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개발, 지난 20여 년 동안 전라북도 도민의 관심사로부터 멀어진 적이 한 번도 없었던 초대형국책사업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가장 신중하게 추진되고 있는 세부 사업이 상류지역(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42440
2012
-
지역레짐 ; 환경 거버넌스 ; 유역공동체 ; 강 살리기 ; 제외지 ; 새만금 ; regional regime ; environmental governance ; river restoration ; watershed community ; riverside land ; Saemanguem
331
KCI등재
학술저널
73-116(44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새만금 개발, 지난 20여 년 동안 전라북도 도민의 관심사로부터 멀어진 적이 한 번도 없었던 초대형국책사업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가장 신중하게 추진되고 있는 세부 사업이 상류지역(만...
새만금 개발, 지난 20여 년 동안 전라북도 도민의 관심사로부터 멀어진 적이 한 번도 없었던 초대형국책사업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가장 신중하게 추진되고 있는 세부 사업이 상류지역(만경강, 동진강)수질개선 사업이다. 새만금 내부개발사업 전체의 성공여부와 직결된 문제가 바로 이 문제이기 때문이다. 전라북도는 오염의 정도가 특히 심각한 만경강 유역의 수질개선을 위해 및 등을 조직하고, 이 단체들을 정점으로 를 구축하여 지난 10여 년간 점오염원 제거사업, 비점오염원 대책사업, 그리고 주민주도형 하천네트워크 조성사업 등 다양한 실천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가 추진해 오고 있는 이들 사업의 내용을 전문가 의견 및 주민 면담, 그리고 관련 자료에 대한 실체적 접근을 통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사업의 환경정치적 특성(레짐 vs 거버넌스)을 파악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동원된 이론적 자원은 ‘지역레짐이론(regional regime theory)’과 ‘환경 거버넌스 이론(environmental governance)’이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1) 레짐과 거버넌스의 이론적 검토, 2) 만경강 유역공동체 조성사업의 내용과 특성 파악, 3) 만경강 살리기 주도 조직 및 사업에 대한 평가 등을 실시하고,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4) 현재 전라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만경강 유역공동체 조성사업의 환경정치적 의미를 짚어보는 절차를 밟았다. 분석을 위한 방법은 1) 만경강 유역공동체 조성에 관여해 온 민관학 전문가 면담, 2) 만경강 유역 농경지 경작주민 면담, 그리고 3) 만경강민관학협의회 및 강살리기추진단의 사업내용과 회의록 분석 등 이다. 분석 결과 전라북도 유역공동체 조성사업은 형태상 를 표방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의사결정 및 조직운영은 대부분 관주도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구성원들간 협력과 상호 작용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외지(堤外地/ 강둑 내 농경지) 문제와 같은 현안문제를 외면한 채 전시성이 높은 홍보와 교육 사업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현재 진행 중인 만경강 살리기관련 사업의 추진 모형은 정부가 장기적으로 도모하고 있는 새만금 내부개발의 큰 흐름을 암묵적으로 옹호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비공식적 정치레짐을 구축하려는 활동의 일환일 뿐 거버넌스 모델에 해당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manguem project is an extra-large national project which has been a continuous matter of concern among the residents of Jeollabuk-do for the last 20 years. Related to this project, for now,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upper region(the Manky...
Samanguem project is an extra-large national project which has been a continuous matter of concern among the residents of Jeollabuk-do for the last 20 years. Related to this project, for now,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upper region(the Mankyung River and Dongjin River) is being promoted with most prudence. This is because the problem of water quality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cess of the internal development of the Samanguem project in total.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Mankyung River, which is especially high in contamination level, Jeollabuk-do has set up organizations such as the ‘Association of Citizen-Government-Institution for the Mankyung River’, the ‘Council of River Restoration in Jeollabuk-do’. Based on these organizations, Jeollabuk-do etablished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Governance’ and publicized that various projects are in progress, such as the removal of point pollution sources, measurements for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establishment of inhabitants-led stream networks.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view critically of the details of the projects that Jeollabuk-do has been pushing forward, through substantive approach based on opinions of experts, interviews of residents, and related materials and data. Also, this research is an attempt of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al political natures(regime vs governance) of these on-going projects. The regional regime theory and the environmental governance theory has provided theoretical resources for this study. To be specific, this study went through several steps of 1) examinating the theories of regime and governance, 2) understanding the details and properties of the project of establishing the Mankyung River Watershed Community, 3) evaluating the central organization of Mankyung River Restoration and its subordinate projects, and based on these analysis, 4) pointing out the environmental political meanings of the project ‘Establishment of the Mankyung River Watershed Community’ that Jeollabuk-do is carrying on.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ncludes 1) interview of experts in the public, private and institutional sectors who participated in building the Mankyung River Watershed Community, 2) interview of inhabitants who plow the farmland of the Mankyung River basin, and 3) analysis of the details and minutes of ‘Association of Citizen-Government-Institution for the Mankyung River’, ‘Council of River Restoration in Jeollabuk-do’. According to the conseque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ankyung River Watershed Community, modally, claims to advocate a ‘Citizen-participational governance’. However, its substantial decision-making and management was actually carried out in the form of government-led organization. Also, while cooperations and interaction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not harmonious, the project was concentrating on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because of their display effects, ignoring the pending issues such as the problem of riverside land(farmlands in the riverbank). This means that current model of the Mankyung River Restoration project should only be an act of constructing an unofficial political regime that tacitly supports the flow of internal development of the Saemanguem, which is a long-range governmental pl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배경, "효율적 유역관리를 위한 유역공동체 구성방안" 2005
2 유재원, "한국의 지방정치와 도시권력구조: 청주시 사례, In 한국의 지방정치와 도시권력구조" 나남출판 2000
3 강명구, "한국의 도시와 권력, In 한국도시론" 박영사 1998
4 한강수계관리위원회, "참여와 파트너십에 기초한 ‘지속가능한 유역공동체’ 건설 방안 연구" 2003
5 정근식, "지역정체성과 상징정치" 30 : 1996
6 강희경, "지역사회의 재구조화: 지역개발과 공동체" 2010
7 한상진, "지역사회의 권력구조와 지방정치, In 도시와 공동체" 한울 1999
8 강희경, "지역사회 권력자의 권력자원에 관한 연구" 32 (32): 1998
9 박재욱, "지방정치와 동북아 거버넌스: 부산, 오사카, 상하이의 비교사례연구" 집문당 2009
10 오수길, "지방정부 환경 거버넌스의 진단 -경기도내 지방의제21 추진기구들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151-170, 2006
1 박배경, "효율적 유역관리를 위한 유역공동체 구성방안" 2005
2 유재원, "한국의 지방정치와 도시권력구조: 청주시 사례, In 한국의 지방정치와 도시권력구조" 나남출판 2000
3 강명구, "한국의 도시와 권력, In 한국도시론" 박영사 1998
4 한강수계관리위원회, "참여와 파트너십에 기초한 ‘지속가능한 유역공동체’ 건설 방안 연구" 2003
5 정근식, "지역정체성과 상징정치" 30 : 1996
6 강희경, "지역사회의 재구조화: 지역개발과 공동체" 2010
7 한상진, "지역사회의 권력구조와 지방정치, In 도시와 공동체" 한울 1999
8 강희경, "지역사회 권력자의 권력자원에 관한 연구" 32 (32): 1998
9 박재욱, "지방정치와 동북아 거버넌스: 부산, 오사카, 상하이의 비교사례연구" 집문당 2009
10 오수길, "지방정부 환경 거버넌스의 진단 -경기도내 지방의제21 추진기구들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151-170, 2006
11 김영정, "자립적 지방화와 지역현신체계의 구축" 한국사회과학연구회 59 (59): 93-140, 2003
12 우주호, "우리나라 유역통합관리체계의 구축방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13 환경부, "용지 정착농원 환경개선 종합대책"
14 환경부, "왕궁 정착농원 환경개선 종합대책"
15 KBS 뉴스 9, "새만금지방환경청 출범"
16 황대호, "새만금유역 제2단계 수질개선 종합대책 수립" 44 (44): 18-36, 2011
17 농림수산식품부, "새만금유역 2단계(’11~’20) 수질개선 종합대책의연차별 세부실행계획안" 2011
18 김보국, "만경강 수질관리를 위한 제외지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연구" 전북발전연구원 2008
19 이종열, "도시정치권력이론의 비교론적 고찰 : 레이짐(Regimes)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 (1): 99-134, 1998
20 정우송, "대형 국책사업을 둘러싼 공공갈등과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 새만금간척사업과 4대강사업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21 Stone, C., "Urban Regime and the Capacity to Govern: A Political Economy Approach" 15 (15): 1993
22 Logan, John R, "Urban Fortunes" Univ. of California Press 1987
23 Sites, William, "The Limits of Urban Regime Theory: New Yok City under Koch, Dinkins, and Giuliani" 32 (32): 1997
24 Mollenkopf, John, "The Contested City" Princeton Univ. Press 1983
25 Molotch, H., "The City as a Growth Machine: Toward a Political Economy of Place" 82 (82): 1976
26 Stone, C., "Regime Politics: Governing Atlanta, 1946-1988" Univ. Press of Kansas 1988
27 Kweit, R. W, "People and Politics in Urban Ameri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90
28 Gould, K., "Local Environmental Strugg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9 Adams, J. Stacy, "Inequity in Social Exchange,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 Academic Press 267-299, 1965
30 Walster, Elaine, "Equity: Theory and Research" Allyn and Bacon 1978
31 Horan, Cynthia., "Coalition, Market, and State: Postwar Development Politics in Boston, In Reconstructing Urban Regime Theory" Sage Publication, Inc 1997
32 Glasbergen, Pieter, "Co-operative Environmental Governance: Public-Private Agreements as a Policy Stra"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8
33 Elkin, Stephen L., "City and Regime in the American Republic" Univ. of Chicago Press 1987
34 Peterson, Paul, "City Limit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35 Stoker, Robert P, "Batimore: The Self-Evaluating City?, In The Politics of Development"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87
36 Ashutosh Sarkera, "A common-pool resource approach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An Australian case study" 68 : 461-471, 2008
37 KBS 뉴스 9, "<심층>왕궁단지 오염원 해소 해법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2014-08-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지역사회학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8-07-1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Regional Sociology ->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ociology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4 | 0.771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