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조절 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in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84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의사소통 능력 정도를 조사하고,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사이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조절 효과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횡단적 상관관계 연구로 2021년 6월 30일부터 7월 20일까지 국내 4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309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기술 통계량, 분산 분석, t-검정, Pearson 상관관계 및 SPSS/WIN 28.0 (IBM.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의사소통 능력은5점 만점에 평균 3.39점, 3.51점, 3.47점으로 확인되었다. 감정노동은 의사소통 능력, 직무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의사소통 능력은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 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수준이 될 수 있도록 돕는 실제적인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의사소통 능력 정도를 조사하고,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사이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조절 효과에...

      연구배경: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의사소통 능력 정도를 조사하고,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사이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조절 효과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횡단적 상관관계 연구로 2021년 6월 30일부터 7월 20일까지 국내 4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309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기술 통계량, 분산 분석, t-검정, Pearson 상관관계 및 SPSS/WIN 28.0 (IBM.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의사소통 능력은5점 만점에 평균 3.39점, 3.51점, 3.47점으로 확인되었다. 감정노동은 의사소통 능력, 직무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의사소통 능력은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 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수준이 될 수 있도록 돕는 실제적인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2 신소희 ; 장금성,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전략이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2 (42): 33-43, 2016

      3 홍보람 ; 김경미, "전담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8 (28): 176-185, 2019

      4 문희 ; 김지영,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173-181, 2018

      5 유미자,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EQ), 자존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80-290, 2018

      6 송미라 ; 박금주, "외래간호사의 감정노동 경험" 간호행정학회 17 (17): 451-461, 2011

      7 김지혜 ; 박광옥 ; 김종경 ; 윤하정 ; 이진희 ; 조은경 ; 김순희 ; 김연희, "상급종합병원 남자간호사의 일반병동 적응 경험" 간호행정학회 22 (22): 496-506, 2016

      8 김수희 ; 이경은, "다수준 생존분석을 이용한 신규 간호사 이직 영향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6 (46): 733-743, 2016

      9 남혜리 ; 이은자 ; 허하송, "노인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노인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9 (29): 20-28, 2020

      10 김영은 ; 이용미,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아탄력성, 직무 스트레스가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30 (30): 57-67, 2021

      1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2 신소희 ; 장금성,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전략이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2 (42): 33-43, 2016

      3 홍보람 ; 김경미, "전담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8 (28): 176-185, 2019

      4 문희 ; 김지영,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173-181, 2018

      5 유미자,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EQ), 자존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80-290, 2018

      6 송미라 ; 박금주, "외래간호사의 감정노동 경험" 간호행정학회 17 (17): 451-461, 2011

      7 김지혜 ; 박광옥 ; 김종경 ; 윤하정 ; 이진희 ; 조은경 ; 김순희 ; 김연희, "상급종합병원 남자간호사의 일반병동 적응 경험" 간호행정학회 22 (22): 496-506, 2016

      8 김수희 ; 이경은, "다수준 생존분석을 이용한 신규 간호사 이직 영향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6 (46): 733-743, 2016

      9 남혜리 ; 이은자 ; 허하송, "노인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노인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9 (29): 20-28, 2020

      10 김영은 ; 이용미,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아탄력성, 직무 스트레스가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30 (30): 57-67, 2021

      11 김세향 ; 이미애, "간호사의 이직의도,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20 (20): 332-341, 2014

      12 김희정, "간호사의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동기 면담 훈련의 효과" 한국정신간호학회 26 (26): 362-373, 2017

      13 이승영 ; 김덕호,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27 (27): 215-223, 2019

      14 박나경 ; 이현경 ; 이태화 ; 박정숙, "간호사가 인지한 서번트 리더십, 의사소통능력과 감정노동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4 (24): 57-66, 2015

      15 염은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감정노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20-330, 2017

      16 임지아 ; 고영,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직무 스트레스, 감정노동 및 소진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30 (30): 110-119, 2021

      17 Wilkinson SM, "The essence of cancer care : the impact of training on nurses'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40 (40): 731-738, 2002

      18 Khadijeh G, "The effect of education on function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e with intubated patient in intensive care unit" 7 (7): 84-87, 2020

      19 Morris JA,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21): 986-1010, 1996

      20 Kim MJ,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14 (14): 28-37, 1984

      21 Faul F,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 1 :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41 (41): 1149-1160, 2009

      22 McDonald AM, "Simulation educ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effects on nurse empowerment" Columbia University 2014

      23 Karimi L, "Emotional rescue :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ur on well-being and job-stress among community nurses" 70 (70): 176-186, 2014

      24 Grandey AA,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5 (5): 95-110, 2000

      25 Mastracci SH, "Emotional labor and crisis response: working on the razor’s edge" Routledge 1-192, 2012

      26 Bramhall E,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practice" 29 (29): 53-59, 2014

      27 Ashkanasy NM, "Diversity and emotion : the new frontiers in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28 (28): 307-338, 2002

      28 Debesay J, "Dispensing emotions : norwegian community nurses’ handling of diversity in a changing organizational context" 119 : 74-80, 2014

      29 Hong J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r scale for nurses" Ewha Womans University 2016

      30 Choi YJ,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HanYang University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