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요방과 후 체육활동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Afterschool Sport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44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making the afterschool sport activities to contribute to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physical activities programs in afterschool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making the afterschool sport activities to contribute to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physical activities programs in afterschool and its effect obtained by joining it. As of April of 2012, the survey has been done for 3’17 elementary school students(the 5th~6th year students) from 16 cities and provinces/except Cheju island) and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ONOVA) and X² test has been calculated out for its analysis of materials. First, as its result, most of those students have shown the positive perception for the weekend elementary school physical activities program. Second, from the survey all reg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etween different genders in the perception of effect obtained by joining the weekend elementary school physical activities programs. Third, as for the sub factor of effect obtained by joining, ‘the promotion of school study grade’ and ‘the promoted physical health’ showed their most significant influence respectively on gender and age. Fourth, as for the difference of level of school recor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every factor. Fifth, most of students revealed the positive perception for their intention of continuous joining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혁주,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즐거움 자원의 탐색" 15 : 51-59, 2009

      2 허정만, "초등학생의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가 체육수업재미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김인수, "초등학생의 방과 후 신체활동에 따른 스트레스요인 비교" 한국초등체육학회 14 (14): 43-53, 2008

      4 박종태, "초등학생의 과외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3 (13): 27-39, 2008

      5 금명칠, "초등학생들의 방과 후 체육활동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지지가 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송채훈,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체육 실시에 따른 신체활동량 및 칼로리 소비량" 20 (20): 247-260, 2009

      7 김남식, "초등학교 체육수업시 교과영역별 수업 참여태도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배소심,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 대한 여학생과 남학생의 인식, 경험 및 요구 분석" 12 (12): 115-138, 2005

      9 조인숙, "초등학교 정상체중아동과 비만아동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아동간호학회 15 (15): 61-70, 2009

      10 박창범,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육수업 적응 경험" 한국체육과학회 17 (17): 571-583, 2008

      1 엄혁주,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즐거움 자원의 탐색" 15 : 51-59, 2009

      2 허정만, "초등학생의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가 체육수업재미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김인수, "초등학생의 방과 후 신체활동에 따른 스트레스요인 비교" 한국초등체육학회 14 (14): 43-53, 2008

      4 박종태, "초등학생의 과외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3 (13): 27-39, 2008

      5 금명칠, "초등학생들의 방과 후 체육활동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지지가 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송채훈,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체육 실시에 따른 신체활동량 및 칼로리 소비량" 20 (20): 247-260, 2009

      7 김남식, "초등학교 체육수업시 교과영역별 수업 참여태도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배소심,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 대한 여학생과 남학생의 인식, 경험 및 요구 분석" 12 (12): 115-138, 2005

      9 조인숙, "초등학교 정상체중아동과 비만아동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아동간호학회 15 (15): 61-70, 2009

      10 박창범,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육수업 적응 경험" 한국체육과학회 17 (17): 571-583, 2008

      11 이옥선, "초등학교 여학생 건강 및 체력 증진을 위한 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과 실제" 한국초등체육학회 17 (17): 143-156, 2012

      12 박재정,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사업검토와 운영방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61-81, 2010

      13 정기호, "초등체육의 학습환경요인과 수업태도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7 (17): 921-929, 2008

      14 교육과학기술부, "초․중․고 토요일을 「토요 Sports Day」로 운영"

      15 유상석, "체육에 대한 여학생의 부정적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9 (9): 79-94, 2002

      16 김동환, "체육수업에서 여학생 정서경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 (19): 13-32, 2008

      17 교육과학기술부, "주5일 수업제 대비 토요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18 김윤희,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 활성화를 위한 ‘EMOTION’ 수업 전략"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133-156, 2010

      19 이규일, "여학생 건강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실천을 통한 건강 교육의 실천 방향 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 24 (24): 127-142, 2010

      20 문화관광부, "국민체력 실태 조사" 문화관광부 2007

      21 류주현, "거주지별 교육환경의 차별화"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4 (14): 69-78, 2006

      22 Elkind, D., "The hurried child" Management & Music Publish, Inc 1983

      23 Tappe, M.K., "Physical education : A cornerstone for physically active lifestyle" 23 : 281-299, 2004

      24 Prusak, K. A., "Effective of types of walking activities on actual choices by adolescent female physical educaton student" 21 : 230-241, 2002

      25 Sandberg, S, "Chilahood stress" 1 : 442-229, 2000

      26 통계청, "2011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

      27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계획" 학생건강안전과 2010

      28 교육과학기술부, "2010 사교육비 조사결과 분석" 학생건강안전과 2011

      29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학교건강검사 표본결과 발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