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기능적 이미지의 참조적 활용을 통한 창작과 그 예시 = Creation Through Referential Utilization of Functional Images and its Exam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86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tangible and intangible starting points for visual creation, especially in the current technological environment where a lot of information is distributed. However, many practical considerations are required on what to choose at the beginning stage, how to design the work process, and how to set the standard for ‘completely created by myself’. In this paper, I examine design works made in various referential ways, using ‘image for image, which exists as a technical standard for producing aesthetic objects but has aesthetic properties in itself’, which can be defined as functional images or test images. In the process, it examines the referential and imitative aspects of functionalism’s historical origin, and describes the variability and extensibility that are logically included in the intention to designate function through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and beauty. In addition, the standard, variable, and non-standard properties inherent in functional beauty, and the versatility of the referential creation method and related examples are also examined. 6 works that use functional images as a reference are described according to how they are used. The first case utilizes a functional composition aesthetically, the second case combines multiple visual creation methods, the third case uses functional images in a complex manner as a basic unit of visual creation, the fourth and the fifth cases uses visual metaphors and implicit expressions of text, and the sixth case of expanding the world of work using functional images as a critical tool for work is described.
      번역하기

      There are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tangible and intangible starting points for visual creation, especially in the current technological environment where a lot of information is distributed. However, many practical considerations are requ...

      There are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tangible and intangible starting points for visual creation, especially in the current technological environment where a lot of information is distributed. However, many practical considerations are required on what to choose at the beginning stage, how to design the work process, and how to set the standard for ‘completely created by myself’. In this paper, I examine design works made in various referential ways, using ‘image for image, which exists as a technical standard for producing aesthetic objects but has aesthetic properties in itself’, which can be defined as functional images or test images. In the process, it examines the referential and imitative aspects of functionalism’s historical origin, and describes the variability and extensibility that are logically included in the intention to designate function through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and beauty. In addition, the standard, variable, and non-standard properties inherent in functional beauty, and the versatility of the referential creation method and related examples are also examined. 6 works that use functional images as a reference are described according to how they are used. The first case utilizes a functional composition aesthetically, the second case combines multiple visual creation methods, the third case uses functional images in a complex manner as a basic unit of visual creation, the fourth and the fifth cases uses visual metaphors and implicit expressions of text, and the sixth case of expanding the world of work using functional images as a critical tool for work is describ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시각 창작에 있어 유무형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는 소재는 다양하며, 특히 수많은 정보가 유통되는 현재의 기술환경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시작 단계에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작업과정을 설계할 것인지, 또 그 과정에서 ‘스스로 만들어 낸 것’에 관한 기준에 얼마나 충실해야 하는지는 여러 실용적 숙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이미지 혹은 테스트 이미지로 정의할 수 있는, ‘미적인 대상을 생산하기 위한 기술적 기준으로 존재하지만 그 자체로 미적 속성을 지닌, 이미지를 위한 이미지’를 소재로 삼아 다양한 참조적 방식으로 만들어진 디자인 작업물에 관해 알아본다. 그 과정에서 기능주의의 역사적 연원이 배태하고 있는 참조적이고 모방적인 측면, 기능과 아름다움이 관계맺는 방식의 탐구를 통해 기능을 지정하는 의도에 논리적으로 포함될 수 밖에 없는 가변성과 확장성, 기능적 아름다움에 내재한 표준적·가변적·비표준적 속성, 참조적 창작 방식의 범용성과 그와 관련된 예시를 알아본다. 그리고 기능적 이미지를 참조적으로 사용한 작업물 6가지를 활용 방식에 따라 서술한다. 기능적 조형을 미적으로 활용하는 첫 번째 사례, 복수의 시각적 창작 방식을 결합하는 두 번째 사례, 시각적 창작의 기본 단위로서 기능적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세 번째 사례, 시각적 은유와 텍스트의 함축적 표현으로서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사례, 마지막으로 기능적 이미지를 작업의 비평적 도구로 삼아 작업세계를 확장하는 여섯 번째 사례 순으로 서술해본다.
      번역하기

      시각 창작에 있어 유무형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는 소재는 다양하며, 특히 수많은 정보가 유통되는 현재의 기술환경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시작 단계에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 ...

      시각 창작에 있어 유무형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는 소재는 다양하며, 특히 수많은 정보가 유통되는 현재의 기술환경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시작 단계에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작업과정을 설계할 것인지, 또 그 과정에서 ‘스스로 만들어 낸 것’에 관한 기준에 얼마나 충실해야 하는지는 여러 실용적 숙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이미지 혹은 테스트 이미지로 정의할 수 있는, ‘미적인 대상을 생산하기 위한 기술적 기준으로 존재하지만 그 자체로 미적 속성을 지닌, 이미지를 위한 이미지’를 소재로 삼아 다양한 참조적 방식으로 만들어진 디자인 작업물에 관해 알아본다. 그 과정에서 기능주의의 역사적 연원이 배태하고 있는 참조적이고 모방적인 측면, 기능과 아름다움이 관계맺는 방식의 탐구를 통해 기능을 지정하는 의도에 논리적으로 포함될 수 밖에 없는 가변성과 확장성, 기능적 아름다움에 내재한 표준적·가변적·비표준적 속성, 참조적 창작 방식의 범용성과 그와 관련된 예시를 알아본다. 그리고 기능적 이미지를 참조적으로 사용한 작업물 6가지를 활용 방식에 따라 서술한다. 기능적 조형을 미적으로 활용하는 첫 번째 사례, 복수의 시각적 창작 방식을 결합하는 두 번째 사례, 시각적 창작의 기본 단위로서 기능적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세 번째 사례, 시각적 은유와 텍스트의 함축적 표현으로서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사례, 마지막으로 기능적 이미지를 작업의 비평적 도구로 삼아 작업세계를 확장하는 여섯 번째 사례 순으로 서술해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근준, "현대미술계 바깥의 현대미술 : 포스트컨템포러리 아트로서의 스트리트 패션에 관한 메모" 35 (35): 90-95, 2023

      2 김정혜, "프랭크 L. 라이트의 유기체주의적 건축과 철학적 영향" 한국예술연구소 (38) : 45-68, 2022

      3 박해천, "인터페이스 연대기" 디자인플럭스 2009

      4 장용순, "이토 토요 건축에 나타난 구조/표피/공간 개념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1 (31): 111-120, 2015

      5 길상희, "얀 치홀트와 하라 켄야의 기능적 디자인의 가치" 한국기초조형학회 19 (19): 1-10, 2018

      6 박호현, "소우 후지모토 건축과 베르나르 추미의 건축에 나타난 사이공간(In-between space) 개념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87-95, 2015

      7 국가기술표준원, "사진-전자식 정지 영상 카메라-해상도 측정"

      8 온양민속박물관, "동물과 문양"

      9 Heffernan, V., "Watch Me, Read Me" The New York Times

      10 Bettridge, T, "VIRGIL ABLOH: “Duchamp is my Lawyer"

      1 임근준, "현대미술계 바깥의 현대미술 : 포스트컨템포러리 아트로서의 스트리트 패션에 관한 메모" 35 (35): 90-95, 2023

      2 김정혜, "프랭크 L. 라이트의 유기체주의적 건축과 철학적 영향" 한국예술연구소 (38) : 45-68, 2022

      3 박해천, "인터페이스 연대기" 디자인플럭스 2009

      4 장용순, "이토 토요 건축에 나타난 구조/표피/공간 개념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1 (31): 111-120, 2015

      5 길상희, "얀 치홀트와 하라 켄야의 기능적 디자인의 가치" 한국기초조형학회 19 (19): 1-10, 2018

      6 박호현, "소우 후지모토 건축과 베르나르 추미의 건축에 나타난 사이공간(In-between space) 개념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87-95, 2015

      7 국가기술표준원, "사진-전자식 정지 영상 카메라-해상도 측정"

      8 온양민속박물관, "동물과 문양"

      9 Heffernan, V., "Watch Me, Read Me" The New York Times

      10 Bettridge, T, "VIRGIL ABLOH: “Duchamp is my Lawyer"

      11 Steadman, P, "The Evolution of Designs: Biological Analogy in Architecture and the Applied Arts" Routle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12 "The Digital Picture. About ISO 12233 Resolution Chart Image Quality Testing"

      13 Carey-Kent, P, "Stringendo, Vanishing Mediators. Photomonitor"

      14 "SMPTE Color Bars" Wikipedia

      15 "Philips Circle Pattern" Wikipedia

      16 Eastman Kodak Company, "Kodak Photo Introductory Issue"

      17 Comstock, G, "Jennifer in paradise: the story of the first Photoshopped image" The Guardian

      18 Blauvelt, A., "Graphic Design: Now In Production" Walker Art Center 2011

      19 Leddy, T., "Glenn Parsons and Allen Carlson, "Functional Beauty"" 31 (31): 221-224, 2011

      20 Davies, S., "Functional Beauty Examined" 40 (40): 315-332, 2010

      21 Parsons, G., "Functional Beauty" Clarendon Press 2008

      22 Mumford, M., "Form Follows Nature : The Origins of American Organic Architecture" 42 (42): 26-37, 1989

      23 Carter, E, "Edwards AFB Satellite Calibration Targets: Edwards Air Force Base" Atlas Obscura

      24 Harvard GSD, "Core Studio Public Lecture: Virgil Abloh, “Insert Complicated Title Here”" Youtube

      25 Meer, "Constant Dullaart. Stringendo, Vanishing Mediators"

      26 "Constant Dullaart" Wikipedia

      27 Bowyer, "Butterfly Dream"

      28 Dullaart, C., "Balconism: A Manifesto. Art Papers"

      29 Mattern, A, "Average Subject / Medium Distance"

      30 Stolnitz, J., "Aesthetics and Philosophy of Art Criticism: A Critical Introduction" Houghton Mifflin 1960

      31 Munson, D., "A Note on Lena" 5 (5): 3-3, 1996

      32 Dullaart, C, "A Letter to Jennifer Knoll" Rhizome

      33 이용욱, "<기술편집예술>의 대상과 인식 연구 -디지털회화의 욕망과 인공자연의 아우라" 국어국문학회 (196) : 113-143,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