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 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이태준 단편소설의 제재 수록 및 학습활동 양상 고찰 = A Study on the Aspects of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of Lee Tae-joon's Short Stories in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89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textbook topic and learning activities of Lee Tae-joon's short stories, thereby revealing problems in the process of textbooks' content configuration of modern novel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e following are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in modern novels.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more diverse categories of educational content in relation to the inclusion of textbook contents. Second, regarding the integration between field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rizontal content integration needs to be achieved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other fields of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grammar." Third, for the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literary interpretation methods, including the approach to the theory of the writer and the approach to the subject, as well as the approach of the work theory. Fourth, with respect to learners who accept literary works, the educational methodology of other departments should be adapted to the actual conditions of literature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textbook topic and learning activities of Lee Tae-joon's short stories, thereby revealing problems in the process of textbooks' content configuration of modern novel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textbook topic and learning activities of Lee Tae-joon's short stories, thereby revealing problems in the process of textbooks' content configuration of modern novel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e following are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in modern novels.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more diverse categories of educational content in relation to the inclusion of textbook contents. Second, regarding the integration between field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rizontal content integration needs to be achieved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other fields of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grammar." Third, for the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literary interpretation methods, including the approach to the theory of the writer and the approach to the subject, as well as the approach of the work theory. Fourth, with respect to learners who accept literary works, the educational methodology of other departments should be adapted to the actual conditions of literatur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태준 단편소설의 교과서 제재 수록 및 학습활동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교과서 제재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태준 단편소설의 제재 및 학습활동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 제재 및 내용 구성의 개선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제재 수록과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교육 내용의 범주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어교육 내 영역 간 통합과 관련하여 문학영역과 그밖에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영역이 수평적인 내용 통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문학작품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작품론적 접근방법 뿐만 아니라, 작가론적 접근과 주제론적 접근 등 다양한 문학 해석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학습자와 관련하여 타 교과의 교육방법론을 문학교육의 실정에 맞게 변용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이태준 단편소설의 교과서 제재 수록 및 학습활동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교과서 제재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태준 단편...

      본 연구는 이태준 단편소설의 교과서 제재 수록 및 학습활동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교과서 제재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태준 단편소설의 제재 및 학습활동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 제재 및 내용 구성의 개선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제재 수록과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교육 내용의 범주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어교육 내 영역 간 통합과 관련하여 문학영역과 그밖에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영역이 수평적인 내용 통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문학작품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작품론적 접근방법 뿐만 아니라, 작가론적 접근과 주제론적 접근 등 다양한 문학 해석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학습자와 관련하여 타 교과의 교육방법론을 문학교육의 실정에 맞게 변용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정호, "화법과 작문" 지학사 2014

      2 강진호, "현대소설사와 이태준의 위상 - 이태준 연구와 향후의 과제" 상허학회 13 : 11-43, 2004

      3 이승훈, "현대비평이론" 태학사 2001

      4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선명문화사 1973

      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16

      6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7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사비판" 일지사 1987

      8 차혜영, "한국 현대소설의 정전화 과정 연구-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18 : 157-181, 2005

      9 이관규, "중학교 국어③ 교사용 지도서" 비상교육 2014

      10 김혜영, "인간 이해를 위한 소설교육의 방향-일인칭 주인공 시점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6) : 187-218, 2011

      1 양정호, "화법과 작문" 지학사 2014

      2 강진호, "현대소설사와 이태준의 위상 - 이태준 연구와 향후의 과제" 상허학회 13 : 11-43, 2004

      3 이승훈, "현대비평이론" 태학사 2001

      4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선명문화사 1973

      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16

      6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7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사비판" 일지사 1987

      8 차혜영, "한국 현대소설의 정전화 과정 연구-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18 : 157-181, 2005

      9 이관규, "중학교 국어③ 교사용 지도서" 비상교육 2014

      10 김혜영, "인간 이해를 위한 소설교육의 방향-일인칭 주인공 시점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6) : 187-218, 2011

      11 이병렬, "이태준의 소설관 연구" 7 : 153-172, 1997

      12 민충환, "이태준연구" 깊은샘 1988

      13 김윤식, "이태준론" 현대문학 1989

      14 상허학회,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2004

      15 김근호, "이태준 소설의 서사 윤리와 소설교육" 한국현대소설학회 (54) : 41-81, 2013

      16 김현숙, "이태준 소설의 기호론적 분석 -단편 『복덕방』을 중심으로-" 8 : 201-219, 1991

      17 장영우, "이태준 소설연구" 태학사 1996

      18 김아름, "이태준 소설에 드러난 문체적 특징 -상고주의 소설의 묘사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64) : 375-409, 2019

      19 이병렬, "이태준 소설 연구" 평민사 1998

      20 송인화, "이태준 문학의 근대성" 국학자료원 2003

      21 김택호, "이태준 문학과 이상적 공동체주의" 상허학회 29 : 11-38, 2010

      22 이기인, "이태준" 새미 1996

      23 이도영, "언어사용 영역의 내용체계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4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968

      25 루시안 골드만, "소설사회학을 위하여" 청하 1982

      26 정진석, "소설 주제 교육의 변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38) : 331-378, 2012

      27 전한성, "서사교육에서 허구서사의 ‘인물’ 문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0) : 261-292, 2009

      28 정연희,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이태준 문학의 의미와 가치" 한국현대소설학회 (31) : 173-198, 2006

      29 이명희, "상허 이태준 문학세계" 국학자료원 1994

      30 김수이, "문학비평 방법론의 적용·변주를 통한 문학교육 -『작가비평·주제비평·복수의 비평적 관점을 적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상상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5) : 439-458, 2008

      31 남민우, "문학교육 목표 변천에 대한 비판적 고찰*-고등학교 문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22) : 121-154, 2007

      32 김상욱, "문학 제재의 적합성과 문학교육의 방향"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9-33, 2016

      33 조정래, "문학" 해냄에듀 2014

      34 권영민, "문학" 지학사 2014

      35 김대용, "문학" 상문연구사 2014

      36 조정래, "문학" 해냄에듀 2017

      37 우한용, "문학" 비상교육 2014

      38 김태철, "국어⑥" 비상교육 2014

      39 노미숙, "국어④" 천재교육 2014

      40 민현식, "국어④" 좋은책신사고 2014

      41 이관규, "국어③" 비상교육 2014

      42 신동흔, "국어Ⅱ" 동아출판 2014

      43 우한용, "국어Ⅱ" 비상교육 2014

      44 박영목, "국어Ⅱ" 천재교육 2014

      45 문영진, "국어Ⅰ" 창비 2014

      46 신유식, "국어" 미래엔 2017

      47 민현식, "국어" 좋은책신사고 2017

      48 Krathwohl, D. R., "교육목표분류학(Ⅱ) 정의적 영역" 교육과학사 1985

      49 Bloom, B. S, "교육목표분류학(Ⅰ) 지적 영역" 배영사 1996

      50 김혜영, "교과서 현대소설 제재의 교육내용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37-61, 2016

      51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국어과 교육과정"

      52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국어과 교육과정"

      53 박기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 제재 분석-2015 국어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71 (71): 525-563, 2019

      54 임주탁, "고등학교 문학" 미래엔 2014

      55 최재서, "[단행본] (海外)抒情詩集" 인문사 1938

      56 이중재, "<九人會>소설의 문학사적 연구" 국학자료원 1998

      57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교육과정 총론"

      58 김서윤,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육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