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포석정의 문제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Silla king Kyungae(景哀王)'s Death and 'Poseokjeong(鮑石亭)'s Question - Focusing on Samkukyusa("三國遺事")-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Silla's 55th king was separated, 'Poseokjeong' is a place of interest, along with 'Shirim'. Poseokjeong is said in two places of 『Samguksagi』 and four places of 『Samgukyusa』. The contents of 『Samgukyusa...

      As a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Silla's 55th king was separated, 'Poseokjeong' is a place of interest, along with 'Shirim'. Poseokjeong is said in two places of 『Samguksagi』 and four places of 『Samgukyusa』. The contents of 『Samgukyusa』, which is not mentioned in 『Samguksagi』, are as follows: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As a result, 『Samguksagi』 originally deleted these facts; 1) 'Poseokjeong = the most holy place since the Silla's King, HunKang' reign, and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n the case of 『Samguksagi』, "Poseokjeong is consistently recognized only as the place of a banquet. In short, the reason for the extinction of 『Samguksagi』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the most famous place since the time of King HunKang" was inevitable procedure, specifically to reveal ②'Poseokjeong =the place of a banquet,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fact that ① King HunKang = Kyeongae's maternal grandfather.
      The fact that King HunKang promulgated Poseokjeong as an inner sanctuary, and the fact that his grandson, Kyeongae drank alcohol at the sanctuary, are difficult arrangements and paradoxes.
      The reason why 『Samguksagi』omitted (2)"that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s due to ①the fact that Hyojong is Kimbu(金傅)'s father, as well, a series of screamy intention to hide ②'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outpost), pure and simple. 3)These actions must be a part of the effort to conceal the main fact that Poseokjeong, the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is separated, is the power base of the Kimbu's family. Ilyeon refers to Hyojong's powers as Poseokjeong~ Samwhaejyeong. The main carcass of King Kyeongae was also dealt with within the territory of Hyojong, that is, Hyemok Mountain.
      As such,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ast of King Kyeongae' and 'the powers of the Kimbu family (Poseokjeong, Samhwhaejong, and Hyemok Mountain') are clearly connected and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last of King Kyeongae'. As a result, Kyeongae died in the power territory of the Kimbu family, and as a matter of course, the Kimbu was inducted into Silla's extraordinary king by Kyeonhwon(甄萱)'s full suppo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신라 55대 경애왕의 운명을 가른 장소로서, '포석정'은 '시림'과 더불어 주목되는 곳이다. 포석정은 『삼국사기』에 2곳, 삼국유사에는 4곳에 걸쳐 언급되고 있다. 『삼국사기』에서 언급되지...

      신라 55대 경애왕의 운명을 가른 장소로서, '포석정'은 '시림'과 더불어 주목되는 곳이다. 포석정은 『삼국사기』에 2곳, 삼국유사에는 4곳에 걸쳐 언급되고 있다. 『삼국사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삼국유사』에 추가되어 있는 셈인데,『삼국유사』의 내용은 1)‘포석정=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이다. 결과적으로 『삼국사기』는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원천적으로 산삭한 셈이다. 『삼국사기』에 의할 경우 ‘포석정=경애왕 주흥의 장소’로만 일관되게 파악된다.
      『삼국사기』가,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라는 대목을 민멸한 까닭은 ①헌강왕=경애왕의 외조라는 사실을 감안, ②‘포석정=주흥의 장소’라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한 불가피한 조처였다. 외조인 헌강왕이 포석정을 지성소로 공포한 사실과, 헌강왕의 외손인 경애왕이 지성소에서 술을 퍼마셨다는 사실은 성립하기 힘든 배치, 역설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가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생략한 까닭은 ①효종= 김부의 아비인 점을 감안, ②‘포석정=효종랑의 세력권’이라는 일련의 사실을 감추어, 3)경애왕 운명을 가른 장소(포석정)=김부 일가와의 연결을 덮으려는 노력의 일단이 아닌가 보인다. 일연은 효종의 동선(세력권)이 포석정~삼화령까지라 언급하고 있다. 경애왕의 주검 또한 효종의 세력권 내(해목령)에서 처리됐다. 이처럼, ‘경애왕의 최후’와 ‘김부 일가의 세력권(포석정, 삼화령, 해목령)’이 뚜렷이 연결, 해석된다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결국 견훤과 김부가 연대하여 경애왕 제거 시나리오를 가동하였던 결과, 경애왕은 김부 일가의 세력권에서 죽었으며, 그 논공행상의 대가로 김부는 견훤에 의해 신라의 권지국사로 옹립되기에 이르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甲童, "羅末麗初의 豪族과 社會變動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2 申虎澈, "후백제 견훤정권 연구" 일조각 1-245, 1993

      3 경주문화재연구소, "포석정모형전시관부지 시굴조사보고서" 56-57, 2003

      4 "증보문헌비고"

      5 전수병, "주제별로 본 한국역사" 서경문화사 1-328, 2005

      6 김창겸, "신라하대 왕위계승연구" 경인문화사 89-, 2003

      7 權五燦, "신라의 빛" 경주시 1-351, 1980

      8 전기웅, "신라의 멸망과 경문왕가" 혜안 1-336, 2010

      9 김윤우, "신라말의 구사성과 진례성고" 22 : 137-162, 1989

      10 박순교, "신라 경애왕(景哀王)의 ‘포석정 유행(遊幸)과 죽음’에 관한 시비(是非) - 일연의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78) : 61-98, 2016

      1 金甲童, "羅末麗初의 豪族과 社會變動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2 申虎澈, "후백제 견훤정권 연구" 일조각 1-245, 1993

      3 경주문화재연구소, "포석정모형전시관부지 시굴조사보고서" 56-57, 2003

      4 "증보문헌비고"

      5 전수병, "주제별로 본 한국역사" 서경문화사 1-328, 2005

      6 김창겸, "신라하대 왕위계승연구" 경인문화사 89-, 2003

      7 權五燦, "신라의 빛" 경주시 1-351, 1980

      8 전기웅, "신라의 멸망과 경문왕가" 혜안 1-336, 2010

      9 김윤우, "신라말의 구사성과 진례성고" 22 : 137-162, 1989

      10 박순교, "신라 경애왕(景哀王)의 ‘포석정 유행(遊幸)과 죽음’에 관한 시비(是非) - 일연의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78) : 61-98, 2016

      11 박순교,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고려 구원군 파병의 진위 문제" 동아인문학회 (38) : 95-142, 2017

      12 박순교, "신라 景哀王 죽음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 『三國遺事』 기록을 중심으로 ―" 택민국학연구원 (16) : 27-56, 2015

      13 박순교,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견훤・왕건의 攻防 -왕건・견훤의 서한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회 (37) : 515-556, 2016

      14 "삼국유사"

      15 "삼국사절요"

      16 "삼국사기"

      17 "동사강목"

      18 "동문선"

      19 "동경통지"

      20 김갑동,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후백제" 서경문화사 1-343, 2010

      21 김갑동,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유금필"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9) : 33-67, 2008

      22 류영철,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과정 연구" 경인문화사 2004

      23 문경현, "고려사연구" 경북대출판부 1-584, 2000

      24 문경현, "고려 태조 왕건의 후삼국 통일 연구" 형설출판사 1-354, 1987

      25 文秀鎭, "高麗의 建國과 後三國 統一過程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2

      26 權眞澈, "高麗太組의 民族統合政策 硏究" 江原大學校 大學院 1997

      27 陰善赫, "高麗太祖王建 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5

      28 "高麗史"

      29 旗田巍, "朝鮮中世社會史の硏究" 1-462,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