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지역의 교육환경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차이가 있다면 지역 간의 교육격차가 더욱 심화, 고착화될 것이라는 문 제의식에서 지역별 교육환경이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29027
2014
Korean
370
KCI등재
학술저널
321-342(22쪽)
1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역의 교육환경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차이가 있다면 지역 간의 교육격차가 더욱 심화, 고착화될 것이라는 문 제의식에서 지역별 교육환경이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 ...
이 연구는 지역의 교육환경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차이가 있다면 지역 간의 교육격차가 더욱 심화, 고착화될 것이라는 문 제의식에서 지역별 교육환경이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 노력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선 전국 시도의 평균 소득수준에 따라 소득수준 최상위와 최하위 지역을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고, 지역별로 교육환경의 격차와 교사 전문성 계발 노력 정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 분석한 후, 지역별로 어떠한 교육환경 요소가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지역의 교육환경은 교사의 학위 수준보다는 교원의 연수 이수 수준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전체 학생수는 교사의 전문성 계발 노력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교사당 역량강화비 는 교사의 연수 이수 수준과 학위 수준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교육환경 특성 중 사교육 시장 발달 수준과 사회 경제적 수준이 교사의 전문성 계발 노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지역의 교육환경 차이가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재, "한국교육 60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2 임연기, "한국 농촌교육 정책의 변천과 그 특성 및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27-50, 2006
3 김양분, "한국 교육 현황 분석: 지역간, 학교간 교육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9
4 오욱환, "학업성취 격차 설명모델의 교육사회학적 분석" 63 (63): 101-124, 1993
5 정제영,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분석 - TIMSS 2011의 교사와 학생 변인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53-75, 2014
6 김형미, "학군 간 학생이동의 공간적 특성 연구 : 경기도 남부지역의 교외화와 관련하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7 정제영, "학교 자율화의 쟁점과 주요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415-435, 2008
8 김양분, "학교 교육 수준 및 실태 분석 연구 : 중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04
9 노종희, "초중등교사의 교직헌신의 개념화 및 측정도구 개발" 22 (22): 215-232, 2004
10 안우환, "지역에 따른 학업성취도 격차의 원인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319-329, 2006
1 이종재, "한국교육 60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2 임연기, "한국 농촌교육 정책의 변천과 그 특성 및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27-50, 2006
3 김양분, "한국 교육 현황 분석: 지역간, 학교간 교육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9
4 오욱환, "학업성취 격차 설명모델의 교육사회학적 분석" 63 (63): 101-124, 1993
5 정제영,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분석 - TIMSS 2011의 교사와 학생 변인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53-75, 2014
6 김형미, "학군 간 학생이동의 공간적 특성 연구 : 경기도 남부지역의 교외화와 관련하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7 정제영, "학교 자율화의 쟁점과 주요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415-435, 2008
8 김양분, "학교 교육 수준 및 실태 분석 연구 : 중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04
9 노종희, "초중등교사의 교직헌신의 개념화 및 측정도구 개발" 22 (22): 215-232, 2004
10 안우환, "지역에 따른 학업성취도 격차의 원인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319-329, 2006
11 박부권, "지역간, 학군간 학력격차의 문제" 3 (3): 181-196, 1989
12 류방란,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균형발전지수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07
13 하봉운, "지방분권시대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167-194, 2005
14 백순근, "중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실제적 발전 방향" 2003
15 정제영, "인·적성 중심의 사범대학 입학전형 개선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입학처 2013
16 김성식, "수능 성적에 대한 지역 여건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53-75, 2010
17 김영철, "서울시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와 해소방안" 2004
18 성기선, "서울시 고등학교 학군효과 분석 연구 ―8학군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51-166, 2003
19 오욱환, "사회자본의 교육적 해성과 활용, 콜먼으로부터 그리고 그를 넘어서" 교육과학사 2013
20 김경근, "방과후학교는 사회양극화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가" 한국교육사회학회 19 (19): 1-27, 2009
21 이두휴, "도시와 농촌간 교육양극화 실태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21-148, 2011
22 박성호, "도농 간 중학생 학력격차 감소에 대한 학교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3 조동섭, "농어촌 교원자격기준 개발 및 적용방안에 관한 토론" 2005 (2005): 133-138, 2005
24 한만길, "농산어촌 교육복지 실태 분석 연구 : 초·중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08
25 손준종, "교육 양극화의 개념, 유형, 동인에 관한 탐색적 논의" 안암교육학회 12 (12): 31-58, 2006
26 양정호, "교육 양극화 무엇이 문제인가" 155 : 2006
27 정미경,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8 김아영, "교사효능감 및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5-44, 2003
29 박균열,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0 이희숙, "교사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IMSS 2007의 교사 전문성 계발 노력 변인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243-266, 2011
31 김정원, "교사 생애단계별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32 김종철, "고교 및 대학입학 진학제도의 개혁 : 전망과 과제" 21 : 22-27, 1982
33 成基善, "人文系 高等學校 學校效果 연구" 서울대학교 1997
34 Ainsworth, J. W., "Why does it take a village? The mediation of neighborhood effects on educational achievement" 81 (81): 117-152, 2002
35 Sanders, W. L, "Value-added assessment" 55 (55): 24-32, 1998
36 Sharpe, C., "The interaction between place and" The Ohio State University 2001
37 Creemers, B. P. M., "The effective classroom" Cassell 1994
38 Fred, M.,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addresses school capacity : lessons from urban elementary schools" 108 (108): 259-299, 2000
39 van Driel, J. 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38 (38): 137-158, 2001
40 Traub, R., "Openness in schools: An evaluation study"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1973
41 Peterson, P. E., "No Child Left Behind? The politics and practics of school accountability" Th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3
42 Garner, C. L., "Neighborhood effects on educational attainment : A multilevel asnalysis" 64 : 251-262, 1991
43 Chapman, C.,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97(970)" 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1-10, 1997
44 Byun, S., "Korean education in changing economic and demographic contexts" Springer 39-58, 2014
45 나승일,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Gap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119-139, 2011
46 Coleman, J., "E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47 Purkey, S. C., "Effective schools : A review" 83 (83): 426-452, 1983
48 White. R. K.., "Autocracy and Democracy" Harper & Bros 1960
49 Hanushek, E. A, "Assessing the effects of school resources on student performance" 19 (19): 141-164, 1997
근무성적평정 및 교원능력개발평가 점수가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 결정에 미치는 영향
교수-학습 개념 측정을 위한 TLCQ 단축형 모델 개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우수 교사 특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7 | 2.37 | 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31 | 2.46 | 2.479 | 0.39 |