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한국 언론학계에 가차 저널리즘을 소개하고 발생원인을 탐구, 분석하고자했다. 가차 저널리즘 (gotcha journalism) 이란 공인 (public figure), 특히 정치인의 실수나 해프닝을 꼬투리삼아 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29678
2004
Korean
꼬투리 잡기 저널리즘 ; 공인과 언론보도 ; 가차 저널리즘 ; 공격 저널리즘
학술저널
111-127(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한국 언론학계에 가차 저널리즘을 소개하고 발생원인을 탐구, 분석하고자했다. 가차 저널리즘 (gotcha journalism) 이란 공인 (public figure), 특히 정치인의 실수나 해프닝을 꼬투리삼아 집...
연구는 한국 언론학계에 가차 저널리즘을 소개하고 발생원인을 탐구, 분석하고자했다. 가차 저널리즘 (gotcha journalism) 이란 공인 (public figure), 특히 정치인의 실수나 해프닝을 꼬투리삼아 집중적으로 반복, 보도하는 언론의 보도행태를 말한다. “Gotcha” 는 영어문화권에서 흔히 쓰이는 “I got you” 의 줄임말로 우리말의 “딱 걸렸어” 정도에 해당되며 미국 언론학계에는 상당한 연구가 있어 왔다. 연구를 위해 중앙 일간지 정치부 기자 (6명), 방송 3사 정치부기자 (3명) 등 모두 9명을 분석대상으로 골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대상 언론사는 조선, 중앙,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 서울신문 등 6개 일간지와 KBS, MBC, SBS 등 3개 방송사이며 최소 5년 이상 정당을 출입해 온 정치전문 기자 중에서 선정했다.
분석 결과 국내에서 가차 저널리즘적인 보도행태가 나타나고 있는 원인은 외부적으로는 한국인의 지나치게 과도한 정치적 관심에 있은 것으로 드러났다. 내부적으로는 취재기자가 쉽게 기사화할 수 있다는 점, 정치인의 거대 담론이나 이념보다는 말실수나 해프닝 기사가 오히려 읽히는 세태, 가십성 기사를 크게 다루는 인터넷 매체와의 경쟁의식 등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소속 언론사의 정치적 성향이 특정인에 대한 가차 저널리즘적인 보도행태와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일부 언론의 경우 가차 저널리즘이 하나의 정치투쟁의 도구로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가차 저널리즘적인 보도행태의 주요 생산 원인중의 하나는 독자중심의 편집정책(reader-driven news production)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독일 아날로그 지상파TV의 스위치 오프(switch off)와 디지털화 수용 과정에 관한 연구
The Effectiveness of Entertainment-Education as Media Health Campaig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