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직무수행실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job performance of the staff exclusively for self-reliance support of institutional care for childre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analyzing reality and level of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 who work at Children Nurturing Facility in charge of the self-reliance process, and discharge and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difficulty in task performance. From March 2nd of 2015 to October 2nd, total of 7 months, we have given survey questionnaires in order to gather data and done a total inspection of specialist in 240 facilities nationwide. There were 119 specialis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ut we excluded dishonest answers, 114 responses were us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as used SPSS(PASW) 18.0 to analyze research target`s demogr aphic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for the actual perfor mance task. Looking through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working condition and facility`s Independent Operation System`s current status; it has shown that most of the specialists (89.5%) are doing additional duties besides Independent Support duties. As of difficulties in working as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57.1% has answered excessive task, 51.8% answered childre n`s lack of participation motivation, 36.8% for shortage of necessary budget and 46.5% of speci alists have answered that they have a flexible schedule in handling tasks. As the research results are stated, when we suggest practical and policy-based. Through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look into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specific tasks in different areas. Also, we were able to surpass the limitations by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번역하기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analyzing reality and level of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 who work at Children Nurturing Facility in charge of the self-reliance process, and discharge and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difficulty in task performan...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analyzing reality and level of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 who work at Children Nurturing Facility in charge of the self-reliance process, and discharge and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difficulty in task performance. From March 2nd of 2015 to October 2nd, total of 7 months, we have given survey questionnaires in order to gather data and done a total inspection of specialist in 240 facilities nationwide. There were 119 specialis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ut we excluded dishonest answers, 114 responses were us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as used SPSS(PASW) 18.0 to analyze research target`s demogr aphic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for the actual perfor mance task. Looking through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working condition and facility`s Independent Operation System`s current status; it has shown that most of the specialists (89.5%) are doing additional duties besides Independent Support duties. As of difficulties in working as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57.1% has answered excessive task, 51.8% answered childre n`s lack of participation motivation, 36.8% for shortage of necessary budget and 46.5% of speci alists have answered that they have a flexible schedule in handling tasks. As the research results are stated, when we suggest practical and policy-based. Through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look into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specific tasks in different areas. Also, we were able to surpass the limitations by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명숙, "퇴소를 앞 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재분리 준비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133-155, 2014

      2 배주미,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현장전문가 델파이 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69-96, 2011

      3 신혜령, "자립지원전담요원 직무전문성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중앙아동자립지원사업단 2014

      4 보건복지부, "자립지원 업무매뉴얼"

      5 조기곤,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6 강현아, "아동양육시설의 보호 비용함수 추정과 효율성"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55-79, 2011

      7 이혜은, "아동양육시설 퇴소청소년의 경제적 안정성, 거주안정성,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09-233, 2008

      8 박상현, "아동양육시설 퇴소자의 자립에 관한 현상학 연구" 경북외국어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3

      9 임영희, "아동양육시설 퇴소아동 자립지원정책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10 박은선, "아동양육시설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생활 준비를 위한 일반주의 실천 접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 윤명숙, "퇴소를 앞 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재분리 준비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133-155, 2014

      2 배주미,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현장전문가 델파이 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69-96, 2011

      3 신혜령, "자립지원전담요원 직무전문성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중앙아동자립지원사업단 2014

      4 보건복지부, "자립지원 업무매뉴얼"

      5 조기곤,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6 강현아, "아동양육시설의 보호 비용함수 추정과 효율성"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55-79, 2011

      7 이혜은, "아동양육시설 퇴소청소년의 경제적 안정성, 거주안정성,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09-233, 2008

      8 박상현, "아동양육시설 퇴소자의 자립에 관한 현상학 연구" 경북외국어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3

      9 임영희, "아동양육시설 퇴소아동 자립지원정책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10 박은선, "아동양육시설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생활 준비를 위한 일반주의 실천 접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1 권지성,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퇴소 후 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아동권리학회 11 (11): 1-29, 2007

      12 도병훈,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업무경험에 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3

      13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시설현황" 2016

      14 이준상, "아동복지시설종사자의 임파워먼트, 전문성 그리고 서비스 질에 관한 인과모형" 11 (11): 321-346, 2005

      15 이혜연,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실태와 적응과정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16 임동호, "아동복지생활시설 생활지도원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17 "아동복지법" 국가법령정보센터

      18 김성경, "아동복지론" 양서원 2005

      19 김명성, "시설퇴소청소년의 자립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0 이윤제, "시설퇴소아동의 자립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2

      21 신혜령, "시설퇴소아동 자립생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6) : 167-194, 2003

      22 이동욱, "시설퇴소아동 실태조사 및 분석" 보건복지부․중앙아동자립지원센터 2011

      23 신혜령, "시설청소년의 자립지원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8 (8): 29-49, 2011

      24 신혜령,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 청소년과 보육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5 신혜령, "시설보호아동 자립지원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아동복지정책과제 최종보고서" 2002

      26 구차순, "시설보호 아동의 원가족 분리 대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1) : 31-60, 2011

      27 강현아, "시설 퇴소청소년의 성인전환 단계에 따른 자립 및 사회적응 현황" 한국아동복지학회 (30) : 41-69, 2009

      28 정선욱, "시설 퇴소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관련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33-252, 2010

      29 전재일, "생활시설의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에 미치는 영향" 9 (9): 437-464, 2003

      30 조성우, "사회복지사의 맥락적 수행에 대한 개념타당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86-118, 2006

      31 유영덕,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리더쉽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가치경쟁적 리더쉽 이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32 박용순, "빈곤과 자립" 학지사 2001

      33 신혜령, "보호아동실태조사를 통한 자립지원의 방향과 과제" 보건복지부 중앙아동자립지원센터 2011

      34 신혜령, "보호아동 자립지원프로그램개발연구" 보건복지부 2006

      35 신혜령, "보호아동 자립지원표준화프로그램(Ready? Action!) 기획매뉴얼"

      36 보건복지부, "보호아동 및 퇴소청소년자립지원 업무매뉴얼(초안)"

      37 최순종, "보호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지원 실태에 대한 연구 - 부처별 시설 및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가청소년위원회 2008

      38 유보배,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39 Powell, M., "The psychology of adolescence" The Bobbs Merill Co. Inc 1963

      40 Mech, E. V., "Preparing foster youth for adulthood: a Knowledge-building perspective" 16 : 141-145, 1994

      41 Maluccio, A., "Preparing adolescents for life after foster care" Child Welfare League of America 77-89, 1990

      42 Tett, R. 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 46 (46): 259-293, 1993

      43 네이버 국어사전, "'자립'의 정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6-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Locality and Globa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 Locality and Glob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 -> 지역과 세계
      외국어명 : 미등록 -> Locality and Globa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6 0.9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