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운영 지속재배시 입모, 월동 및 생육 특성 = Seedling Establishment, Overwintering Ability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in Natural Reseeding Pract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92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edling establishment, overwintering ability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CMV) in natural reseeding practice were compared with the annual seedling in 2006~2007 and 2007~2008.
      In natural reseeding, CMV seeds were distributed up to 15cm soil depth in autumn after rice harvest and the seeds generally emerged from soil at less than 5 cm depth while they all emerged from soil surface in the annual seeding.
      It took 7-8 d longer in seedling establishment of the natural reseeding practice than the annual seeding. Generally, the natural reseeding practice showed higher seedling stand than the annual seeding because of high seedling survival rate. The high seedling survival rate in natural reseeded plant was attributed to the longer root length than that of the annual-seeded plant. In annual seeding, most of the seeds emerged from the soil surface and the root can not easily penetrate the soil while, in natural reseeding technology,the seeds incorporated into the soil during land preparation emerged from the soil at 0 to 5 cm depths, thereby having longer root length. The long root length contributed to greater ability to survive even under low temperature and low soil moisture conditions during winter. The dry matter production in the natural reseeding practice was also higher than the annual seeding when the temperature is low and soil moisture is not sufficie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natural reseeding technology is more stable and beneficial in seedling establishment and dry matter production as compared with the annual seeding especially under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 for CMV growth. This practice could be encouraged in CMV-rice cropping system in the southern parts of Korea.
      번역하기

      Seedling establishment, overwintering ability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CMV) in natural reseeding practice were compared with the annual seedling in 2006~2007 and 2007~2008. In natural reseeding, CMV se...

      Seedling establishment, overwintering ability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CMV) in natural reseeding practice were compared with the annual seedling in 2006~2007 and 2007~2008.
      In natural reseeding, CMV seeds were distributed up to 15cm soil depth in autumn after rice harvest and the seeds generally emerged from soil at less than 5 cm depth while they all emerged from soil surface in the annual seeding.
      It took 7-8 d longer in seedling establishment of the natural reseeding practice than the annual seeding. Generally, the natural reseeding practice showed higher seedling stand than the annual seeding because of high seedling survival rate. The high seedling survival rate in natural reseeded plant was attributed to the longer root length than that of the annual-seeded plant. In annual seeding, most of the seeds emerged from the soil surface and the root can not easily penetrate the soil while, in natural reseeding technology,the seeds incorporated into the soil during land preparation emerged from the soil at 0 to 5 cm depths, thereby having longer root length. The long root length contributed to greater ability to survive even under low temperature and low soil moisture conditions during winter. The dry matter production in the natural reseeding practice was also higher than the annual seeding when the temperature is low and soil moisture is not sufficie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natural reseeding technology is more stable and beneficial in seedling establishment and dry matter production as compared with the annual seeding especially under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 for CMV growth. This practice could be encouraged in CMV-rice cropping system in the southern parts of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운영 재배농가에 자운영 안정적 입모확보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운영 지속재배와 매년파종시 입모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지속재배포장에서 가을철 토양 속 자운영 종자는 이앙전 로타리는 토양표면에서 15 cm깊이까지 고루 분포한 반면, 부분경운 이앙시는 주로 10 cm깊이 이하에서대부분 분포하였다.
      2. 자운영 지속재배시 출아깊이는 부분경운 이앙시 1~3 cm.
      로터리경운 이앙시 1~5 cm에서 출아가 되었다.
      3. 자운영 지속재배는 표면에서 출아하는 매년파종 자운영보다 월동전 뿌리 길이가 깊어 월동율이 높고 논 정지 작업시 종자가 토양과 고루 혼합이 되어 입모균일도가 10.6~11.7% 가량 높아 입모수 확보가 유리하였다.
      4. 자운영 지속재배시 건물생산성은 수분부족 및 저온 등기상환경이 불량 할 경우 매년파종보다 건물생산성은 높았으나 환경조건이 양호할 경우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번역하기

      자운영 재배농가에 자운영 안정적 입모확보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운영 지속재배와 매년파종시 입모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지속재배포장에서 가을철 토양 ...

      자운영 재배농가에 자운영 안정적 입모확보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운영 지속재배와 매년파종시 입모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지속재배포장에서 가을철 토양 속 자운영 종자는 이앙전 로타리는 토양표면에서 15 cm깊이까지 고루 분포한 반면, 부분경운 이앙시는 주로 10 cm깊이 이하에서대부분 분포하였다.
      2. 자운영 지속재배시 출아깊이는 부분경운 이앙시 1~3 cm.
      로터리경운 이앙시 1~5 cm에서 출아가 되었다.
      3. 자운영 지속재배는 표면에서 출아하는 매년파종 자운영보다 월동전 뿌리 길이가 깊어 월동율이 높고 논 정지 작업시 종자가 토양과 고루 혼합이 되어 입모균일도가 10.6~11.7% 가량 높아 입모수 확보가 유리하였다.
      4. 자운영 지속재배시 건물생산성은 수분부족 및 저온 등기상환경이 불량 할 경우 매년파종보다 건물생산성은 높았으나 환경조건이 양호할 경우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지호, "자운영에 의한 토양개선 및 벼 생산성 증대 연구" 37 (37): 255-258, 1995

      2 정지호, "자운영에 의한 수도의 질소시비량 절감 연구" 38 (38): 299-303, 1996

      3 김상열, "자운영 지속재배시 벼 생육, 수량 및 미질" 한국작물학회 54 (54): 351-356, 2009

      4 이병진, "자운영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 구명" 한국작물학회 53 (53): 70-74, 2008

      5 황동용, "자운영 이용 친환경 쌀 생산기술" 영남농업연구소 129-, 2007

      6 김영광, "자연적인 자운영 재입모를 위한 적정 벼 재배유형" 26 (26): 473-477, 2001

      7 이 인, "벼 재배지에서 1 회 파종한 자운영의 지속적인 이용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농촌진흥원 613-620, 1997

      8 강위금, "두과녹비작물 재배와 이용" 농촌진흥청 85-130, 2002

      9 김상열, "Physical Dormancy in Seeds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from Korea" 한국작물학회 53 (53): 421-426, 2008

      10 이지현, "Overwintering Capacity Affected by Seeding Time and Method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in Upland Field" 한국작물학회 50 (50): 67-72, 2005

      1 정지호, "자운영에 의한 토양개선 및 벼 생산성 증대 연구" 37 (37): 255-258, 1995

      2 정지호, "자운영에 의한 수도의 질소시비량 절감 연구" 38 (38): 299-303, 1996

      3 김상열, "자운영 지속재배시 벼 생육, 수량 및 미질" 한국작물학회 54 (54): 351-356, 2009

      4 이병진, "자운영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 구명" 한국작물학회 53 (53): 70-74, 2008

      5 황동용, "자운영 이용 친환경 쌀 생산기술" 영남농업연구소 129-, 2007

      6 김영광, "자연적인 자운영 재입모를 위한 적정 벼 재배유형" 26 (26): 473-477, 2001

      7 이 인, "벼 재배지에서 1 회 파종한 자운영의 지속적인 이용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농촌진흥원 613-620, 1997

      8 강위금, "두과녹비작물 재배와 이용" 농촌진흥청 85-130, 2002

      9 김상열, "Physical Dormancy in Seeds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from Korea" 한국작물학회 53 (53): 421-426, 2008

      10 이지현, "Overwintering Capacity Affected by Seeding Time and Method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in Upland Field" 한국작물학회 50 (50): 67-72, 2005

      11 Sang-Yeol Kim, "Optimum Soil Incorporation Time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for its Natural Re-seeding and Green Manuring of Rice in Gyeongnam Province, Korea" 한국작물학회 11 (11): 193-198, 2008

      12 심상인, "Ecophysiology of Seed Germination in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한국작물학회 49 (49): 19-24, 2004

      13 Wook Kim, "Changes of Seed Quality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During Seed Developmental Stages" 한국작물학회 52 (52): 363-369,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9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