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원도 말갈과 고구려의 南進 = Mòhé(靺鞨) in Gangwon-do province and the southward advance of Gogurye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62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말갈은 한국 고대사에 있어 중요한 존재인 만큼,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그 실체에 대해서는 異見이 많다. 지난 수십 년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견해들이 나온 이유로는 ...

      말갈은 한국 고대사에 있어 중요한 존재인 만큼,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그 실체에 대해서는 異見이 많다. 지난 수십 년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견해들이 나온 이유로는 말갈 관련 기록의 소략, 문헌사학과 고고학간의 괴리, 관련 기록이 여러 문헌에서 산발적으로 파악되는 양상 등을 꼽을 수 있다. ‘가야’를 비롯해 소위 ‘영산강세력’ 등 『三國史記』에 단편적으로 등장하는 여타 정치체와 마찬가지로 말갈 역시 자체 기록을 남기지 못했지만, 三國과 관련하여 문헌에 등장하는 빈도수는 압도적으로 많다. 하지만 말갈의 존재를 증명해줄만한 뚜렷한 고고자료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기록의 부재를 고고자료가 충분히 메워주고 있는 가야·영산강세력과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밖에 말갈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에 혼선을 주는 요인으로는 여러 문헌에 말갈의 단편적인 흔적들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말갈 관련 문헌기사를 통해 말갈의 특징을 짚어낸 뒤 이를 지역별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4세기 후반 이후 고구려의 南進 결과 ‘당연히’ 고구려의 영토로 인식되어 온 ‘강원도’ 지역의 말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황해·경기도 지역의 말갈이 백제 건국 초부터 相爭을 거듭했던 것과 달리 강원도 지역의 말갈은 처음부터 고구려에 귀속되어 고구려 멸망기까지 행동을 같이 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에 강원도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고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여 기존의 말갈 인식을 재검토하고 ‘강원도 말갈’의 정체성 및 고구려와의 遭遇 이후 말갈 사회의 변화 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conducted on Mòhé(靺鞨) that is considered as one of significant powers in Korean history. Despite several years of researches,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The reasons for that are inattentivene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conducted on Mòhé(靺鞨) that is considered as one of significant powers in Korean history. Despite several years of researches,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The reasons for that are inattentiveness of record regarding Mòhé, disjunction between literature and archaeology and sporadic records in various literatures. Mòhé do not have their own records in literatures. There were, however, many records related to Three Kingdoms. Unfortunately there have not been obvious archaeological evidences of Mòhé unlike Gaya and so-called Yeongsangang power that have enough archaeological materials to compensate the absence of literature. On this study, I identified the features of Mòhé first through literatures and divided them by regions thereafter. Next I examined Mòhé in ‘Gangwon-do Province’ that considered as ‘obvious’ territory of Goguryeo after its southward expansion in the 4th century. It is very remarkable that Mòhé in Gangwon-do Province belonged to Goguryeo from the first and joined in with Goguryeo until its fall. This movement was very different from Mòhé in Hwanghae-do and Gyeonggi-do Provinces that kept fighting with Baekje from its birth. Accordingly, I reconsidered existing understanding of Mòhé by checking archaeological materials in Gangwon-do Province and briefly examined the identity of ‘Mòhé people in Gangwon-do Province’ and changes of Mòhé society after southward expansion of Gogurye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말갈 연구 略史와 연구 방향 Ⅲ. 고구려의 강원도 진출과 고고학적 현상 Ⅳ. 강원도 말갈의 盛衰 Ⅴ. 결론: 몇 가지 提言
      • Ⅰ. 서론 Ⅱ. 말갈 연구 略史와 연구 방향 Ⅲ. 고구려의 강원도 진출과 고고학적 현상 Ⅳ. 강원도 말갈의 盛衰 Ⅴ. 결론: 몇 가지 提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현, "嶺東地方 三國時代 住居址 試論" 한국문화사학회 (33) : 21-61, 2010

      2 朴榮九, "嶺東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展開樣相" 7 : 2010

      3 신광철,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한국고대학회 (35) : 189-224, 2011

      4 한국문화재재단, "화천 위라리 123-1번지 외 1필지 유적" 2017

      5 (재)한백문화재연구원, "화천 거례리 유적" 2013

      6 심재연, "한성백제기의 영동 영서" 중부고고학회 8 (8): 51-68, 2009

      7 심재연, "한성백제기 한강 중·상류 지역의 적석총에 대한 연구" 서울학연구소 (39) : 151-176, 2010

      8 沈載淵, "한성백제기 북한강 중상류지역의 양상에 대하여" 호서고고학회 (14) : 103-122, 2006

      9 유은식, "한반도 북부지방 토기문화를 통해 본 중부지방 원삼국문화의 계통 - 소위 ‘중도유형문화’를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3 (13): 5-43, 2014

      10 김미경, "한국사의 전개 – 하현강교수정년기념논총 -" 하현강교수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2000

      1 이창현, "嶺東地方 三國時代 住居址 試論" 한국문화사학회 (33) : 21-61, 2010

      2 朴榮九, "嶺東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展開樣相" 7 : 2010

      3 신광철,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한국고대학회 (35) : 189-224, 2011

      4 한국문화재재단, "화천 위라리 123-1번지 외 1필지 유적" 2017

      5 (재)한백문화재연구원, "화천 거례리 유적" 2013

      6 심재연, "한성백제기의 영동 영서" 중부고고학회 8 (8): 51-68, 2009

      7 심재연, "한성백제기 한강 중·상류 지역의 적석총에 대한 연구" 서울학연구소 (39) : 151-176, 2010

      8 沈載淵, "한성백제기 북한강 중상류지역의 양상에 대하여" 호서고고학회 (14) : 103-122, 2006

      9 유은식, "한반도 북부지방 토기문화를 통해 본 중부지방 원삼국문화의 계통 - 소위 ‘중도유형문화’를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3 (13): 5-43, 2014

      10 김미경, "한국사의 전개 – 하현강교수정년기념논총 -" 하현강교수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2000

      11 조이옥, "한국고대사의 주변 : 말갈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온지학회 (24) : 239-262, 2010

      12 이한상, "한국 고대 귀걸이 감정을 위한 착안점" 한국복식학회 58 (58): 35-50, 2008

      13 김정인, "충주지역 고구려계 고분과 그 성격-두정리, 단월동 고분군을 중심으로" 5 : 2011

      14 江原文化財硏究所,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F구역 내 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7

      15 (재)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C구역내 유적 정밀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16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우두동유적-본문 ④-" 2017

      17 한국문화재재단, "춘천 우두동 77번지 유적" 2016

      18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춘천 우두동 144-11번지 유적" 2013

      19 국강고고학연구소, "춘천 근화동유적Ⅱ" 2018

      20 張容碩, "최신 연구성과로 본 압독국" 경산시·경북신문 2018

      21 심재연, "최근 조사 성과로 본 영동·영서지역과 북방지역의 상호 작용 - 철기~삼국시대를 중심으로 -" 한국-시베리아센터 21 (21): 73-108, 2017

      22 심재연, "철기시대 한국과 연해주" 주류성출판사 2009

      23 송만영, "중부지방 취락고고학 연구" 서경문화사 2013

      24 이병훈,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외줄구들 유형의 변천과정 재검토 - 중도유형문화권을 중심으로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8) : 33-67, 2016

      25 김준규, "중도식무문토기 상대편년 연구 : 경기 북부·강원 영서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6 박중국, "중도문화의 지역성-‘중도유형문화론’의 재검토를 중심으로-" 중앙문화재연구원 (11) : 41-88, 2012

      27 선석열, "중국정사의 말갈7부와 삼국사기의 말갈" 고구려발해학회 37 : 9-36, 2010

      28 최영민, "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문화의 변천" 중부고고학회 9 (9): 77-114, 2010

      29 박중국, "원삼국기∼백제 한성기 중부지역 呂자형 주거지의 변천과 지역성 - 쪽구들 주거지를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0 (10): 47-85, 2011

      30 권오영, "원삼국기 한강유역 정치체의 존재양태와 백제국가의 통합양상" 중부고고학회 8 (8): 31-49, 2009

      31 박지영, "원삼국~삼국시대 마한·백제 권역 취락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 —방사성탄소연대와 GIS를 이용한 시험적 검토" 한국고고학회 (104) : 40-77, 2017

      32 홍형우, "연해주의 고고 문화와 강원도" 강원사학회 (29) : 109-135, 2017

      33 대한민국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 불로치까 유적Ⅰ(제4차 한·러공동발굴조사)" 2003

      34 정석배, "아무르·연해주 지역의 말갈-연구현황과 과제-" 고구려발해학회 35 : 73-126, 2009

      35 박노석, "서기 3세기의 고구려의 동해안 지역 진출" 全北史學會 23 : 2000

      36 박지희, "삼척지역의 철기시대문화와 실직국" 12 : 2016

      37 강세호, "북한강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주거와 취락구조" 2017

      38 김무중, "북한강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물질문화의 연구 성과와 과제" 2017

      39 박경신, "북한강 상류역 원삼국시대 취락과 지역 정치체" 중부고고학회 17 (17): 45-81, 2018

      40 박순발, "백제百濟, 마한馬韓을 담다" 백제역사문화관·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9

      41 김창석, "맥족의 분포와 『삼국사기』 소전 ‘맥국’에 관한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91) : 125-161, 2018

      42 유은식, "동북아시아 초기 쪽구들의 발생과 전개" 중부고고학회 14 (14): 145-178, 2015

      43 양시은, "남한지역 출토 고구려 토기의 현황과 특징" 호남고고학회 46 : 61-88, 2014

      44 이준민, "남한강 유역 원삼국시대 취락의 편년과 변화"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45 오영찬, "낙랑군 연구" 사계절 2006

      46 이한상, "고대인의 멋, 귀걸이" 복천박물관 2018

      47 한지선, "고대 강원의 정치체와 물질문화" 국립춘천박물관·강원연구원·강원학연구센터 2018

      48 전호태, "고구려인의 화장과 장신구" 역사문화연구소 (55) : 3-56, 2015

      49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 사람들 2005

      50 신광철, "고구려의 강원도 진출과 의의" 한국상고사학회 88 (88): 69-106, 2015

      51 리광희, "고구려유물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5

      52 이동규, "고구려 횡혈식석실묘의 지역성과 위계 연구 -관대를 중심으로-" 중앙문화재연구원 (16) : 33-73, 2015

      53 강인욱, "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 동북아역사재단 (61) : 43-79, 2018

      54 심재연, "경질무문토기의 기원 -점토대토기문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0 (10): 27-45, 2011

      55 沈載淵, "강원지역의 철기문화" 29 : 1998

      56 신광철, "강원도 말갈의 정체성과 고구려의 南進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2018

      57 "高麗史"

      58 韓圭哲, "高句麗時代의 靺鞨 硏究" (14·15) : 1988

      59 鄭永振, "高句麗·渤海·靺鞨 墓葬形制 比較硏究" (22) : 1991

      60 권오영, "馬韓의 종족성과 공간적 분포에 대한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60) : 5-33, 2010

      61 尹善泰, "馬韓의 辰王과 臣濆沽國 - 嶺西濊 지역의 歷史的 推移와 관련하여 -" (34) : 2001

      62 權五重, "靺鞨의 種族系統에 관한 試論" 49 : 1980

      63 김영천, "靺鞨의 成長과 高句麗의 靺鞨服屬" 고구려발해학회 32 : 9-38, 2008

      64 강인욱, "靺鞨文化의 形成과 2~4세기 挹婁ㆍ鮮卑ㆍ夫餘系文化의 관계" 고구려발해학회 33 : 9-42, 2009

      65 武末純一, "金海 龜山洞 遺蹟Ⅹ" 慶南考古學硏究所 2010

      66 江陵大學敎博物館, "襄陽 浦月里 住居址" 2002

      67 (재)예맥문화재연구원, "華川 原川里遺蹟-第Ⅳ卷: 본문 3·부록-" 2013

      68 "與猶堂全書"

      69 이상수, "考古資料를 통해 본 悉直國" 8 : 2014

      70 김재홍, "生業으로 본 韓과 濊의 종족적 특성" 한국고대사학회 (79) : 97-134, 2015

      71 朴淳發, "漢城百濟 基層文化의 性格-中島類型文化의 歷史的 性格을 중심으로-" 26 : 1996

      72 서용일, "漢城 百濟의 南漢江水路 開拓과 經營" 한국문화사학회 (20) : 15-50, 2003

      73 "海東繹史續"

      74 江原文化財硏究所, "洪川 驛內里 古墳群" 2005

      75 江原文化財硏究所, "洪川 城山里遺蹟" 2012

      76 江原文化財硏究所, "洪川 哲亭里Ⅱ 遺蹟" 2010

      77 江原文化財硏究所, "泉田里-B지역-" 2008

      78 江原文化財硏究所, "泉田里-A지역-" 2008

      79 이현혜, "沃沮의 기원과 문화 성격에 관한 고찰" 한국상고사학회 70 (70): 41-67, 2010

      80 江原文化財硏究所, "江陵 草堂洞 遺蹟Ⅰ" 2005

      81 (재)江原考古文化硏究院, "江陵 江門洞聚落" 2011

      82 江陵江原大學校 博物館, "江陵 柄山洞遺蹟" 2012

      83 (재)江原考古文化硏究院, "江陵 柄山洞 聚落Ⅱ" 2018

      84 "江原道志"

      85 盧爀眞, "江原道 春川郡 芳洞里의 特異構造 石室墳" 4 : 243-, 1993

      86 심재연, "江原 嶺東地域 鐵器時代 上限과 下限"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7-55, 2008

      87 沈載淵, "江原 嶺東·嶺西地域의 鐵器文化硏究" 翰林大學校 大學院 1996

      88 (재)예맥문화재연구원, "東海 望祥洞遺蹟Ⅲ" 2019

      89 (재)예맥문화재연구원, "東海 望祥洞遺蹟Ⅱ" 2010

      90 "東史綱目"

      91 (재)예맥문화재연구원, "束草 靑湖洞遺蹟" 2018

      92 "朝鮮王朝實錄"

      93 金元龍, "春川郡芳洞里의 高句麗式石室墳二基" (149) : 1981

      94 翰林大學校博物館, "春川市 東面 萬泉里 古墳 發掘報告書" 2000

      95 吳江原, "春川地域 石室墳유적에 관한 연구-古墳의 系統과 築造集團문제를 중심으로-" 1 : 1996

      96 江原文化財硏究所, "春川 牛頭洞遺蹟Ⅲ" 2015

      97 江原文化財硏究所, "春川 牛頭洞遺蹟Ⅱ" 2012

      98 江原文化財硏究所, "春川 牛頭洞遺蹟Ⅰ" 2011

      99 江原文化財硏究所, "春川 槿花洞遺蹟〈Ⅱ〉" 2011

      100 (재)江原考古文化硏究院, "春川 槿花洞遺蹟 〈1권〉" 2011

      101 이형구, "春川 中島의 古代 共同體社會"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1) : 371-438, 2015

      102 徐毅植, "新羅 中古期 六部의 賦役動員과 地方支配" 서울大學校 23 : 1990

      103 "後漢書"

      104 송지연, "帶方郡의 盛衰에 대한 硏究" 한국사학회 (74) : 1-26, 2004

      105 (재)예맥문화재연구원, "原州 建登里遺蹟" 2008

      106 최종택, "南韓地域 高句麗古墳의 構造特徵과 歷史的 意味" 한국고고학회 (81) : 139-176, 2011

      107 최종택, "南韓地域 高句麗 土器의 編年 硏究" 한국고대학회 (24) : 283-299, 2006

      108 백종오, "南韓內 高句麗 古墳의 檢討" 고구려발해학회 35 : 221-250, 2009

      109 "北齊書"

      110 정재윤, "初期 百濟의 成長과 眞氏 勢力의 動向" 호남사학회 (29) : 1-26, 2007

      111 이형원, "住居文化로 본 粘土帶土器文化의 流入과 文化變動 - 江原 嶺東 및 嶺西地域을 中心으로 -" 한국청동기학회 (16) : 92-120, 2015

      112 노혁진, "中島式吐器의 由來에 대한 一考" 호남고고학회 19 : 97-112, 2004

      113 國立中央博物館, "中島" 1980

      114 성정용, "中原地域 原三國時代 墳墓 築造集團의 性格" 중부고고학회 12 (12): 83-116, 2013

      115 江原文化財硏究所, "下花溪里·哲亭里·驛內里 遺蹟(Ⅰ)" 2005

      116 강인욱, "三江平原 滾兎嶺·鳳林문화의 형성과 勿吉·豆莫婁·靺鞨의 출현" 고구려발해학회 52 : 107-147, 2015

      117 한규철, "三國과 渤海史에서의 靺鞨" 고려사학회 (58) : 7-32, 2015

      118 "三國志"

      119 兪元載, "三國史記 僞靺鞨考" 29 : 1979

      120 "三國史記"

      121 趙由典, "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記念論叢 Ⅰ" 1987

      122 金鎭晶, "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記念論叢" 1987

      123 한규철, "『三國史記』의 靺鞨 문제" 인문과학연구소 31 : 193-218, 2013

      124 李康來, "『三國史記』에 보이는 靺鞨의 軍事活動" 2 : 1985

      125 金澤均, "『三國史記』에 보이는 靺鞨의 實體" 3 : 1997

      126 김진광, "『三國史記』本紀에 나타난 靺鞨의 性格" 고구려발해학회 35 : 9-42, 2009

      127 김병남, "『三國史記』 初期 記錄의 靺鞨에 대한 再檢討" (23) : 2000

      128 이홍종, "『三國史記』 ‘靺鞨’기사의 고고학적 접근" 고려사학회 (5) : 9-47, 1998

      129 文安植, "《三國史記》羅·濟本紀의 靺鞨 史料에 대하여-靺鞨勢力의 地域的 分布 및 種族 構成上의 차이와 변화를 중심으로-" 13 : 1998

      130 선석열, "<<三國史記>> 百濟·新羅 本紀에 보이는 靺鞨 認識" 부경역사연구소 (19) : 5-35, 2006

      131 이정빈, "6세기 중·후반 요서말갈(遼西 靺鞨)과 돌궐·고구려" 동북아역사재단 (61) : 7-41, 2018

      132 김창석, "3세기 이전 춘천 지역의 취락 양상과 정치체의 형성" 신라문화연구소 46 : 1-32, 2015

      133 이인철, "1~3세기경 백제의 군사전략과 영토확장" 44 : 2001

      134 이동휘, "'三國史記' 靺鞨의 활동범위와 성격" 효원사학회 27 : 1-25,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