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창의성’의 의미 분석 연구: 5 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with a Focus on Crea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94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해왔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 수준의 과학 교육과정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제시되어 왔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창의성 개...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해왔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 수준의 과학 교육과정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제시되어 왔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창의성 개념의 역사적 변화를 ‘주어지는 것에서 길러지는 것으로’, ‘개인적인 것에서 맥락적인 것으로’, ‘영역 일반적인 것에서 영역 특수적인 것으로’로 정리하고, 이러한 변화가 창의성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창의성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5차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창의’를 포함한 문장 전체를 대상으로 창의성의 개념화 범주, 창의성의 학습상황, 과학 창의성 교육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과정은 개인의 인지적 속성으로 창의성을 개념화하는 경향이 짙었으며,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사고과정을 강조하여 창의성을 제시하는 문장이 증가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창의성을 개인의 정의적 속성이나 산출물을 중심으로 제시하는 문장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나, 창의성을 환경적 측면을 중심으로 기술한 문장은 발견되지 않았다. 창의성의 학습상황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상황’을 강조하는 경향이 짙었으며,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는 ‘개인적 상황’과 ‘물리적 상황’을 연결하여 제시하는 문장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교사 또는 친구와의 상호작용과 같은 교실 내 ‘사회문화적 상황’에 대한 진술은 발견되지 않았다. 창의성의 영역 특수적 관점에서 과학 창의성 교육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탐구’와 ‘문제해결’이 강조되고 있었으며, ‘교사’의 역할에 대한 고려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창의성은 개인(집단)이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것이므로 과학 교육과정이 창의․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제까지 중요하게 다루지 못했던 교실의 환경, 학급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교사의 리더십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in terms of the meaning of creativity. To set the standard for analysis, three features of the historical change in the concept of creativity were discussed: (a) from someth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in terms of the meaning of creativity. To set the standard for analysis, three features of the historical change in the concept of creativity were discussed: (a) from something to be given to something to be learnt, (b) from a distinct personal trait to a complex trait affected by contexts, (c) from domain-general to domain-specific. Based on these features, the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was analyzed in terms of ‘categories for conceptualizations of creativity’, ‘learning contexts for creativity’, and ‘features of education for scientific creativity’.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1) Creativity was mostly conceptualized as a personal cognitive trait. Since the ‘2007 Curriculum’, sentences focusing on a ‘process’ began to appear. Since the ‘2009 Curriculum’, sentences focusing on a ‘personal affective aspect’ or a ‘product’ were included. However, statements that conceptualized creativity focusing on ‘environments’ did not appear. (2) Concerning the ‘learning contexts for creativity’, the ‘personal context’ was mainly emphasized. Since the ‘2007 Curriculum’, links between the ‘personal context’ and the ‘physical context’ appeared in relation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reativity. However, explanations present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the classroom did not appear. (3) From the perspectives of domain-specific creativity, the Science Curriculums appeared to emphasize ‘scientific inquiry’ as ‘process’ and ‘problem-solving’ as ‘result’. However, it showed the lack of consideration of teachers’ leadership as a core element of education for creativity. Taken together, this research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aiming for cultivating the creative tal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해석 4. 결론 및 제언
      •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해석 4.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