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육법공양 절차의 시대적 변천 연구 = Research on the music history of Beompae < Yukbeopgongyang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2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문에서는 조선시대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육법공양의 절차를 시대별로 고찰하여 어디서부터 절차가 변화되고 오류가 나타났는지 그 시대적 변화양상을 살펴보았고, 아울러 경제...

      본문에서는 조선시대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육법공양의 절차를 시대별로 고찰하여 어디서부터 절차가 변화되고 오류가 나타났는지 그 시대적 변화양상을 살펴보았고, 아울러 경제범패와 영제범패의 절차를 비교하여 지역적 전승 양상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그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언권공』(1496) ·『영산대회작법절차』 (1634)·『오종범음집』 (1661) ·『제반문』(1694)에 이르기까지, 즉 15세기 말에서 17세기 말까지는 여섯 공양물에 대한 명칭이 정립되지 않았고, 명칭이 정례화되는 과도기로 보여지며, 이는 범어사『어산집』(1700)에 이르러서 정례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조선시대 의례집인 『진언권공』(1496)·『영산대회작법절차』(1634) ·『오종범음집』(1661) ·『제반문(諸般文)』(1694) ·범어사 『어산집』(1700)은 비록 찬의 제목이 생략된 경우는 있지만 모두 찬(讚)과 공양(供養)이 각각 구분되어 전승되어진 공통점을 지닌다. 그런데 『산보범음집』(1713)에서는 제목에서 처음으로 찬이 생략되어져서 자칫 내용에서도 찬이 생략되어진 것으로 오인할 여지가 있다. 결국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1739)에서 찬이 모두 생략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다만 향찬만은 남아있으나 향공양으로 잘못 표기 되어있고, 『석문의범』(1935)에서는 이러한 오류가 그대로 전승되고 있다. 『석문의범』은 현재 경제범패의 의례서로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1931년에 간행된 이후 현재까지 8쇄가 넘게 인쇄되고 있을 만큼 전국의 각 사찰에서 가장 많이 통용되는 의례집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이에 대한 수정 및 방안에 대해서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영제범패 의례집인 범어사 『어산집』(1700), 1800년대 후반의 백파의 『구감』, 성주 소장본 『구감』(1936년), 혜광 편저의 『구감』 등에서는 조금씩 차이는 보이지만, 육법찬(六法讚)이 생략 및 누락 없이 모두 전승되는 특징을 지닌다. 특히, 향병찬·등병찬·화병찬·과병찬·다병찬·미병찬 등 여섯 찬(讚)의 제목도 온전히 나타나있고, 배헌해탈향·배헌반야등·배헌만행화·배헌일엽과·배헌감로다·배헌선열미 등의 여섯 공양의 소제목도 각각 명시되어 있어서 육법공양의 의례절차가 가장 잘 전승되고 있는 의례서이다. 이는 최고(最古)의 의례서이자 누락이나 생략 없이 이루어진 『진언권공』(1496)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의례서라 할 수 있다. 셋째, 아랫녁수륙재에서 간행한 『수륙재범음집)』(2009), 『예수재어산집』(2009), 수륙무차의례집』(2013)에서는 육법공양의 절차를 찾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실제 의식의 설행에서는 육법공양의 절차가 아니라 오공양으로 작법이 설행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는 마산의 아랫녁수륙재 뿐 아니라 부산영산재의 어장 용운, 구암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영제범패에서는 화(花)를 제외한 향(香) ·등(燈) ·과(果) ·다(茶) ·미(米)의 다섯 공양만을 올리는 특징을 지닌다. 반면 경제범패에서는 명칭은 오공양이지만 여섯 공양물을 올리고 오공양작법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영제범패와 경제범패는 서로 다른 지역적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조선시대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육법공양의 절차는 통합과 생략으로 인한 변화가 계속 이루어져 왔고, 그 흐름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절차에서의 오류는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절차가 누락되고 생략되면서 변화가 조금씩 나타나게 되고 이로 인해 오류가 발생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body, the procedures of < Yukbeopgongyang > are studied over time from the Joseon Dynasty up to today and from where the variations of the procedures and errors appeared is revealed through chronological aspects of transitions. Moreover, ...

      In the body, the procedures of < Yukbeopgongyang > are studied over time from the Joseon Dynasty up to today and from where the variations of the procedures and errors appeared is revealed through chronological aspects of transitions. Moreover, the aspects of local transmissions are covered in comparison of Kyeong-je BeompaeBeompae and Yeong-je Beompae in ritual procedures. The summaries of these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from the late 15 century to the late 17 century - 『Jineongwongong』(1496)ㆍ 『Yeongsandaehoejakbeopjeolcha』(1634)ㆍ『Ojongbeomeum collections』(1661)ㆍ『Jebanmun』 (1694), the definition of the names of six offerings are not determined and it seems that the determination on names was on the way and finally fixed in the time of Beomeo Temple 『Eosan collection』(1700). Also, In ritual collections in Joson Dynasty such as 『Jineongwongong』(1496)ㆍ 『Yeongsandaehoejakbeopjeolcha』(1634)ㆍ『Ojongbeomeum collections』(1661)ㆍ『Jebanmun』 (1694)ㆍBeomeo Temple 『Eosan collection』(1700), even if there are some cases that the titles of Chan are omitted, all of them have been passed down with separation of Chan and gongyang. In the mean time, there was the omission of the title of Chan for the first time in 『Sanbobeomeum collections』(1713). which can cause room of the misunderstanding that the omission of the titles brought about that of contents. Eventually, there was a consequence that all Chan has been left out in 『Cheonjimyeongyang Suryukjaeui Beomeumsanbo collections』(1723). But another fact that should be attended to is that Hyang Chan still remains but is mistakenly written as Hyanggongyang and this case is true of 『Seokmunuibeom』(1935). Above all, 『Seokmunuibeom』 has been used as the standard of the ritual in Kyeong-je Beompae and it has been printed 8 issues since it was published in 1931, which can tell us that it has been used most widely by the temples across the nation. This requires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and the consideration of modification or certain solutions. Second, in Beomeo Temple 『Eosan collection』(1700) which is ritual collection of Yeong-jeBeompae, 『Gugam』 written by Monk. Baekpa in the late 1800`s, 『Gugam』 (1936) held by Monk.Seongju, and 『Gugam』 compiled by Monk. Hyegwang, there are a few differences among them, but all Yukbeopchan are written without omission. Especially, in 『Gugam』(1936) held by Monk.Seongju, the titles of Yukbeopgongyang as well as those of Yukbeopchan such as HyangbyeongChanㆍdeungbyeongChanㆍ hwabyeongChanㆍgwabyeongChanㆍdabyeongChanㆍmibyeongChan are written precisely. Moreover, the subtitles of six gongyang such as BaeheonhaetalHyang, Baeheonbanyadeung, Baeheonmanhaenghwa, Baeheonilyeopgwa, Baeheongamroda, Baeheonsunyeolmi are written exactly, which means that it is the best ritual collection in transmitting the tradition of the ritual procedures. It is also similar in the procedures to 『Jineongwongong』(1496) which is the oldest ritual collection. Third, 『Suryukjaebeomeumjip』(2009), 『YesujaeEosan collection』(2009), Suryukmuchauiryejip』(2013) published by AraetnyeokSuryukjae are composed of Ogongyang instead of Yukbeopgongyang. This is because not the procedures of Yukbeopgongyang but those of Ogongyang are performed in real ritual conduction. What`s more, the same phenomenon can be found in Busan Youngsanjae of Monk, Yongun and Guam as well as in AraetnyeokSuryukjae of Masan. Therefore, small five offerings such as Hyangㆍdeungㆍgwaㆍdaㆍmi excluding hwa are carried out which can be the feature of Yeong-je Beompae. On the other hand, Yeong-je Beompae has the characteristic that even if the name is Ogongyang, six offerings are conducted but with OgongyangJakbeop(=dance). This demonstrates that there is local difference between Yeong-je Beompae and Kyeong-je Beompae. Accordingly, the variations of Yukbeopgongyang have occurred and are on going situation from Joson Dynasty up to now. It is confirmed that over time the procedures have been integrated and omitted and the variations appear little by little not all of sudden and after all the errors come along the way. This study revealed the variations and errors through periodical procedures over time and pointed out that the errors have been overlooked and performed without correction, which can be helpful for the proper transmission of the rituals of Korea buddhism and the opportunities to discuss the way we should go for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법현, "한국의 불교음악" 운주사 2005

      2 서정매, "영제 <영산작법> 절차의 시대적 변천 연구" 한국공연문화학회 (26) : 165-212, 2013

      3 법현, "영산재연구" 운주사 2001

      4 국립문화재연구소, "영산재" 예맥출판사 2003

      5 법보신문, "안진호의 『석문의범』 각양각색 불교의식 천하통일"

      6 김수민, "불교의식집 연구-의식 및 사성과 구독점을 중심으로" (2) :

      7 박세민,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第1~4輯" 삼성암 1993

      8 安震湖, "釋門儀梵" 法輪寺 1931

      9 "豫修齋魚山集"

      10 "水陸齋梵音集" 불모산영산재 보존회 2009

      1 법현, "한국의 불교음악" 운주사 2005

      2 서정매, "영제 <영산작법> 절차의 시대적 변천 연구" 한국공연문화학회 (26) : 165-212, 2013

      3 법현, "영산재연구" 운주사 2001

      4 국립문화재연구소, "영산재" 예맥출판사 2003

      5 법보신문, "안진호의 『석문의범』 각양각색 불교의식 천하통일"

      6 김수민, "불교의식집 연구-의식 및 사성과 구독점을 중심으로" (2) :

      7 박세민,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第1~4輯" 삼성암 1993

      8 安震湖, "釋門儀梵" 法輪寺 1931

      9 "豫修齋魚山集"

      10 "水陸齋梵音集" 불모산영산재 보존회 2009

      11 "1935년 禪學院(선학원)에서 발행한 잡지 禪苑(선원) 제4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