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요약
사회적 변인별 상대높임법의 사용양상
-모어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간 사회적 변인에 따라 상대...
국문 요약
사회적 변인별 상대높임법의 사용양상
-모어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간 사회적 변인에 따라 상대높임법에서 공손도 인식과 사용 양상을 조사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두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상대 높임법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사회적 변인을 선정하여 세 가지 변인에 따라 상대높임법에 대한 공손도 인식과 사용 양상을 조사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1 장은 서론 부분이다. 서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나서 선행연구를 국어학적 연구와 한국어 교육적 연구를 두 부분을 나눠서 살펴보았다.
2 장은 이론적 배경이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높임법의 체계 및 사회적 변인 체계를 중심으로 더욱 깊게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개념과 체계별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에서의 높임법 체계와 변인을 설정하고 설명하였다..
3 장은 실험 부분이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을 소개하였다. 다음에 예비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본 실험의 설문지를 개선하고, 설문지를 총 3 부분으로 나누어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회적 변인에 따라 상대높임법에 대한 공손도 인식과 사용 양상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4 장은 실험 결과 분석이다. 실험 결과분석은 통계적인 방법으로 설문 조사의 결과를 3부분을 나누어 독립표본 t검정과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을 통해 상하 관계, 나이 차이, 친소 관계 세 가지 사회적 변인에 따라 공손도 인식과 사용 양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공손도 인식에 대한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두 집단 간에는 상황별 공손도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상대높임법의 사용 양상에 있어서는, 변인별 교차분석과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상대높임법의 사용 양상에 유의미한 차아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상대높임법 사용양상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는 상황은 주로 청자와 화자가 소원한 상황이다, 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인 모어 화자의 높임법 사용 분포를 보면, 소원한 관계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인 모어화자보다 존댓말을 사용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왔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실제 통계에서는 제외할 유사 문항을 함께 조사하였는데, 유사 문항도 실제 문항과 일치하는 결과가 나와, 본 실험의 신뢰도를 검증되었다. 그리고 설문의 공손도 인식 조사 부분과 사용 양상 부분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공손도 인식과 실제 사용 양상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모두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 다시 한 번 실험의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핵심어: 상대높임법, 사회적 변인, 공손도 인식, 사용 양상 차이, 중국인 학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