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지 수목의 탄소 추정을 위한 다양한 분류학적 수준의 지상부 재적 상대생장식 개발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산림과학과 농림축산탄소중립융합전공 이승민 상대생장식은 나무의 탄소 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74795
원주 :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 산림과학 농림축산탄소중립융합전공 , 2025. 2
2024
한국어
수관폭 ; 일반화된 상대생장식 ; 수고 대 흉고직경 비율 ; 레이저 덴드로미터 ; 비파괴적인방법 ; 도시녹지공간
강원특별자치도
77 ; 26 cm
지도교수: 윤태경
I804:42007-20000084190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주지 수목의 탄소 추정을 위한 다양한 분류학적 수준의 지상부 재적 상대생장식 개발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산림과학과 농림축산탄소중립융합전공 이승민 상대생장식은 나무의 탄소 저...
정주지 수목의 탄소 추정을 위한 다양한 분류학적 수준의 지상부 재적 상대생장식 개발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산림과학과 농림축산탄소중립융합전공 이승민 상대생장식은 나무의 탄소 저장량을 정량화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도시 녹지 공간의 높은 종 다양성으로 인해 모든 도시 수목 종에 대해 상대생장식을 개발하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수목의 지상부 재적을 추정하고 여러 상대생장식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분류학적 수준(문, 과, 종)에 따라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고 비교하였다. 한국의 세 도시(서울, 고양, 원주)에서 세 가지 유형의 도시 녹지 공간(가로수, 공원, 주거지 정원)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목의 지상부 목질부인 줄기와 가지의 연속적인 지점에 대해서 레이저 덴드로미터를 사용해 1080그루의 나무 직경을 측정하여 지상부 재적을 추정하였다. 상대생장식의 독립 변수로 다양한 수목의 형태적 특성인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을 적용하였다. 겉씨식물의 경우, 상위 분류 수준의 상대생장식(RMSE: 0.011 m³)이 종 수준의 상대생장식(RMSE: 0.009 m³)과 유사한 적합도를 보였다. 반면, 속씨식물에서는 과 수준의 상대생장식이 종 간 수형의 이질성을 잘 반영한 반면, 문 수준의 상대생장식은 그러지 못하였다. 과별 상대생장식의 기울기 계수(b = 1.77−2.99)는 평균 수고:흉고직경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관폭을 이용한 상대생장식은 흉고직경을 이용한 상대생장식보다 불안정했으나, 수고를 변수로 추가하는 것을 통해 수관폭 자료를 상대생장식으로 적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정주지의 국가별 배출 계수 개발에 기반을 마련하며, 도시 수목에 대한 일반화된 또는 수관 기반 상대생장식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