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성리학 중심의 국가 운영을 목표로 관학의 진흥을 통해 유교에 의한 교화를 이루고 관학 교육과 과거제도를 연계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내외부의 혼란으로 교육제도가 문란해지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26438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유형원 ; 이익 ; 정약용 ; 교육제도 ; 공거제도 ; 천거 ; 관학 ; 토지제도 ; 정전제 ; 공전제 ; 한전제 ; 여전제 ; 실학교육 ; 만민교육 ; 신 관료 ; Hyeong-Won Yoo ; Ik Lee ; Yak-Yong Jeong ; education system ; Gonggeo system ; recommendation ; gwanhak ; land system ; jeongjeonje ; gongjeonje ; hanjeonje ; yeojeonje ; Silhak education ; education for all ; government officials
서울
Namin Silhak scholars' efforts to reform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ir theory of Silhak educ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ii, 75장 ; 26 cm
지도교수: 최윤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은 성리학 중심의 국가 운영을 목표로 관학의 진흥을 통해 유교에 의한 교화를 이루고 관학 교육과 과거제도를 연계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내외부의 혼란으로 교육제도가 문란해지고 ...
조선은 성리학 중심의 국가 운영을 목표로 관학의 진흥을 통해 유교에 의한 교화를 이루고 관학 교육과 과거제도를 연계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내외부의 혼란으로 교육제도가 문란해지고 각종 폐단이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남인 실학자들은 교육제도를 개혁하여 실학교육을 실천하고자 했다.
남인 실학자들은 교육제도 문란의 원인을 과거제도의 변질에서 찾고 문란해진 교육제도의 극복을 위한 방법을 모색했다.
남인 실학자들은 관학 교육기구의 개혁을 통한 실학교육의 실천을 제시했다. 유형원은 태학을 중심으로 중앙과 지방의 학제를 구상하고 공거제도 실시를 주장하였다. 이익은 성균관의 재정비를 주장하고 서원을 관학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정약용은 성균관을 국자감으로 바꾸고 중앙과 지방에서 학도를 선발하여 진행하는 단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상하였다. 모든 백성들을 능력을 위주로 선발하고 관학을 기반으로 단계적인 교육을 거쳐 관료로 등용할 것을 구상하였다.
남인 실학자 중 유형원은 과거제도를 폐지하고 공거제도로 관료를 임명하고자 했다. 이익은 과천병용론을 통해 과거와 천거를 모두 사용하여 과거제도의 모순을 해결하고자 했다. 정약용은 과천합일론을 주장하여 서얼과 중인, 부호들에 대한 등용의 기회를 확대하여 이들을 수용하고자 했다.
남인 실학자들은 교육의 기반을 토지제도의 개혁을 통해 마련하려했다. 중국의 정전제를 기초로 유형원의 공전제, 이익의 한전제, 정약용의 여전제 등의 토지제도 개혁안을 통해 관학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일정 수준의 경제력이 마련되어야 만민이 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보고 토지제도의 개혁을 통해 실학교육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남인 실학자들은 교양 있는 선비의 양성을 목표로 만민교육을 실시했다. 만민이 교양 있는 백성이 되어 생활의 향상을 얻고, 관료로서 업무에 필요한 현실적 기예의 교육을 통해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실학교육을 통해 부국강병을 이루고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려했다.
남인 실학자들은 실학교육을 통해 조선 후기 흔들리던 국가의 질서를 회복과 사회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들의 교육제도 구상은 전근대적인 부분과 근대적인 부분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과도기적 모습을 보여준다. 실학교육을 통해 국가의 사상과 기반을 유지하면서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할 능력을 갖추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했다.
Education for All: Halfway There?
Teachers TV Teachers TV2014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 : Utilizing Education System through Open Source: Using Columbia Case
한국교육학술정보원 In-Sik, Yoo[목요철학향연] 김선희 교수 특강 : 라이프니츠와 볼프, 그리고 정약용
이화여자대학교 김선희대한민국 학교교육제도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경범시(詩)로 읽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생애와 사상
한국연구재단 송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