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잡곡유전자원을 이용한 유기종자생산 포장의 해충발생 소장 = Occurrence of Insect Pest from Organic Seed Producing Field of Minor Grain Germplas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9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creen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 on the organic seed producing field of minor grain germplasms, Pearl millet (Setaria italic L.), Sorghum (Sorghum bicolor L.), and Common millet (Panicum miliaceum L.) in Gangwon-do from 2008 to 2009. The artificial pheromone traps successfully attracted an Oriental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ènèe) on Pearl millet, but the Army worm, Pseudaletia separata, was not attracted in all of the minor grain fields. The ratio of damaged plants of Oriental corn borer and Army worm were appeared in order with Pearl millet, Common millet,and Sorghum. The morphological diversities of plant bug were shown as four kinds of species, Eastern green stinkbug (Nezara antennata), Brown-marmorated stinkbug (Halyomorpha halys), Sloe bug (Dolycoris baccarum), and Bean bug (Riptortus clavatus), on the organic seed producing field of minor grain. The average occurrence density of Eastern green stinkbug was the highest level in the three kind of minor grains, Pear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in 2008 and 2009. The dominant species are the Eastern green stinkbug and the Bean bug in Pearl millet and Common millet. The Sloe bug and the Bean bug possessed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in Sorghum.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creen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 on the organic seed producing field of minor grain germplasms, Pearl millet (Setaria italic L.), Sorghum (Sorghum bicolor L.), and Common millet (Panicum miliaceum L.) in Gangwon-do f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creen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 on the organic seed producing field of minor grain germplasms, Pearl millet (Setaria italic L.), Sorghum (Sorghum bicolor L.), and Common millet (Panicum miliaceum L.) in Gangwon-do from 2008 to 2009. The artificial pheromone traps successfully attracted an Oriental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ènèe) on Pearl millet, but the Army worm, Pseudaletia separata, was not attracted in all of the minor grain fields. The ratio of damaged plants of Oriental corn borer and Army worm were appeared in order with Pearl millet, Common millet,and Sorghum. The morphological diversities of plant bug were shown as four kinds of species, Eastern green stinkbug (Nezara antennata), Brown-marmorated stinkbug (Halyomorpha halys), Sloe bug (Dolycoris baccarum), and Bean bug (Riptortus clavatus), on the organic seed producing field of minor grain. The average occurrence density of Eastern green stinkbug was the highest level in the three kind of minor grains, Pear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in 2008 and 2009. The dominant species are the Eastern green stinkbug and the Bean bug in Pearl millet and Common millet. The Sloe bug and the Bean bug possessed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in Sorgh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잡곡유기종자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병해충 관리의 기본이 되는 잡곡의 중요 병해충발생 소장 및 발생시기와 밀도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2008년 조, 기장, 수수의 유기잡곡종자 생산 포장에서조사기간 동안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자원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자원에서 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으며, 2009년도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재배 포장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재배 포장에서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다.
      2. 2008년 조명나방에 의한 잡곡의 피해주율을 조사하였더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월 16일에는 조 (60%),수수 (47.5%), 기장 (43.8%)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2009년에는 6월 8일부터 9월 4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9월 4일에는 조 (51.3%), 수수 (42.5%), 기장(32.5%)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자원은 6월 8일부터 6월 26일 사이에 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3. 멸강나방 성충의 발생 시기나 밀도를 조사하였으나,2008년, 2009년 모두 전혀 유인되지 않았으나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는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각자원별로 피해주율을 살펴보면, 조, 수수, 기장 순으로나타났다.
      4. 2008년, 2009년 모두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주율은 조, 수수, 기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08년 조자원에 대한 피해주율은 11.25~35.0%로 지속적으로증가하였고, 수수와 기장의 피해주율은 각각 3.8~26.3%, 7.5~22.5%의 변이를 보였다. 2009년 각 자원별로 평균 피해주율은 조 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는 2.5~36.3%, 수수는 0~25.0%, 기장은 0~21.3% 순으로 나타났다5. 잡곡포장에서의 노린재 발생은2008년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3종류가 발생하였으며, 조와 기장 자원에서 풀색노린재의 발생 밀도가 가장 높았고, 2009년은 4종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톱다리노린재)의 노린재가 발생하였고 조와 기장 자원은 풀색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의 발생밀도는 낮게 나타났다. 수수 자원은 썩덩나무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와 풀색 노린재는 낮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번역하기

      잡곡유기종자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병해충 관리의 기본이 되는 잡곡의 중요 병해충발생 소장 및 발생시기와 밀도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2008년 조, 기장, 수수의 유기잡곡...

      잡곡유기종자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병해충 관리의 기본이 되는 잡곡의 중요 병해충발생 소장 및 발생시기와 밀도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2008년 조, 기장, 수수의 유기잡곡종자 생산 포장에서조사기간 동안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자원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자원에서 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으며, 2009년도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재배 포장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재배 포장에서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다.
      2. 2008년 조명나방에 의한 잡곡의 피해주율을 조사하였더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월 16일에는 조 (60%),수수 (47.5%), 기장 (43.8%)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2009년에는 6월 8일부터 9월 4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9월 4일에는 조 (51.3%), 수수 (42.5%), 기장(32.5%)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자원은 6월 8일부터 6월 26일 사이에 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3. 멸강나방 성충의 발생 시기나 밀도를 조사하였으나,2008년, 2009년 모두 전혀 유인되지 않았으나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는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각자원별로 피해주율을 살펴보면, 조, 수수, 기장 순으로나타났다.
      4. 2008년, 2009년 모두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주율은 조, 수수, 기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08년 조자원에 대한 피해주율은 11.25~35.0%로 지속적으로증가하였고, 수수와 기장의 피해주율은 각각 3.8~26.3%, 7.5~22.5%의 변이를 보였다. 2009년 각 자원별로 평균 피해주율은 조 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는 2.5~36.3%, 수수는 0~25.0%, 기장은 0~21.3% 순으로 나타났다5. 잡곡포장에서의 노린재 발생은2008년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3종류가 발생하였으며, 조와 기장 자원에서 풀색노린재의 발생 밀도가 가장 높았고, 2009년은 4종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톱다리노린재)의 노린재가 발생하였고 조와 기장 자원은 풀색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의 발생밀도는 낮게 나타났다. 수수 자원은 썩덩나무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와 풀색 노린재는 낮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한섭, "조,기장,수수의 지방질과 지방산 조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2 (12): 123-128, 2002

      2 윤성탁, "기장 유전자원의 농업적 특성" 한국작물학회 53 (53): 394-400, 2008

      3 Choi BH, "Traditional Pearl Millet Foods in Africa and Asia" 24 : 376-385, 1992

      4 Rhee JM, "The extraction of Sorghum figment from the husk of Sorghum seed" 20 : 14-20, 1983

      5 Lee YB, "Studies on the bionomics of the oriental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ènèe)" 19 : 187-192, 1980

      6 Hulse JH, "Sorghum and the millets: their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Academic press 152-155, 1980

      7 Ha YD, "Protein characteristics of Pearl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8 : 189-192, 2001

      8 Lee HS, "Production prospects and food demands in the year 2000" 29-47, 2000

      9 Jeong SG, "Perspectives and strategies of production of miscellaneous crops and animal feeds" 266-287, 1998

      10 Cho MS, "Nutritional composition of Sorghum cultivars from Korea" 10 : 1-9, 1999

      1 소한섭, "조,기장,수수의 지방질과 지방산 조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2 (12): 123-128, 2002

      2 윤성탁, "기장 유전자원의 농업적 특성" 한국작물학회 53 (53): 394-400, 2008

      3 Choi BH, "Traditional Pearl Millet Foods in Africa and Asia" 24 : 376-385, 1992

      4 Rhee JM, "The extraction of Sorghum figment from the husk of Sorghum seed" 20 : 14-20, 1983

      5 Lee YB, "Studies on the bionomics of the oriental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ènèe)" 19 : 187-192, 1980

      6 Hulse JH, "Sorghum and the millets: their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Academic press 152-155, 1980

      7 Ha YD, "Protein characteristics of Pearl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8 : 189-192, 2001

      8 Lee HS, "Production prospects and food demands in the year 2000" 29-47, 2000

      9 Jeong SG, "Perspectives and strategies of production of miscellaneous crops and animal feeds" 266-287, 1998

      10 Cho MS, "Nutritional composition of Sorghum cultivars from Korea" 10 : 1-9, 1999

      11 Choi BH,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yields for introduced germplasms of grain Sorghum" 8 : 143-150, 1996

      12 Kang JH,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roduced Sorghum germplasm" 41 : 207-214, 1996

      13 Choi BH, "Genetic diversities of contents of tannin and yields of grain Sorghum" 32 : 39-45, 1990

      14 Jeong JH, "Edible plants" Bumin Publishing Co. 342-359, 1997

      15 Choi BH, "Early spring production and starvation of Waxy common millet In: Functional and palatable Minor grain of" 34 : 120-123, 1994

      16 Lee HS,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collected local lines of Italian millet (Setaria italic, Beauvois) in Korea and their ethno botanical relation to adjacent areas" 28 : 334-339, 1983

      17 Kim GH, "Development and Productivity of domestic natural resources" Agricultural Science Reports of RDA 117-, 1991

      18 Duncan RR, "Contributions of introduced sorghum germplasm to hybrid development in the USA, Use of plant introductions in cultivar development part I" 17 : 69-102, 1991

      19 Choi BH, "Common millet and Pearl millet (Minor grain, When eats the cooked rice tastefully)" 6 : 82-84, 1993

      20 Lee HS, "Characteristics of the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 L. Beauv) local collections in Korea" 19 : 158-163, 1987

      21 Kil HY, "Analysis of biological activity in accessions of minor grains" 50 : 508-509, 2006

      22 Park HS, "Agronmic chacacteristics of common millet (Panicum miliaceum L.) varieties" 31 : 428-433, 1999

      23 FAO, "Agricultural Database"

      24 Harlan JR, "A simplified classification of cultivated Sorghum" 12 : 172-176,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9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