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 차이 연구 -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Vocational Motives of University Students - Center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2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 양상을 살펴보고, 인구통계...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 양상을 살펴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표본은 광주 및 전남 소재 4년제, 4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총 282명의 응답결과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타당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ANOVA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안정적인 장래’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남성은 ‘능력 발휘’를 여성은 ‘일의 보람’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남녀 모두 정서적 동기를 환경적 동기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년과 대학에서는 직업선택 동기 중 환경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선택 동기를 실증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을 통해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진로지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ith a view to providing basic data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To this end, the aspects of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ere examined to verif...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ith a view to providing basic data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To this end, the aspects of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ere examined to ver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amples for the empirical study were selected from among those university students in four 4-year college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s. Responses from a total of 282 studen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9.0 statistical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validity analyses, reliability analyses, t-tests, and ANOVA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garded ‘stable future’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capability display’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and ‘rewarding experience from work’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n additio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shown to regard emotional motive to be more important than environmental motive. Second, as for differences in vocational motiv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were not significant whil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and universities were identified to be significant. In the present study, overall vocational motives of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not students of certain departments, were empirically analyzed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n detail with a view to presenting the direction of career guid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미, "환대산업에서 제공되는 직업의 이미지가 직업선택의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 11 (11): 101-111, 2015

      2 박경호, "호텔종사원의 직업선택 동기, 직무만족, 성취감,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161-177, 2012

      3 김기철, "호텔 종사원 직업선택 동기의 중요도-만족도(IPA)에 의한 추천의도 연구" 관광경영학회 16 (16): 1-20, 2012

      4 최영수, "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원의 직무동기부여에 관한 실증적 연구" 21 (21): 223-239, 2004

      5 최우성, "호텔 및 관광전공 학생들의 직업선택에 대한 직업가치 연구 - 수단-목적 사슬모형 및 래더링 기법의 적용 -"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123-149, 2014

      6 김영미, "항공사 승무원이 갖춰야 할 역량이나 자질, 직업선택의 동기 및 근무혜택에 대한 만족도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0 (10): 70-91, 2008

      7 정명희, "항공사 객실승무원이미지가 직업선택 동기와 취업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16 (16): 492-515, 2014

      8 정은하, "패밀리레스토랑 조직구성원의 직업선택 동기에 대한 IPA 연구" 74 (74): 603-617, 2013

      9 안황권, "특수경비원의 직업선택동기와 직업평가에 관한 연구" 12 (12): 225-243, 2006

      10 권재기, "청년기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진로특성 변화 및 예측: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고등학교 3학년 때의 진로특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14): 49-74, 2011

      1 이상미, "환대산업에서 제공되는 직업의 이미지가 직업선택의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 11 (11): 101-111, 2015

      2 박경호, "호텔종사원의 직업선택 동기, 직무만족, 성취감,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161-177, 2012

      3 김기철, "호텔 종사원 직업선택 동기의 중요도-만족도(IPA)에 의한 추천의도 연구" 관광경영학회 16 (16): 1-20, 2012

      4 최영수, "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원의 직무동기부여에 관한 실증적 연구" 21 (21): 223-239, 2004

      5 최우성, "호텔 및 관광전공 학생들의 직업선택에 대한 직업가치 연구 - 수단-목적 사슬모형 및 래더링 기법의 적용 -"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123-149, 2014

      6 김영미, "항공사 승무원이 갖춰야 할 역량이나 자질, 직업선택의 동기 및 근무혜택에 대한 만족도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0 (10): 70-91, 2008

      7 정명희, "항공사 객실승무원이미지가 직업선택 동기와 취업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16 (16): 492-515, 2014

      8 정은하, "패밀리레스토랑 조직구성원의 직업선택 동기에 대한 IPA 연구" 74 (74): 603-617, 2013

      9 안황권, "특수경비원의 직업선택동기와 직업평가에 관한 연구" 12 (12): 225-243, 2006

      10 권재기, "청년기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진로특성 변화 및 예측: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고등학교 3학년 때의 진로특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14): 49-74, 2011

      11 김헌수,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261-278, 2004

      12 어윤경,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실현의 관계: 의사결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029-1046, 2010

      13 김선아, "직업선택 동기의 선행, 조절,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2013 (2013): 455-500, 2013

      14 최경석, "직업선택 동기와 취업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체육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 한국일본근대학회 (27) : 257-272, 2010

      15 강길현, "지방대학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사회봉사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 (20): 133-140, 2015

      16 문주현,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과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 호텔관광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 한국호텔관광학회 17 (17): 323-347, 2015

      17 손정리,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의 유효성이 직업선택 및 타인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6 (26): 181-203, 2011

      18 강나연, "미팅플래너가 갖춰야 할 역량과 직업선택의 동기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1-21, 2011

      19 박성민, "미국 비영리조직(NGO)관리자들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 Red Tape 인식도 간의 영향요인 분석 : 공식화와 멘토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12 (2012): 453-477, 2012

      20 신은경, "동아리활동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133-154, 2016

      21 유형숙, "대학진학의 지망동기와 직업선택 동기에 관한 연구 : 관광관련 전공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9 (19): 81-95, 2004

      22 서병우, "대학생의 특성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3 (3): 65-81, 2013

      23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24 박동열,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1-32, 2006

      25 고길곤, "대학생의 직업선택동기와 공직동기" 한국행정연구소 48 (48): 339-368, 2010

      26 김병숙, "대학생의 직업 및 직장선택기준이 진로신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277-294, 2008

      27 정보연,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28 황매향, "대학생의 일의 의미와 진로 결정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 32 (32): 675-699, 2013

      29 이상미, "대학생들의 전공선택이 직업선택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경영전공 중심으로-" 산업경영연구소 38 (38): 219-236, 2015

      30 양필수, "관광통역안내사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주지역 일본어 관광통역안내사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1 (21): 175-192, 2007

      31 양진연, "관광전공 대학생의 인지적 여가태도, 대인적 여가 제약, 진로성숙과의 영향관계 연구" 한국관광산업학회 40 (40): 61-81, 2015

      32 오헌석,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 비교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45-265, 2010

      33 Deci, E. L., "The"What"and"Why"of goal pursuits :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ur" 11 (11): 227-268, 2000

      34 Casado, Matt A., "Student expectations of hospitality jobs" 33 (33): 80-82, 1992

      35 최우성, "Q방법론을 이용한 관광전공 대학생의 창업동기유형이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기체계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산업학회 40 (40): 231-260, 2015

      36 Houston, David J., "Public-service motivation : A multivariate test" 10 (10): 713-728, 2000

      37 Alderfer, C. P.,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Humen needs in organizational settings" Free Press 1972

      38 Karatepe, O. M., "Conflict, exhaustion, and motivation : A study of frontline employees in Northern Cyprus hotels" 26 (26): 645-665, 2007

      39 Ritz, A., "Competing for future leaders: A study of attractiveness of public sector organization to potential job applicants" 1-26, 2011

      40 Konrad, E., "Changes in work motivation during transition : A case from slovenia, applied psychology" 49 (49): 619-635, 2000

      41 한국고용정보원, "2009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추적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 Korean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2 2.12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2 1.69 2.283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