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등산 동호회 활동에 참가하는 중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다. 본 연구대상자는 등산 활동에 참여하는 40세~60세의 중년 254...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63252
2014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28(16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등산 동호회 활동에 참가하는 중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다. 본 연구대상자는 등산 활동에 참여하는 40세~60세의 중년 254...
본 연구의 목적은 등산 동호회 활동에 참가하는 중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다. 본 연구대상자는 등산 활동에 참여하는 40세~60세의 중년 25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측정도구는 스트레스 대처 검사지, 삶의 질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와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에서 소망적 대처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질에서는 육체적 기능제한, 정신건 강, 건강인식, 생활 활력 및 피로정도 요인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기간에 따른 삶의 질의 차 이에서는 정신측면의 역할장애, 육체적 기능장애 요인에서 ‘1년 이상~2년 미만’ 집단이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1년 미만’ 집 단보다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시간에 따른 삶의 질 차이에서는 육체적 기능제한, 생활 활력 및 피로정도 요 인에서 ‘5시간 이상~8시간미만’ 집단이 ‘3시간미만’, ‘3시간 이상~5시간미만’ 집단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등 산 활동에 참가하는 중년들의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인 문제중심 대처는 삶의 질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사회적지지 대처는 신체적 통증, 정신적 역할장애,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소망적 대처는 건강에 대한 인식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적 대처는 건강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life quality of middle age people participating climbing activity. The participants were 254 middle age people participating climbing activity and explained the purp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life quality of middle age people participating climbing activity. The participants were 254 middle age people participating climbing activity and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contents of the inventories. The inventories used in this study were stress coping strategies??inventory and SF-36 life quality invent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ly, female had more hopeful coping strategy level than male. Secondly, male had more physical function, mental health, general health and vitality factor than female. Thirdly, ‘1-2 year climbing career group’ had more physical function and role limitation emotion factor than ‘less than 6 month group’ and ‘6 month- 1year’ group. Fourthly, ‘5-8 hour in participation time’ group had more physical function and vitality factor than ‘less than 3 hour participation time’ group and ‘3-5 hour in participation time’ group. Fifthly, problem focused coping strategy had positive on all sub-factors of life quality, whereas hopeful coping, emotion 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coping had negative on life of quality.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리서치, "한국인의 등산관련 실태 조사" 한국리서치 2008
2 엄한주, "체육학연구에서 요인분석모형의 적용 및 오용에 관한 현황분석" 한국체육학회 47 (47): 1-16, 2008
3 권현석, "직장인의 스포츠 활동참여가 삶의 질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고상백, "직장이들의 건강수준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의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30 (30): 251-266, 1997
5 송은주, "중년여성의 여가활동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83-100, 2001
6 장영자,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김혜자,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에 따른 부부친밀도" 한국모자보건학회 5 (5): 123-136, 2001
8 정선화, "중년여성의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9 이정호, "중년기의 여가생활형태가 가족기능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7
10 노민옥, "중년기 직장남성의 생활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6
1 한국리서치, "한국인의 등산관련 실태 조사" 한국리서치 2008
2 엄한주, "체육학연구에서 요인분석모형의 적용 및 오용에 관한 현황분석" 한국체육학회 47 (47): 1-16, 2008
3 권현석, "직장인의 스포츠 활동참여가 삶의 질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고상백, "직장이들의 건강수준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의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30 (30): 251-266, 1997
5 송은주, "중년여성의 여가활동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83-100, 2001
6 장영자,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김혜자,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에 따른 부부친밀도" 한국모자보건학회 5 (5): 123-136, 2001
8 정선화, "중년여성의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9 이정호, "중년기의 여가생활형태가 가족기능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7
10 노민옥, "중년기 직장남성의 생활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6
11 오윤선, "중년기 위기에 대한 예방과 기독교상담" 5 (5): 1-20, 1997
12 오명자,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13 김향란,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기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14 김경란, "주부의 댄스스포츠 참가와 부부의사소통, 부부갈등해소 및 결혼생활만족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1
15 최은주, "에어로빅운동이 여성의 연령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16 진종현, "생활체육참여자의 참여 동기와 스포츠 활동 만족도의 관계" 8 : 165-176, 1997
17 강신욱,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중독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1 (41): 49-60, 2002
18 임미숙, "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자녀 스트레스의 관계 분석 : 중학생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9 김사엽, "등산 활동 참여의도에 따른 재미와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 차이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0 (20): 437-446, 2011
20 이승범, "노인종합복지관의 운동프로그램이 노화,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여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1 고승덕,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요인추출" 17 (17): 17-36, 1997
22 한혜원, "노년기 여가참여와 삶의 질 인지와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23 최길례, "가족의 여가 활동이 정서적 역동성과 가족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4 李仙淑, "靑少年의 心理社會成熟度와 스트레스의 關係 硏究"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25 金貞姬, "知覺된 스트레스,認知세트 및 對處方式의 憂鬱에 대한 作用: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26 權英卓, "持續的인 스포츠활동의 參與가 主婦들의 精神健康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대학원 1997
27 Hudek-Knezevic, J., "The structure of coping styles: a comparative study of Croatian sample" 13 : 149-161, 1999
28 Riddick. C. C.,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other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older women" 16 (16): 136-148, 1984
29 Mullen, B., "The effectiveness of attention and rejection as coping styles: A meta-analysis of temporal differences" 26 : 43-49, 1982
30 Ware, J. E.,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SF-36) :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30 : 473-483, 1992
31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32 Spkilker, B., "Quality of Life and Pharmaco-economic in Clinical Trial(2-10)" ncott-Raven 1996
33 Sieginthaler, K. L., "Older women in retirement communities:Perceptions of recreation and leisure" 20 (20): 53-66, 1998
34 Endler, N. S., "Multidime nsional assesment of coping : A critical ev aluation" 58 : 844-854, 1990
35 Long, B. C., "Long-time flow-up of sterssed working woman:A comparison aerobic exercise and progressive relaxation" 10 : 461-470, 1988
36 Riddick. C. C., "Life satisfaction determinants of older mala and female" 7 (7): 47-63, 1985
37 Snyder E. E., "Involvement in spor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5 : 28-39, 1974
38 Creditor, M., "Hazards of hospitalization of the elderly" 118 : 219-223, 1993
39 Chan, D. W., "Hardiness and its role in the stress-burnout relationship among prospective Chinese teachers in Hong Kong" 19 : 381-395, 2003
40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experience" Harper & Row 1990
41 Roger, D., "Detachment and Coping: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Coping Strategies" 15 (15): 619-626, 1993
42 Endler, N. S., "Assessment of multidimensional coping:task, emotion, and avoidance strategies" 6 : 50-60, 1994
43 Folkman, S,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sample" 21 : 219-239, 1980
44 Flanagan, J. C., "A research approach to improving our quality of life" 33 : 138-147, 1978
스포츠 이벤트 글로벌성과 브랜드 글로벌성이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센터 퍼스널트레이너 레슨 참여자들의 서비스품질지각이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7 | 0.7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