dates and use spans. In addition, in order to avoid the old wood effect, ‘charcoal outlier analysis’ in OxCal 4.1 was applied as required. Firstly, in order to identify the overall span of Bronze Age activity in the study area, 72 radiocarbon determinations were taken as a unit and Bayesian modelling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use of Bronze Age settlements in the study area commenced within the period 1390-1127 BC (95.4% probability), and ended 370-242 BC (95.4% probability), spanning between 833 and 1133
      years (95.4% probability). Secondly, Bayesian modelling was conducted for the five pottery types in the study area, treating the radiocarbon determinations from settlements of each pottery type as a single phase of activity.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divide the Bronze Age in terms of pottery types, due to the fact that the four types of pottery appear to have been used contemporaneously, with the exception, that the emergence of red-burnished pottery was to some extent later that the other types (refer to Figure 5). The chronological models of the five pottery types did not provide an appropriate framework for marking the divisions of the Early, Middle and Late Bronze Ages. Therefore in an attempt to form a chronology thin-rectangular, rectangular and square house shap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in-rectangular shaped houses were likely to have developed from the Early Bronze Age and square shaped houses probably appeared from the Middle Bronze Age. Rectangular shape houses seemed to have appeared between the Early and the Middle Bronze Age (refer to Figure 20). Therefore, for the phase division of Bronze Age in this region, if pottery types and house shapes were consider together, it could be possible to roughly identify the Middle Bronze Age period. However, in order to identify the Late period,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he Late period pottery types, such as, pottery with clay stripes, hard pottery, which were fired at temperatures of between 700-850°C and vessels with imprinted desig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방법론
      • Ⅲ. 분석자료
      • Ⅳ. 분석결과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방법론
      • Ⅲ. 분석자료
      • Ⅳ. 분석결과
      • Ⅴ. 결과해석 및 맺음말
      • 參考文獻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壯錫, "흔암리 유형 재고: 기원과 연대" (28) : 35-64, 2001

      2 이형원, "화성 반송리 청동기시대 취락" 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3 이형원, "호서지역 가락동유형의 취락구조와 성격" 호서고고학회 (17) : 26-71, 2007

      4 김선우, "한반도 중서부 지방 주거지와 지석묘의 공간분석에 대한 시론 - 환경요인(environmental elements)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36) : 5-37, 2012

      5 崔夢龍, "한국사 1-총설" 국사편찬위원회 1-22, 2003

      6 崔夢龍, "한국 청동기·철기시대와 고대사의 복원" 주류성 2008

      7 최정필, "하남 미사동-2001년 시굴조사 보고서" 세종대학교 박물관·하남시 2002

      8 최정필, "하남 덕풍골 유적 II" 세종대학교 박물관·하남시 2007

      9 崔夢龍, "최근의 고고학 자료로 본 한국고고학·고대사의 신연구" 주류성 2006

      10 이형원,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와 사회조직" 서경문화사 2009

      1 金壯錫, "흔암리 유형 재고: 기원과 연대" (28) : 35-64, 2001

      2 이형원, "화성 반송리 청동기시대 취락" 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3 이형원, "호서지역 가락동유형의 취락구조와 성격" 호서고고학회 (17) : 26-71, 2007

      4 김선우, "한반도 중서부 지방 주거지와 지석묘의 공간분석에 대한 시론 - 환경요인(environmental elements)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36) : 5-37, 2012

      5 崔夢龍, "한국사 1-총설" 국사편찬위원회 1-22, 2003

      6 崔夢龍, "한국 청동기·철기시대와 고대사의 복원" 주류성 2008

      7 최정필, "하남 미사동-2001년 시굴조사 보고서" 세종대학교 박물관·하남시 2002

      8 최정필, "하남 덕풍골 유적 II" 세종대학교 박물관·하남시 2007

      9 崔夢龍, "최근의 고고학 자료로 본 한국고고학·고대사의 신연구" 주류성 2006

      10 이형원,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와 사회조직" 서경문화사 2009

      11 김승옥,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편년과 사회변천" 한국고고학회 (60) : 4-37, 2006

      12 이진민, "중부 지역 역삼동 유형과 송국리 유형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 역삼동 유형의 하한에 주목하여" 한국고고학회 54 : 35-62, 2004

      13 박경식, "의왕 이동 청동기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주)대능·북일 종합건설 2007

      14 구자진, "옥천 대천리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47 (47): 5-36, 2005

      15 장경호, "시흥 계수동 안골유적-시흥시 계수∼과림간 도로개설구간내 시·발굴조사 보고서" 京畿文化財團 附設 京畿文化財硏究所·始興市 2002

      16 장경호, "수원 율전동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대한주택공사 2004

      17 김명진, "베이지안 통계학을 이용한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 가락동유형의 연대 고찰" 한국상고사학회 47 (47): 37-57, 2005

      18 河文植, "망월동 집자리, In 韓國考古學專門事典-靑銅器時代 篇" 國立文化財硏究所 193-, 2004

      19 김범철, "금강 중ㆍ하류역 송국리형 취락에 대한 가구고고학적 접근" 한국상고사학회 51 (51): 79-108, 2006

      20 경기문화재연구원, "경기발굴 10년의 발자취" 2009

      21 金載元, "韓國支石墓硏究" 國立博物館 1967

      22 李榮文, "韓國 支石墓 社會 硏究" 學硏文化社 2002

      23 李相均, "韓半島 新石器文化의 新動向" 學硏文化社 2005

      24 김범철, "靑銅器時代前期住居樣相과 家口發達週期 –호서지역 驛三洞및 欣岩里類型 聚落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72 (72): 31-60, 2011

      25 김규정, "靑銅器時代 中期設定과 問題" 1 : 64-83, 2007

      26 成春澤, "華城半月洞遺蹟"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주) 애경건설 2007

      27 이남규, "華城 泉川里 靑銅器時代 聚落" 한신대학교 박물관 2006

      28 任孝宰, "華城 古琴山 遺蹟" 2002

      29 박진일, "粘土帶土器, 그리고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 1 : 84-114, 2007

      30 李南奭, "白石洞遺蹟" 公州大學校博物館·忠淸南道 天安市 1998

      31 宮里 修(miyazato osamu), "無文土器時代의 취락구성-中西部地域의 驛三洞 類型-" 한국고고학회 56 : 49-92, 2005

      32 천선행, "無文土器時代의 早期設定과 時間的 範圍" 1 : 4-27, 2007

      33 任孝宰, "欣岩里 住居址 4" 1978

      34 서울大學校 博物館, "欣岩里 住居址 3" 1976

      35 金元龍, "欣岩里 住居址" 서울大學校 考古學科·人類學科·서울大學校 附設 博物館 1974

      36 崔楨苾, "平澤 防築里-시굴조사 보고서" 세종대학교 박물관·모젤산업(주)·한진전자(주) 2003

      37 박선주, "平澤 玄華里 遺蹟" 平澤市 公營開發事業所·忠北大學校 先史文化硏究所 1996

      38 裵基同, "富川 古康洞 先史遺蹟-第5次 發掘調査 報告書" 富川市·漢陽大學校 文化財硏究所 2002

      39 장경호, "安養 冠陽洞 先史遺蹟 發掘調査報告書" 기전무화재연구원·한국수자원공사 2002

      40 이형원, "南韓地域 靑銅器時代 前期의 上限과 下限" 1 : 28-63, 2007

      41 崔盛洛, "全南地方 無文土器文化의 性格, In 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一志社 243-272, 1987

      42 李白圭, "京畿道 出土 無文土器 磨製石器 : 土器 編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4

      43 안재호, "中西部地域 無文土器時代 中期聚落의 一樣相" 한국상고사학회 43 (43): 1-24, 2004

      44 Whittle, A., "The archaeology of people" Routledge 2003

      45 Gosden, C., "Social Being and Time" Blackwell 1994

      46 Gosden, C., "Prehistoric histories" 30 : 2-12, 1998

      47 Pak, C.K., "KAERI RADIOCARBON MEASUREMENTS III" 16 : 192-197, 1974

      48 Reimer, P. J., "IntCal09 and Marine09. Radiocarbon Age Calibration Curvri, 0–50,000 Years cal BP" 51 : 1111-1150,

      49 최몽룡, "II. 선사시대의 문화와 국사의 형성, In 고등학교 국사" 교육 인적 자원부 16-43, 2002

      50 Stuiver, M., "High-precision calibration of the radiocarbon time scale, AD 1950-500 BC" 28 : 805-838, 1950

      51 Pearson, G. W., "High-precision calibration of the radiocarbon time scale, 500-2500 BC" 28 : 839-862, 1986

      52 Buck, C. E., "Estimating the duration of archaeological activity using 14C determinations" 13 : 229-240, 1994

      53 Bronk Ramsey, C., "Dealing with outliers and offsets in radiocarbon dating" 51 : 1023-1045, 2009

      54 Schulting, R.J., "Dating the human remains from Knowth, In Excavations at Knowth 6: The Archaeology of the Large Passage Tomb at Knowth, Co. Meath." Royal Irish Academy

      55 Buck, C. E., "Combining archaeological and radiocarbon information: a Bayesian approach to calibratio" 65 : 808-821, 1991

      56 Buck, C. E., "Calibration of radiocarbon results pertaining to related archaeological events" 19 : 497-512, 1992

      57 Whittle, A., "Building for the Dead: Events, Processes and Changing Worldviews from the Thirty-eighth to the Thirty-fourth Centuries cal. BC in Southern Britain" 17 : 123-147, 2007

      58 Bayliss, A., "Bradshaw and Bayes: Towards a timetable for the Neolithic" 17 : 1-28, 2007

      59 Bronk Ramsey, C., "Bayesian analysis of radiocrbon dates" 51 : 337-360, 2009

      60 Schulting, R., "Archaeological Practical" Institute of Archaeology, University of Oxford 2009

      61 Schulting, R., "Approaches to landscapes and landscape archaeology, FHS Paper3. Landscape, Ecology and Human Evolution" School of Archaeology. University of Oxford 2007

      62 Schulting, R., "An Irish sea change: some implications for the Mesolithic-Neolithic transition, In The Neolithic of the Irish Sea: Materiality and traditions of practice" Oxbow books 2004

      63 Tilley, C., "A phenomenology of landscape: Places, paths and monuments" Berg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