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충북복지의 발달과정과 평가 =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lfare in Chungbu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43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방 이후 2000년대 최근까지 충북복지의 발달과정을 시대별로 고찰함과 더불어 충북복지의 현황소개와 이에 대한 평가 및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지방분권화시대 충북복...

      본 연구는 해방 이후 2000년대 최근까지 충북복지의 발달과정을 시대별로 고찰함과 더불어 충북복지의 현황소개와 이에 대한 평가 및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지방분권화시대 충북복지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충북복지의 발달과정은 해방이후~1959년, 1960년~1979년, 1980년~1999년, 2000년 이후와 같이 4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충북복지의 평가 및 향후 발전과제는 기본방향의 문제, 대상자의 사회복지 욕구문제, 사회복지 인력과 시설의 문제, 사회복지 재정의 문제, 사업내용의 문제에 관해서 평가하고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useful basic data for developing Chungbuk welfare through examining its historical development up to the 2000 present since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nd suggesting the present status of Chungbuk welfare and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useful basic data for developing Chungbuk welfare through examining its historical development up to the 2000 present since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nd suggesting the present status of Chungbuk welfare and the developmental tasks based on its evaluati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analysis of Chungbuk welfare shows it is divided into 4 steps such as unsettled period(1945~1959), settled period(1960~1979),activated period(1980~1999) and systematized period(since 2000).
      The developmental tasks based on the status evaluation of Chungbuk welfare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it is important to formulize the basic direction of Chungbuk welfare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Chungbuk region and the residents' needs considering the change of social welfare environment.
      Second, some efforts to secure and reinforce the human resources that can make social welfare policies suitable to Chungbuk region should be made.
      Third, public welfare professional personnels to cope the rapid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ir needs should be increased, and the delivery system of welfare and health should be integrated, too.
      Fourth, the Chungbuk Social Welfare Center should be completed shortly and its operation should be supported to be fair and faithful.
      Fifth, private welfare professional personnels should be participated in public policy-making process for meeting community welfare needs.
      Sixth,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sonnels should be supported legally and materially for the better treatment and wage.
      Seventh, legal measures should be taken for the local autonomous authorities' allocated welfare budget to be surely executed based on community welfare plan.
      Eighth, regarding all residents of Chungbuk as social welfare subjects, the basic living security and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m should be taken in institutional perspectiv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