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채움의 권리-실질적 자유 논의를 토대로 한 아동 권리의 상호연계적 실현 원리 탐색- = Rights as fulfilling: Exploring principle for the interdependent realization of human rights based on discussions of substantive freed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92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ality,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laws,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asons why human right agents should be practical doers s...

      In reality,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laws,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asons why human right agents should be practical doers striving to realize human rights for their community and, thereby, derive a principle for substantively realizing equal rights for all. Thus, we examined discussions of Feinberg, Rawls, Sen, and Nussbaum, who have attributed the limited realization of human rights to a lack of opportunities and abilities to enjoy freedom. In addition, we examined the concept of interdependence of human rights, which implies that opportunities and abilities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interdependent practice of duty and cooperation. Consequentially, we uncovered the principles of realizing substantive rights and equality. We found that rights are realized with opportunities and abilities, and that the community should, at the very minimum, help children maintain human dignity so that they can eventually realize their rights. The realization of human rights is not only the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but is also among our everyday responsi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a new perspective on the importance and principle of welfare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UN아동권리협약을 포함한 명문화된 각종 법이 현실에서 실천되지 않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권리의 주체들이 공동체적 권리 보장을 실천해야 하는 이유와 실질적으로 평등한 권리를 ...

      이 글은 UN아동권리협약을 포함한 명문화된 각종 법이 현실에서 실천되지 않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권리의 주체들이 공동체적 권리 보장을 실천해야 하는 이유와 실질적으로 평등한 권리를 실현할 수 있는 원리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권리의 실현이 어려운 이유를 기회와 능력의 결핍으로 본 실질적 자유의 주장자인 Feinberg, Rawls, Sen, Nussbaum의 논의를 탐색하고, 결핍된 기회와 능력은 개인 상호간의 의무와 협력을 통해 증진된다는 권리의 상호연계성 개념을 살펴본다. 그리고 실질적 자유 개념과 권리의상호연계성 개념을 종합하여 권리의 평등을 실질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원리를 도출한다. 그 결과 실질적 자유는 기회와 능력이 갖추어졌을 때 실현되며 그것이 부족한 아동을 위해 공동체는 재능의 기부, 의무의 실천을 통해 아동의 현재의 능력 수준과 존엄의 최저 선 사이의 간극인 잠재적 역량수준을 채움으로써 아동이 최소한의 존엄을 유지하고, 실질적으로 권리를실현할 수 있게끔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글은 기회와 능력의 상호연계적 채움 논의를 통해 인간 권리의 실현이 국가의 의무만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적 의무와 관련이 있고, 복지의 필요성과 원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으며, 아동복지정책에 대한 함의를 제공했다는 점에서의미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개발원, "한국의 사회동향" 통계청 2017

      2 Berlin, I, "자유론" 아카넷 2014

      3 Sen, A, "자유로서의 발전" 갈라파고스 2013

      4 김정화,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43-364, 2014

      5 Nussbaum, M, C., "역량의 창조" 돌베개 2018

      6 류정희, "아동종합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7 Chamberlin, R., "아동의 자유와 민주주의" 원미사 2012

      8 김정래, "세계인권선언과 국제권리협약" 2 : 21-37, 1998

      9 이봉철, "삶의 질서와 서구 자유주의 정치이론" 인간사랑 2006

      10 Rawls, J., "사회정의론" 서광사 1985

      1 통계개발원, "한국의 사회동향" 통계청 2017

      2 Berlin, I, "자유론" 아카넷 2014

      3 Sen, A, "자유로서의 발전" 갈라파고스 2013

      4 김정화,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43-364, 2014

      5 Nussbaum, M, C., "역량의 창조" 돌베개 2018

      6 류정희, "아동종합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7 Chamberlin, R., "아동의 자유와 민주주의" 원미사 2012

      8 김정래, "세계인권선언과 국제권리협약" 2 : 21-37, 1998

      9 이봉철, "삶의 질서와 서구 자유주의 정치이론" 인간사랑 2006

      10 Rawls, J., "사회정의론" 서광사 1985

      11 신정완, "복지국가의 철학 : 자본주의 분배적 정의 복지 국가" 인간복지 2014

      12 김호현, "권리의 위계: 영유아 교실 내 더 중요한 권리와 덜 중요한 권리의 구분 가능성 탐색" 한국아동권리학회 23 (23): 215-233, 2019

      13 김호현, "UN아동권리협약에 명시된 진화하는 능력 개념의 발달심리학적 이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269-287, 2017

      14 Sen, A., "The idea of justice" Allen Lane 2009

      15 Taylor, C., "The idea of freedom" Oxford University Press 175-183, 1979

      16 Felice, W. F., "The ethics of interdependence: Global human rights and duties" Rowman & Littlefield 2016

      17 Feinberg, J., "Social philosophy" Prentice-Hall 1973

      18 Pomerance, B., "Not just child’s play: Why recognizing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s jus cogens would give needed power to an important international document" 16 : 22-53, 2013

      19 MacCallum, G. C., "Negative and positive freedom" 76 (76): 312-334, 1967

      20 Kagan, S., "In harm’s way: Essays in honor of Joel Feinbe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41, 1994

      21 Neves-Silva, P., "Human rights’ interdependence and indivisibility : A glance over the human rights to water and sanitation" 19 (19): 14-21, 2019

      22 Houser, G. M., "Human rights and the liberation struggle. . . the importance of creative tension" 39 (39): 5-18, 1992

      23 Howard, R. E., "Human dignity, human rights, and political regimes" 80 (80): 801-817, 1986

      24 United Nations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Human Rights"

      25 Hathaway, O. A., "Do human rights treaties make a difference" 111 : 1935-2042, 2001

      26 Sen, A., "Consequential evaluation and practical reason" 97 (97): 477-502, 2000

      27 Cameron, J., "Closing the capabilities gap: Renegotiating social justice for the young" Verlag Barbara Budrich 105-126, 2011

      28 Nussbaum, M, C., "Capabilities as fundamental entitlements: Sen and social justice" 9 (9): 33-59, 2003

      29 Shue, H., "Basic rights: Subsistence, affluence, and US foreign poli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30 Walker, M.,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social justice in education" Springer 2007

      31 Skinner, Q., "A third concept of liberty" 117 : 237-268,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5 2.11 2.512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