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업무집행에 관한 약정, 소위 프로큐어 조항의 이사에 대한 구속력과 집행 = The Effectiveness of Procure Provisions in A Closed Company and the Ways of Their Enforcement Against its Dire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3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주간계약에는 통상 계약당사자인 주주의 의무를 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간혹 주주의 행위가 아니라 이사 혹은 이사회로 하여금 업무집행 행위를 하도록 요구하는 조항을 두기도 하는데, 이를 “프로큐어 조항”이라고 한다. 이러한 프로큐어 조항은 이사의 업무집행행위를 매개한 의무라는 점에서 특수성이 있고, 이러한 프로 큐어 조항이 계약적 효력만 갖는지 혹은 회사법령이나 정관처럼 회사규범으로서 단체법상 효력까지 갖는지, 또 유효하다면 그것이 회사 혹은 이사에 대해 어떻게 집행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프로큐어 조항은 회사법이 부여하지 못하는 소수주주 보호 기능을 수행하고, 사적 자치의 유용한 수단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큐어 조항의 단체법적 효과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i) 이사의 업무집행행위를 매개로 하는 프로큐어 조항의 효력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그 집행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그 다음 (ii) 프로큐어 조항에 대한 단체법상 효력을 인정할 수 있는 근거와 맥락, 및 그 집행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해 먼저 일정한 주주간계약에 대해 제3규범으로서 단체법상 구속력의 인정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 때 프로큐어 조항의 단체법상 구속력을 인정할 수 있는 인정기준 세 가지를 제시해 보았다(주주전부의 참여 여부, 회사의 참여 여부, 폐쇄회 사 여부 등). 그 다음, 제3 회사규범인 프로큐어 조항 위반의 모습을 살펴보고, 몇 가지 위반 판정의 기준에 대해 살펴보았다(현저한 불공정성, 임무해태 등). 마지막으 로 제3 회사규범인 프로큐어 조항 위반의 경우 원고가 동원할 수 있는 회사법상 “구제수단”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번역하기

      주주간계약에는 통상 계약당사자인 주주의 의무를 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간혹 주주의 행위가 아니라 이사 혹은 이사회로 하여금 업무집행 행위를 하도록 요구하는 조항을 두기도 하...

      주주간계약에는 통상 계약당사자인 주주의 의무를 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간혹 주주의 행위가 아니라 이사 혹은 이사회로 하여금 업무집행 행위를 하도록 요구하는 조항을 두기도 하는데, 이를 “프로큐어 조항”이라고 한다. 이러한 프로큐어 조항은 이사의 업무집행행위를 매개한 의무라는 점에서 특수성이 있고, 이러한 프로 큐어 조항이 계약적 효력만 갖는지 혹은 회사법령이나 정관처럼 회사규범으로서 단체법상 효력까지 갖는지, 또 유효하다면 그것이 회사 혹은 이사에 대해 어떻게 집행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프로큐어 조항은 회사법이 부여하지 못하는 소수주주 보호 기능을 수행하고, 사적 자치의 유용한 수단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큐어 조항의 단체법적 효과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i) 이사의 업무집행행위를 매개로 하는 프로큐어 조항의 효력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그 집행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그 다음 (ii) 프로큐어 조항에 대한 단체법상 효력을 인정할 수 있는 근거와 맥락, 및 그 집행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해 먼저 일정한 주주간계약에 대해 제3규범으로서 단체법상 구속력의 인정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 때 프로큐어 조항의 단체법상 구속력을 인정할 수 있는 인정기준 세 가지를 제시해 보았다(주주전부의 참여 여부, 회사의 참여 여부, 폐쇄회 사 여부 등). 그 다음, 제3 회사규범인 프로큐어 조항 위반의 모습을 살펴보고, 몇 가지 위반 판정의 기준에 대해 살펴보았다(현저한 불공정성, 임무해태 등). 마지막으 로 제3 회사규범인 프로큐어 조항 위반의 경우 원고가 동원할 수 있는 회사법상 “구제수단”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cure provisions are unique in that they impose obligations upon contracting shareholders to make or direct the company or the directors to take some executive actions while general shareholder agreements impose obligation upon the contracting parties directly to act by themselves. Typical example is the Procure provision that require the contracting shareholders to appoint a certain person a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in the Board meeting. There are various views on whether these Procure provisions are valid, If so, whether their binding force is contractual effect or organizational law effect. How they can be enforced against companies or directors is another issue.
      It is desirable to recognize the organizational law effects of the Procure clause becaus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otecting minority shareholders that the company law does not grant, and can act as a useful means of private autonomy.
      In this article, we first looked at (i) various view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ure clause, and its enforcement methods, and (ii) the grounds and context for acknowledg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ure clause as binding organizational law. We first looked at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its binding effect as the organizational law for certain shareholder contracts, and we presented three criteria for the recognition - whether all shareholders participated, whether the company participated, and whether the company in issue was a closed company. We then looked at the situation where violation of the Procure clause occur, and looked at some criteria for determining violations – gross unfairness, gross negligence, etc. Finally, we reviewed the “organzational law remedies” under the corporate law that can be resorted to by the plaintiff in case of violation of the Procure clause, the third corporate norm.
      번역하기

      Procure provisions are unique in that they impose obligations upon contracting shareholders to make or direct the company or the directors to take some executive actions while general shareholder agreements impose obligation upon the contracti...

      Procure provisions are unique in that they impose obligations upon contracting shareholders to make or direct the company or the directors to take some executive actions while general shareholder agreements impose obligation upon the contracting parties directly to act by themselves. Typical example is the Procure provision that require the contracting shareholders to appoint a certain person a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in the Board meeting. There are various views on whether these Procure provisions are valid, If so, whether their binding force is contractual effect or organizational law effect. How they can be enforced against companies or directors is another issue.
      It is desirable to recognize the organizational law effects of the Procure clause becaus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otecting minority shareholders that the company law does not grant, and can act as a useful means of private autonomy.
      In this article, we first looked at (i) various view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ure clause, and its enforcement methods, and (ii) the grounds and context for acknowledg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ure clause as binding organizational law. We first looked at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its binding effect as the organizational law for certain shareholder contracts, and we presented three criteria for the recognition - whether all shareholders participated, whether the company participated, and whether the company in issue was a closed company. We then looked at the situation where violation of the Procure clause occur, and looked at some criteria for determining violations – gross unfairness, gross negligence, etc. Finally, we reviewed the “organzational law remedies” under the corporate law that can be resorted to by the plaintiff in case of violation of the Procure clause, the third corporate nor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