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이후 코리안 드림을 안고 다양한 해외 이주자들이 한국을 찾고 있다. 그들 중 대부분이 이주 노동자이고 상당한 부분은 상업적인 동기를 가진 결혼 중매인들을 통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03778
2009
Korean
다문화 목회 ; 이주노동자 ; 공동체 ; 문화 충격 ; 사회봉사 ; 사회화 ; Multi-cultural Ministry ; Migrant Worker ; Community ; Culture Shock ; Social Service ; Socialization
KCI등재
학술저널
229-254(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이후 코리안 드림을 안고 다양한 해외 이주자들이 한국을 찾고 있다. 그들 중 대부분이 이주 노동자이고 상당한 부분은 상업적인 동기를 가진 결혼 중매인들을 통해 ...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이후 코리안 드림을 안고 다양한 해외 이주자들이 한국을 찾고 있다. 그들 중 대부분이 이주 노동자이고 상당한 부분은 상업적인 동기를 가진 결혼 중매인들을 통해 한국남성과 결혼한 아시아 여성들이며 그 숫자가 백만을 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들중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어려운 도전에 직면하여 있다. 그들은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으로부터, 문화적 충격, 사회적 장벽, 인종적 편견, 성차별, 외국인을 기피하는 태도들, 불법적인 대우, 직업과 연결되는 상해에 대한 냉담함, 공공연한 적대감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제들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도전들은 심각한 문제들일 뿐 아니라 당사자들에게는 실제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들로 보여진다. 그들중 많은 사람들은 문화적으로도 그들의 확인되지 않은 종교에 대한 편견과 혼동되어 한국사회에 각인되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첫째, 한국교회의 다문화 선교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어떻게 다문화를 안고 살아가는 개인과 가정과 교회들에게 그들의 삶 가운데 직면하고 있는 새로운 도전에 적절하게 도움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제안이며,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급속하게 변화되는 사회적환경 가운데 그들 스스로가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교회의 다문화목회가 이미 언급한 다문화 공동체의 이슈들에 대해 성서적으로, 신학적으로 좀 더 신실하게 한국교회의 임무들을 분명하게 정의하고, 특성화하고, 평가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러한 접근은 다문화 선교에 대한 한국교회의 사역에 대한 이론과 적용 그리고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몇 가지의 핵심적인 문제들은 한국에 있는 해외이주민들의 상태에 관한 이슈와 관심들의 분석, ‘이주민 공동체’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인 관점, 한국교회의 다문화목회의 기회와 바람직한 역할, 그리고 한국교회의 다문화목회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에 관한 실제적인 아이디어들 등이다. 한국교회는 급속도로 팽창해 가는 다문화 이주자들을 양육하고 섬기므로 그들이 이 새로운 땅에서 하나님을 경험하며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사역해야 하는가 하는 큰 과제를 안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1988 Seoul Summer Olympics, many ‘foreigners’ have come to South Korea to achieve the “Korean dream”. Most of them are migrant workers and a significant portion of them are ‘Asian’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through commerciall...
Since the 1988 Seoul Summer Olympics, many ‘foreigners’ have come to South Korea to achieve the “Korean dream”. Most of them are migrant workers and a significant portion of them are ‘Asian’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through commercially motivated “match maker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ir number now exceeds one million. It has caught the attention of many that these people face numerous challenges that are difficult: they range from learning a new language, culture shock, social barriers, racial prejudice, gender discrimination, to xenophobic attitudes, illegal treatment and apathy to work related injuries as well as outright hostility. These challenges are not only formidable, but at the same time seemingly overwhelming as well. Many of them are culturally inscribed in Korean society mixed with unexamined religious perspectives. This paper proposes to show (a) how a Christian church’s multicultural ministry can properly assist individuals, families, and churches as they face these new challenges in their lives and, more importantly, help them better confront them more effectively in a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b) how a biblically and theologically conceived cross-cultural ministry may help us clearly define, characterize and assess tasks of the Christian church in Korea in addressing these issues more faithfully. Such approaches will help us conceptualize, implement and evaluate the work (diakonia) of the church. Some of the key issues that are dealt with in this paper are an analysis of the issues/concerns about the state of the international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a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on the ‘migrant community’; opportunities and desirable role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ministry in South Korea; and some ideas about an effective approach to a multi-cultural ministry for Korean churches. The task for the Korean church, is to effectively serve and follow-up the rapidly growing multi-cultural migrant community, so that they may experience God’s love and live meaningful lives.
예수와 가난한 사람들 — 예수의 선포에 나타난 하나님나라 백성의 특권과 의무에 관한 소고
A Study of a Multi-cultural Ministry for Churches in Korea
인성함양을 위한 기독교 교양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코메니우스 이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