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안을 생태체험 및 여가 공간으로 계획하는 형태의 개발이 활발하다. 이는 공공의 여가에 대한 인식향상과 삶의 질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변화로 인해 공공의 여가공간에 대한 수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연안을 생태체험 및 여가 공간으로 계획하는 형태의 개발이 활발하다. 이는 공공의 여가에 대한 인식향상과 삶의 질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변화로 인해 공공의 여가공간에 대한 수요...
최근 연안을 생태체험 및 여가 공간으로 계획하는 형태의 개발이 활발하다. 이는 공공의 여가에 대한 인식향상과 삶의 질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변화로 인해 공공의 여가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를 공공기관부문에서 적극적인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히 다양해지는 여가활동 공간으로서 연안은 물론이고,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공유하는 자연공간으로의 연안습지의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때이다. 생태적 디자인이란 인간이 자연환경을 개발하여 이용하기 위하여 접근 할 때, 자연환경을 어떻게 관리하고 보전해 나가면 더욱 풍부한 환경을 누릴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방법이며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하여 바탕이 되어야 할 디자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의 기초로서 생태적 디자인을 기본원칙으로 채택하고 공공환경의 체계적인 개발을 통한 공공적 가치의 생산과 심미적인 가치의 지속가능성이라는 공공디자인의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틀을 제시하였다. 공공디자인의 생태적 접근 방법을 고찰하여 연안습지 공공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의 세부분류를 제시하고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이 대상지역에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공공디자인의 생태적 평가항목을 산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안의 생태 및 이용현황을 고려하여 생태적 디자인 관점에서 공공디자인의 올바른 접근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여 앞으로 연안의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