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3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로마 제정기에 유베날리스가 자신의 풍자시10편에서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는 경구를 사용하여 로마인들이 신 체의 강건함만을 추구하고 정신적인 단련을 소홀히 하는 모습을 보고 한 말이다. 이처럼 현실에서도 사람들은 외면적 가치에 해 당하는 젊은 모습에 과도하게 집착하거나 외모지상주의에 의해 신체를 닦달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이 신체의 건강에만 관 심을 두고 외형의 신체 만들기에만 전력을 기울이는 노력만큼이나 정신 건강에로의 노력전환을 위한 노력도 함께 해야 함을 주지 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오늘날에 있어서 ‘건강한 신체’와 ‘건전한 정신’이 차지하는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역사적으로 신체활 동과 정신함양의 깊은 연관성은 초기 서구 철학자들의 관점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플라톤 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신체와 영혼에 대한 사상을 고찰함으로써 신체와 정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플라톤은 철 학중심인 이데아론적 측면에서는 신체와 정신이 완전하게 분리된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각각 상호의존해서 존재하고 있으며 훌 륭한 교육이란 정신과 신체를 조화롭게 발달시키는 것이라 하였다. 육체와 영혼의 조화롭고 균형 잡힌 인간의 형성을 주장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신체에 있어서도 영혼의 감옥이 아니라 신체가 있어서 영혼이 있으며, 영혼이 있어서 신체가 존립한다는 신체를 중요시한 철학자이다. 따라서 신체와 영혼의 조화롭고 균형 있는 인간형성을 위해 신체가 정신에 선행되어져야 한다는 관 점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로마 제정기에 유베날리스가 자신의 풍자시10편에서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는 경구를 사용하여 로마인들이 신 체의 강건함만을 추구하고 정신적인 단련을 소홀히 하는 모...

      로마 제정기에 유베날리스가 자신의 풍자시10편에서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는 경구를 사용하여 로마인들이 신 체의 강건함만을 추구하고 정신적인 단련을 소홀히 하는 모습을 보고 한 말이다. 이처럼 현실에서도 사람들은 외면적 가치에 해 당하는 젊은 모습에 과도하게 집착하거나 외모지상주의에 의해 신체를 닦달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이 신체의 건강에만 관 심을 두고 외형의 신체 만들기에만 전력을 기울이는 노력만큼이나 정신 건강에로의 노력전환을 위한 노력도 함께 해야 함을 주지 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오늘날에 있어서 ‘건강한 신체’와 ‘건전한 정신’이 차지하는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역사적으로 신체활 동과 정신함양의 깊은 연관성은 초기 서구 철학자들의 관점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플라톤 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신체와 영혼에 대한 사상을 고찰함으로써 신체와 정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플라톤은 철 학중심인 이데아론적 측면에서는 신체와 정신이 완전하게 분리된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각각 상호의존해서 존재하고 있으며 훌 륭한 교육이란 정신과 신체를 조화롭게 발달시키는 것이라 하였다. 육체와 영혼의 조화롭고 균형 잡힌 인간의 형성을 주장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신체에 있어서도 영혼의 감옥이 아니라 신체가 있어서 영혼이 있으며, 영혼이 있어서 신체가 존립한다는 신체를 중요시한 철학자이다. 따라서 신체와 영혼의 조화롭고 균형 있는 인간형성을 위해 신체가 정신에 선행되어져야 한다는 관 점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age, 'Sound mind in sound body' emerged first in the Juvenalius' tenth satirical poem in the Roman era, awakening Romans who tried to solely develop their physical bodies and ignored the development of soul. Likewise, it is the case for modern people excessively attached to their external physical beauty by abusing their bodies with physical activities. Thus, it is indeed in need to bring the importance of the harmonized development of both body as well as soul to people's attention and encourage them to keep quality lives. It was purported, in this paper, to explore the true meanings of 'sound mind' and 'sound body' in the modern time. Historically, a deeply rooted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soul promotion can be??found in the studies of early western philosophers whose perspectiv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Plato and Aristotle. Thus, it is reasonal to study these two prominent philosophers' perspectives, especially their theories on body??and soul. In the perspective of Plato, body and soul are not distinctively separated but exist in an interconnected manner,??suggesting that quality education is to harmonize the development of body and soul and can possibly contribute to the creating of a??human being with well balanced body and soul. Meanwhile, Aristotle suggested that it is not the imprisonment of soul in body, but??body exists for soul, prioritizing soul over body, arguing that the development of body should come first before the development of soul in order to create a harmonized and well balance human being with sound body and sound spirit.
      번역하기

      The adage, 'Sound mind in sound body' emerged first in the Juvenalius' tenth satirical poem in the Roman era, awakening Romans who tried to solely develop their physical bodies and ignored the development of soul. Likewise, it is the case for modern p...

      The adage, 'Sound mind in sound body' emerged first in the Juvenalius' tenth satirical poem in the Roman era, awakening Romans who tried to solely develop their physical bodies and ignored the development of soul. Likewise, it is the case for modern people excessively attached to their external physical beauty by abusing their bodies with physical activities. Thus, it is indeed in need to bring the importance of the harmonized development of both body as well as soul to people's attention and encourage them to keep quality lives. It was purported, in this paper, to explore the true meanings of 'sound mind' and 'sound body' in the modern time. Historically, a deeply rooted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soul promotion can be??found in the studies of early western philosophers whose perspectiv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Plato and Aristotle. Thus, it is reasonal to study these two prominent philosophers' perspectives, especially their theories on body??and soul. In the perspective of Plato, body and soul are not distinctively separated but exist in an interconnected manner,??suggesting that quality education is to harmonize the development of body and soul and can possibly contribute to the creating of a??human being with well balanced body and soul. Meanwhile, Aristotle suggested that it is not the imprisonment of soul in body, but??body exists for soul, prioritizing soul over body, arguing that the development of body should come first before the development of soul in order to create a harmonized and well balance human being with sound body and sound spir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현, "희랍사상의 이해" 종로서적 1982

      2 김기영, "플라톤의 체육사상에나타난 유아체육" 5 (5): 05-19, 2004

      3 강유원, "플라톤의 체육교육 사상" 한국체육학회 42 (42): 45-52, 2003

      4 양은심, "플라톤의 체육관이현대체육에 미치 영향" 11 (11): 121-132, 2000

      5 안근아, "플라톤의 음악과 형이상학적 신체" 한국체육철학회 12 (12): 39-54, 2004

      6 안용규, "플라톤의 신체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7 이승건, "플라톤의 관념론에서 육체와 체육의 의미" 한국체육철학회 15 (15): 141-162, 2007

      8 홍윤경, "플라톤의 ‘체육목적론’에 관한 연구: ‘무시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19 (19): 139-157, 2011

      9 김완수, "플라톤 철학의 재음미" 서강대학교출판부 1999

      10 여인성, "플라톤 법률편에 나타난 체육내용 및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1 (11): 171-190, 2003

      1 박종현, "희랍사상의 이해" 종로서적 1982

      2 김기영, "플라톤의 체육사상에나타난 유아체육" 5 (5): 05-19, 2004

      3 강유원, "플라톤의 체육교육 사상" 한국체육학회 42 (42): 45-52, 2003

      4 양은심, "플라톤의 체육관이현대체육에 미치 영향" 11 (11): 121-132, 2000

      5 안근아, "플라톤의 음악과 형이상학적 신체" 한국체육철학회 12 (12): 39-54, 2004

      6 안용규, "플라톤의 신체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7 이승건, "플라톤의 관념론에서 육체와 체육의 의미" 한국체육철학회 15 (15): 141-162, 2007

      8 홍윤경, "플라톤의 ‘체육목적론’에 관한 연구: ‘무시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19 (19): 139-157, 2011

      9 김완수, "플라톤 철학의 재음미" 서강대학교출판부 1999

      10 여인성, "플라톤 법률편에 나타난 체육내용 및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1 (11): 171-190, 2003

      11 조대호, "파이드로스" 문예출판사 2008

      12 Platon, "파이돈" 서광사 2003

      13 이영환, "체육교육으로 본 플라톤의 Paideia 개념" 한국체육철학회 12 (12): 161-174, 2004

      14 유원기, "영혼에 관하여" 궁리출판사 2001

      15 황정현,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사상(1)-심신상관을 중심으로-" 19 : 3-10, 2001

      16 조요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경문사 1988

      17 손병석,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 · 형상설에 대한 심신 가치론적 고찰" 한국철학회 87 (87): 33-63, 2006

      18 金聖洙,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서 실체개념에 관한 연구 : 제7, 8, 9권을 중심으로"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5

      19 황수영, "아리스토텔레스와 데까르트의 심신이론 비교" 한국동서철학회 37 (37): 5-22, 2005

      20 한도령, "생활체육에서의 스테로이드 사용 가능성" 한국체육철학회 15 (15): 59-75, 2007

      21 Platon, "법률 2" 상서각 1983

      22 Platon, "법률" 서광사 2009

      23 임홍빈, "몸의 미학과 욕망" 2004

      24 Van Peursen, C. A., "몸·영혼·정신" 서광사 1985

      25 Platon, "국가" 서광사 1997

      26 윤미정, "『파이돈』, 『파이드로스』와 『국가』를 통해 본 플라톤의 신체와 영혼의 가치이원적 관계" 한국체육철학회 19 (19): 177-188, 2011

      27 김석완,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 교육사상사적 고찰" 한국교육철학회 (32) : 5-38, 2007

      28 Fairs, J., "The Influence of Plato and Platonism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Western Culture" Quest 11 1968

      29 B. Jowett, "Platon. The Dialogues of PLATO"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334-338, 1952

      30 박성주, "Physical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Plato’s and Aristotle’s Views" 한국체육사학회 14 (14): 15-26, 2009

      31 Hyland, D., "Philosophy of Sport" Paragon House 98-, 1990

      32 Morgan, W. J., "On the path toward an ontology of sport" 3 : 1976

      33 Spears, B., "History of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hampionship Book/Win. C. Brown 1988

      34 Mechikoff, R., "History of Philosophy of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From Ancient Civilizations to the Modern World" McGraw-Hill 2006

      35 Sahakian, W., "History of Philosophy" Barnes & Noble 1968

      36 Aristoteles, "De Motu Animalium" Oxford 1959

      37 Aristoteles, "De Anima" Oxford 1959

      38 Fraleigh, S. H., "Dance and the Lived Body" Pennsylvania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87

      39 Charles, J., "Contemporary Kinesiology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uman Movement in Higher Education" Morton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