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목적 외상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출혈성 쇼크에 따른 소생술은 여러 장기를 포함한 폐실질의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폐손상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04344
서울 : 고려대학교, 2018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흉부외과전공 , 2018
2018
한국어
514.94 판사항(6)
617.54 판사항(23)
서울
25장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최영호
참고문헌: 장 21-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 목적 외상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출혈성 쇼크에 따른 소생술은 여러 장기를 포함한 폐실질의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폐손상은 ...
1. 연구 목적
외상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출혈성 쇼크에 따른 소생술은 여러 장기를 포함한 폐실질의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폐손상은 외상 환자의 합병증을 높이고 사망에까지 이르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출혈성 쇼크와 소생술 후 발생하는 폐손상 모형에서 2% 흡입 수소가스의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로 염증 매개 인자들을 통해 수소가스의 흡입이 염증 반응 감소 효과를 보이는 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2. 연구 방법
연구에 사용된 쥐를 3개의 군(Sham 군, HSR 군, H2/HSR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Sham 군은 출혈성 쇼크를 유발하지 않고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대조군 기체를 투여하였고, HSR 군과 H2/HSR 군은 출혈성 쇼크 및 소생술을 시행하였으며, 정해진 시간 동안 각각 대조군 기체와 2% 수소 기체를 투여하였다. 염증 반응 감소 효과 확인을 위해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 조직학적 검사, myeloperoxidase 활동성 및 염증 매개 인자로 알려진 IL-1β, IL-6, tumor necrosis factor(TNF)-α,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 chemokine (C-C motif) ligand 2(CCL2)를 측정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3. 결과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 결과 PO2수치는 Sham 군 > HSR 군 = H2/HSR 군, PCO2 수치는 Sham 군 = HSR 군 = H2/HSR 군, lactate 수치는 HSR 군 > Sham 군 = H2/HSR 군 소견을 보였다. 조직 검사 상에서는 HSR 군에서 염증 세포의 침윤 소견이 많이 관찰되었고, myeloperoxidase 활동성은 HSR 군 > H2/HSR 군 > Sham 군 순서로 높게 측정되었다. 폐내의 염증 매개 인자는 IL-6를 제외하고는 HSR 군 > H2/HSR 군 > Sham 군 순서로 높아져 있었고, IL-6의 경우 HSR 군 > Sham 군 = H2/HSR 군의 소견을 보였다.
4. 결론
출혈성 쇼크와 소생술 후 폐손상 모형에서 2% 수소 기체의 흡입은 염증 세포 침윤을 줄이고, 호중구 침윤에 관여하는 myeloperoxidase 활동성을 줄이며, IL-1β, TNF-α, iNOS, ICAM-1, CCL2 등의 염증 매개 인자를 줄임으로써 폐내로의 염증 세포 이동을 억제하여 폐손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